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281Y1 - 화장지 상자 - Google Patents

화장지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281Y1
KR200160281Y1 KR2019970021271U KR19970021271U KR200160281Y1 KR 200160281 Y1 KR200160281 Y1 KR 200160281Y1 KR 2019970021271 U KR2019970021271 U KR 2019970021271U KR 19970021271 U KR19970021271 U KR 19970021271U KR 200160281 Y1 KR200160281 Y1 KR 200160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box
wall
side wall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318U (ko
Inventor
조선희
Original Assignee
최병민
주식회사대한펄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민, 주식회사대한펄프 filed Critical 최병민
Priority to KR2019970021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28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원형의 절취편을 제거하면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노출되는 상부판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으로 연장 및 절곡하여 후면벽, 전면벽 및 바닥판을 형성하고, 바닥판의 선단에 형성된 접착부가 후면벽의 하부 내측에 접착되어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후면벽 및 전면벽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날개에 상부판 및 바닥판 양측에 형성된 상·하부측면이 절곡,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화장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날개에 복수개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한 상부측벽의 선단선을 따라 그의 하부에 접착된 하부측벽의 접착부상에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의 중앙부위에는 반원형상의 절취편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편을 밀어 넣으면 절취되면서 파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상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지를 전부 사용한 후 별도의 기구가 필요 없이 날개에 접착되어 있는 측벽을 용이하게 뜯어내어 손쉽게 상자를 납작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상자를 재활용하기 위해 편리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장지 상자
본 고안은 상자 내에 담겨있는 화장지를 전부 사용한 후 상자를 재활용하기 위해 보관 및 운반시 취급이 간편하도록 납작하게 접을 수 있는 화장지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지 상자는, 상당한 강도를 갖는 종이재질로 만들어지고, 양측에 상부측벽을 갖으며 중앙에 타원형의 절취편이 절취될 수 있게 절취선을 형성하여 절취편을 제거하면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노출되는 상부판과, 상부판의 후면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하는 부분이 절곡되며 양측에 날개를 갖는 후면벽과, 상부판의 전면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하는 부분이 절곡되며 양측에 날개를 갖는 전면벽과, 전면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접하는 부분이 절곡되며 선단에는 후면벽의 하부 내측에 접착되는 접착부를 양측에는 하부측벽을 갖는 바닥판을 포함한 전개상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판을 중심으로 후면벽, 전면벽 및 바닥판을 절곡하면서 바닥판의 접착부를 후면벽의 중심으로 후면벽, 전면벽 및 바닥판을 절곡하면서 바닥판의 접착부를 후면벽의 하부 내측에 접착시킨후 화장지를 내부에 수용하고, 곧 양측에 있는 각 날개와 상·하부측벽을 내·외측에 위치되도록 절곡하면서 접착시켜 상자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화장지 상자는 상부판에 있는 절취편을 절취한 후 인출구로 화장지를 한 장씩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며, 화장지를 전부 사용한 빈 상자는 부피가 크므로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취급이 편리하도록 납작하게 접게 된다.
그러나, 상자를 납작하게 접기 위해서는 각 날개에 접착되어 있던 상·하부 측벽을 뜯어내어 접거나 칼 또는 가위 등의 기구로 잘라서 부피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방법중 각 날개에 접착되어 있던 상·하부측벽을 뜯어내는 경우에는 강하게 접착되어 있는 상·하부측벽을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뜯어내기가 어려우며, 설령 뜯어진다 하여도 힘이 강하게 작용되어 상자로부터 찢어져 분리되므로 차후 취급 및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칼 또는 가위 등의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자와 같이 잘라진 조각이 생기므로 취급 및 관리가 불편하며, 별도의 칼 또는 가위가 필요하므로 매우 번거러웠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날개에 접착되어 있는 측벽을 용이하게 뜯어낼 수 있으며 손쉽게 상자를 납작하게 접을 수 있는 화장지 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상자의 전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상자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상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상자를 접기 위하여 하부측벽에 있는 절취편을 밀어 넣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상자를 접기 위하여 상·하부측과 날개를 모두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상자를 재활용하기 위해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 2 : 상부판
3 : 후면벽 4 : 전면벽
5 : 바닥판 21 : 상부측벽
22, 52 : 접착부 31, 41 : 날개
32, 42, 55 : 절취선 51 : 하부측벽
54 : 절취편 6 : 파지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타원형의 절취편을 제거하면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노출되는 상부판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으로 연장 및 절곡하여 후면벽, 전면벽 및 바닥판을 형성하고, 바닥판의 선단에 형성된 접착부가 후면벽의 하부 내측에 접착되어 화장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후면벽 및 전면벽 양측에 형성된 상·하부측벽이 절곡,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화장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날개에 복수개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한 상부측벽의 선단선을 따라 그의 하부에 접착된 하부측벽의 접착부상에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의 중앙부위에는 반원형상의 절취편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편을 밀어 넣으면 절취되면서 파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상자(1)는 상당한 강도를 갖는 종이재질로 만들어지고,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와 같이 절곡 및 절취가 용이하도록 압착 및 절단하여 이루어지며, 양측에 상부측벽(21)을 갖으며 중앙에 타원형의 절취편(25)이 절취될 수 있게 절취선(23)을 형성하여 절취편(25)을 제거하면 화장지(9)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24)가 제공되는 상부판(2)과, 상부판(2)의 후면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하는 부분이 절곡되며 양측에 날개(31)를 갖는 후면벽(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판(2)의 전면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하는 부분이 절곡되며 양측에 날개(42)를 갖는 전면벽(4)과, 전면벽(4)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접하는 부분이 절곡되며 선단에는 후면벽(3) 하부 내측에 접착되는 접착부(53)를 양측에는 하부측벽(51)을 갖는 바닥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후면벽(3)과 전면벽(4)의 양측에 있는 각 날개(31, 41)에는 상자(1)를 구성하면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던 상·하부측벽(21, 51)이 뜯어질 때 접착된 부분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취선(32, 42)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상부판(2)과 바닥판(5)의 상·하부측벽(21, 51)의 선단이 대략 5㎜~10㎜ 정도에서 서로 겹쳐져 부착되는 접착부(22, 52)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측벽(51)의 접착부(52) 중앙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절취편(54)과 접착부(52)가 절취될 수 있게 절취선(55)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절취편(54)을 상자(1)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절취선(55)을 따라서 절취되면 파지공(6)이 형성됨과 동시에 파지공(6)으로 끼워지는 손가락으로 파지하면서 외측으로 당기면 절취편(52)이 뜯어져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공(6)을 제공하는 절취편(52)과 절취선(55)을 갖는 하부측벽(51) 대신에 반대로 절취편(52)과 절취선(55)을 상부측벽(21)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상·하부측벽(21, 51) 모두에 더욱 형성하여도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화장지 상자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지 상자(1)를 구성하기 위한 전개도이며, 상기 전개된 상태에서 상부판(2)을 기준으로 후면벽(3), 전면벽(4) 및 바닥판(5)을 절곡하면서 바닥판(5)의 접착부(53)를 후면벽(3)의 하부 내측에 접착제로 접착시킨 후 화장지(9)를 도 2에서와 같이 내부에 수용하고, 양측에 있는 각 날개(31, 41)에 접착제를 바르고 상·하부측벽(21, 51)을 접착시킴과 동시에 접착제가 발라진 하부측벽(5)의 접착부(52)에 상부측벽(21)의 접착부(22)가 접착되므로서 화장지(9)가 수용된 상자(1)를 완성하게 되며, 상기의 공정은 자동생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자(1)에 담겨진 화장지(9)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판(2)의 절취편(25)을 절취선(23)을 따라 뜯어내고 도 3에서와 같이 인출구(24)로 화장지(9)를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며, 화장지(9)를 전부 소비하여 빈 상자(1)가 되면 도 4와 같이 상자(1)의 양측 면에 있는 하부측벽(5)의 절취편(54)을 내측으로 밀어 넣어 파지공(6)을 만들게 된다.
상기 파지공(6)에 손가락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부측벽(21)을 파지한 후 상측으로 뜯어 올리면 상부측벽(21)에 접착되어 있던 하부측벽(51)의 접착부(52)가 절취선(55)을 따라 절취되면서 상부측벽(21)과 함께 뜯어짐과 동시에 각 날개(31, 41)로부터 뜯어지게 되며, 곧 파지공(6)에 손가락을 다시 끼워 넣은 상태에서 하부측벽(51)을 파지한 후 하측으로 뜯어내면 하부측벽(51)이 접착되어 있던 각 날개(31, 41)로부터 뜯어지게 된다.
상기 상·하부측벽(21, 51)이 각 날개(31, 41)로부터 뜯어질 때 각 날개(31, 41)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선(32)에 의해 용이하게 도 5와 같이 박리되므로 쉽게 뜯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 각 날개(31, 41)에 접착되어 있던 상·하부측벽(21, 51)을 뜯어 낸 후 도 6에서와 같이 접어서 부피를 축소하게 되며, 축소된 상자(1)는 수집하여 보관 및 재활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지 전부 사용한 후 별도의 기구가 필요 없이 날개에 접착되어 있는 측벽을 용이하게 뜯어낼 수 있으며 손쉽게 상자를 납작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상자를 재활용하기 위해 보관 및 운반시 취급이 간편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타원형의 절취편(25)을 제거하면 화장지(9)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24)가 노출되는 상부판(2)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으로 연장 및 절곡하여 후면벽(3), 전면벽(4) 및 바닥판(5)을 형성하고, 바닥판(5)의 선단에 형성된 접착부(53)가 후면벽(3)의 하부 내측에 접착되어 화장지(9)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후면벽(3) 및 전면벽(4)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날개(31, 41)에 상부판(2) 및 바닥판(5) 양측에 형성된 상·하부측벽(21, 51)이 절곡,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화장지 상자(1)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날개(31, 41)에 복수개의 절취선(32, 42)이 형성되며, 상기한 상부측벽(21)의 선단선을 따라 그의 하부에 접착된 하부측벽(51)의 접착부(52)상에 절취선(55)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55)의 중앙부위에는 반원형상의 절취편(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상자.
KR2019970021271U 1997-08-01 1997-08-01 화장지 상자 KR200160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271U KR200160281Y1 (ko) 1997-08-01 1997-08-01 화장지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271U KR200160281Y1 (ko) 1997-08-01 1997-08-01 화장지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18U KR19990008318U (ko) 1999-03-05
KR200160281Y1 true KR200160281Y1 (ko) 1999-11-01

Family

ID=1950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271U KR200160281Y1 (ko) 1997-08-01 1997-08-01 화장지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2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18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5788C1 (ru) Кожух диспенсера для пленки и кожух с пленкой
JP2002274534A (ja) 包装用容器
US20220242641A1 (en) Packaging made of cellulose material and opening method
KR20000064453A (ko) 시판용제품의팩용골판박스
KR200160281Y1 (ko) 화장지 상자
US4817798A (en) Cassette tape holding box and dispenser
US4898312A (en) Cassette tape holding box and dispenser
JP3825458B2 (ja) 保存容器となるブリスターパック
JP3958567B2 (ja) 紙製収容箱
JP2003040255A (ja) Ppc用紙用段ボールケース
JP2009166872A (ja) ラップフィルムロール収納ケース
JP4146459B2 (ja) ロールシート用収納体及び収納体一体型ロールシート
JPH1059356A (ja) 分離可能な開封用切込線を有する包装箱
JP2537787Y2 (ja) 包装体の蓋用ラベル
JP4863185B2 (ja) 包装袋
JP2007331773A (ja) 減容化カートン
JP3000370B2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
KR200230491Y1 (ko) 개봉이 용이한 박스
KR200395207Y1 (ko) 휴지 수거함이 구비된 티슈페이퍼 상자
JP2628257B2 (ja) シート分配ケース
JP3120064U (ja) 包装箱
JP2001341733A (ja) カッター付きロール収納ケース
JP2023083802A (ja) 包装箱
JP3071502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ボックス
JPH07880U (ja) 詰め替え用テッシュペーパー箱及び詰め替え用テッシ ュペーパー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