KR19990074309A -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 Google Patents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309A
KR19990074309A KR1019980007793A KR19980007793A KR19990074309A KR 19990074309 A KR19990074309 A KR 19990074309A KR 1019980007793 A KR1019980007793 A KR 1019980007793A KR 19980007793 A KR19980007793 A KR 19980007793A KR 19990074309 A KR19990074309 A KR 1999007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wer side
hole
lin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1998000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4309A/ko
Publication of KR1999007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309A/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마개를 손쉽게 벗길 목적으로 손잡이의 일측이 공간이 형성되게 한바,최초 손잡이를 잡아 당기어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게 할 때까지 매우 안정적으로 손잡이가 작동되어지는 특징의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병마개(1)는 상면부(2)와 상·하측면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면부(4)의 임의 일측에는 하측면부(4)의 외향을 따라 길게 구멍(6)이 형성된 안내부(7)가 있는 손잡이(5)를 형성하되,상기 안내부(7)의 반대편인 구멍(6)의 상측으로는 상·하측면부(3,4)를 연결시키고 손잡이(5)의 안정된 작동을 위하여 연결부(8,8')가 형성되어져있음과,상기 연결부(8')와 안내부(7)의 사이에 위치한 손잡이(5)는 하측면부(4)와 이격된체로 형성되어져 있되, 이격된 손잡이(5)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방이 얇은 박판으로 하측면부(4)와 연결되게 그사이를 절취선(9)으로 구획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8,8')의 양측인 하측면부(4)에는 측면절취선(10)을 형성하되,상기 측면절취선(10)은 상·하측면부(3,4)가 만나는 격층선상에 형성된 절취선(11)과 각각 연결되어져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본 발명은 병마개를 손쉽게 벗길 목적으로 손잡이의 일측이 공간이 형성되게 한바,최초 손잡이를 잡아 당기어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게 할 때까지 매우 안정적으로 손잡이가 작동되어지는 특징의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행기술로서는,특출96-06537호로 본 발명인이 선출원한 바 있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제37도와 제3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병마개의 손잡이가 하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최초 손잡이를 잡아 당길때 경우에 따라 다소 작용이 난이한 단점이 제기 되었던 것이다.
종래의 개봉용이 벙마개에 있어서는,특히 본 발명인의 선행인 특출96-06537의경우, 개봉용이 수단으로서 손잡이가 하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최초 손잡이를 잡아 당기어 측면절취선을 파괴하고,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까지 그 행위에 있어 다소 작용효과가 감소되는 단점이 제기 되었던 것이다.
이 발명은 선행96-06537호를 개량하여 상술한 문제점 개봉용이를 목적으로 한다.
도 1a∼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제1차적으로 손잡이를 잡아 당기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도 1c는 병마개를 병목에 조립한 후 개봉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a∼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도 3a는 사시도이고도 3b는 평면도이다.
도 4a∼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병 마개
2:상면부
3:상측면부
4:하측면부
5:손잡이
6:구멍
7:안내부
8,8':연결부
9,11,11':절 취 선
10:측면절취선
15:연결막
16:환테
17:손잡이 절취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본 발명의 병마개는,손잡이의 연결부 부위만 본체와 완전하게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는 하측만 얇은 막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상향으로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손잡이에 손가락을 넣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아 당길때 힘이 들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작동이 이뤄지는 장점이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마개(1)는 상면부(2)와 상·하측면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면부(4)의 임의 일측에는 하측면부(4)의 외향을 따라 길게 구멍(6)이 형성된 안내부(7)가 있는 손잡이(5)를 형성하되,상기 안내부(7)의 반대편인 구멍(6)의 상측으로는 상·하측면부(3,4)를 연결시키고 손잡이(5)의 안정된 작동을 위하여 연결부(8,8')가 형성되어져 있음과,상기 연결부(8')와 안내부(7)의 사이에 위치한 손잡이(5)는 하측면부(4)와 이격된체로 헝성되어져 있되, 이격된 손잡이(5)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방이 얇은 박판으로 하측면부(4)와 연결되게 그사이를 절취선(9)으로 구획한 것이다.또한 상기 연결부(8,8')의 양측인 하측면부(4)에는 측면절취선(10)을 형성하되.상기 측면절취선(10)은 상·하측면부(3.4)가 만나는 격층선상에 형성된 절취선(11)과 각각 연결되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의 저면으로는 내마개(12)가 있고,상·하측면부(3,4)의내벽면에는 걸림턱(13)과 하부걸림돌기(14)가 형성되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병마개(1)를 병목(1OO)의 상부에 위치 시킨후 일련의 기계장치(CAPPER)로서 병마개(1)의 상면부(2)를 압압하게 되면 걸림턱(13)과 하부걸림돌기(14)는 병목(100)의 외측인 상·하단외돌환부(101,102)에 각각 걸리게 되고,내마개(12)는 병목(100)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밀폐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멍(6)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5)를 잡아 당기게 되면,도1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절취선(9)이 절취되면서 손잡이(5)는 구멍(6)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구멍(6)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5)를 잡아 당기게 되면 측면절취선(10)이 절취되며, 이어 좀더 힘껏 손잡이(5)를 들어 올리게 되면 측면절취선(10)과 동일연장선상에 있던 환형의 절취선(11)이 절취되면서 병마개(1)가 열리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도 1c와 같다.
또한 개봉후 용기의 남은 내용물을 재보관하고자 할때는 하측면부(4)를 제거하거나 또는 상측면부(3)에 하측면부(4)의 일부가 연결되게 한체로 다시 막아 재보관할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2),상·하측면부(3,4)에 형성된 연결부(8)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안내부(7)가 형성되게 손잡이(5)를 구성하며, 이와 같은 병마개(1)는 사용시 안내부(7)를 각각 당기어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임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부(7)를 잡아 당긴후 구멍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5)를 당기게 되면 남은 일측의 측면절취선(10)과 환형의 절취선(11)이 절취되면서 병마개(1)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a∼b),연결부(8)와만 일체로 연결되게 구멍(6)이 있는 손잡이(5)를 형성하되,상기 연결부(8)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의 하방엔 절취선(9)이있는 연결막(15)으로서 연결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는,구멍(6)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5)를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양측에 형성된 절취선(9)이 절취되면서 손잡이(5)는 사용상의 상태로된다.
이런 상태에서 구멍(6)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5)를 위로 치겨 올리게 되면 측면절취선(10)과 환형의 절취선(11)이 절취되면서 병마개(1)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4a∼b),상·하측면부(3,4)로된 하측면부(4) 또는 단일의 상측면부(3)하측엔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날개형의 환테(16)가 절취선(11')으로 구획되어 있되,상기 환테(16)에는 구멍(6)이 손잡이(5)가 하측면부(4) 또는 상측면부(3)의 하방에 연결부(8)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또한 손잡이(5)의 양끝은 절취선(11')과 연결된 손잡이 절취선(17)으로 구획되어 있다.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는 손가락 끝으로 구멍(6)을 살짝 당기게 되면 손잡이 절취선(17)과 절취선(11')이 절취되면서 손잡이(5)는 사용상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구멍(6)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5)를 힘껏 당기게 되면 연결부(8)에 의해 측면절취선(10)과 절취선(11) 또는 남은 일측의 절취선(11')이 절취되면서 병마개(1)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손잡이를 매우 안정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한바,사용시 노약자나 어린아이들도 매우 쉽게 병마개를 열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병마개(1)는 상면부(2)와 상·하측면부(3,4)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면부(4)의 임의 일측에는 하측면부(4)의 외향을 따라 길게 구멍(6)이 형성된 안내부(7)가 있는 손잡이(5)를 형성하되,상기 안내부(7)의 반대편인 구멍(6)의 상측으로는 연결부(8,8')가 형성되어져 있음과, 상기 연결부(8')와 안내부(7)의 사이에 위치한 손잡이(5)는 하측면부(4)와 이격된체로 형성되어져 있되. 이격된 하방은 얇은 박판으로 하측면부(4)와 연결되게 절취선(9)으로 구획한 것이며,또한 상기 연결부(8,8')의 양측인 하측면부(4)에는 측면절취선(10)을 형성하되, 상기 측면절취선(10)은 상·하측면부(3,4)가 만나는 격층선상에 형성된 절취선(11)과 각각 연결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5)는 양방향으로 열수 있도록,상·하측면부(3,4)에 형성된 연결부(8)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안내부(7)가 형성되게 하측면부(4)와 일체로 된 구멍이 있는 손잡이(5)를 측면절취선(10)으로 구획한 특징의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5)는 연결부(8)와만 일체로 연결되게 구멍(6)이 있는 손잡이(5)를 형성하되,상기 연결부(8)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의 하방엔 절취선(9)이 있는 연결막(15)으로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5)는 상·하측면부(3,4)로된 하측면부(4) 또는 단일의 상측면부(3)하측엔 환테(16)가 절취선(11')으로 구획되어 있되,상기 환테(16)에는구멍(6)이 있는 손잡이(5)가 하측면부(4) 또는 상측면부(3)의 하방에 연결부(8)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또한 손잡이(5)의 양끝은 절취선(11')과 연결된 손잡이 절취선(17)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KR1019980007793A 1998-03-03 1998-03-03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KR19990074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793A KR19990074309A (ko) 1998-03-03 1998-03-03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793A KR19990074309A (ko) 1998-03-03 1998-03-03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309A true KR19990074309A (ko) 1999-10-05

Family

ID=6590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793A KR19990074309A (ko) 1998-03-03 1998-03-03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43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866A (en) Break away overcap
JP7307529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9990074309A (ko) 원터치방식 병마개의 손잡이 구조
KR100789491B1 (ko) 음료용기 개방구조
JPH0728124Y2 (ja) 中 栓
KR19980069228A (ko) 당김손잡이가 있는 합성수지 병마개
KR20000041528A (ko) 상면부에 별도의 당김고리를 갖고 있는 용기의 마개
KR0124518Y1 (ko) 당김고리가 있는 고밀폐용 병마개
JP45166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18526Y2 (ko)
KR19990049673A (ko) 손잡이가 달린 원터치방식의 개봉용이 병마개
KR19980021781A (ko) 2중 개봉방식의 합성수지 병뚜껑
KR0124519Y1 (ko) 원터치형 합성수지재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KR200155219Y1 (ko) 원터치방식 합성수지 병마개의 손잡이 고정장치
KR0124221Y1 (ko) 1회용 병마개 따개
KR100585532B1 (ko) 덮개에 의해 작동부가 개폐되는 특징이 있는 합성수지병뚜껑
KR20020075761A (ko) 배출대
KR0135313Y1 (ko) 합성수지 병뚜껑
KR100460575B1 (ko) 발효가스방출마개
KR19980083698A (ko) 손잡이가 달린 합성수지 병마개의 밀폐구조
KR0136564Y1 (ko) 측면부의 하측에 스커트식으로 당김손잡이가 형성된 특징이 있는 합성수지 병마개
KR19990017245A (ko) 손잡이가 달린 원터치방식의 스냅 마개
JP2005225521A (ja) 牛乳壜用樹脂キャップ
KR19980083699A (ko) 합성수지 병마개의 절취선 구조
KR0118156Y1 (ko) 내용물저장부가 있는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