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453Y1 -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453Y1
KR200158453Y1 KR2019950044565U KR19950044565U KR200158453Y1 KR 200158453 Y1 KR200158453 Y1 KR 200158453Y1 KR 2019950044565 U KR2019950044565 U KR 2019950044565U KR 19950044565 U KR19950044565 U KR 19950044565U KR 200158453 Y1 KR200158453 Y1 KR 200158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fixing
drop test
screw rod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971U (ko
Inventor
최양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4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453Y1/ko
Publication of KR970044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유지판에 낙하 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유지판상에 시편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를 가변시켜가면서 고정시켜줄 수 있는 한편, 고정과 동시에 시편의 수직도를 정확히 맞추어 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시편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시편에 적용가능하고, 수직도를 맞추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시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시편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편 11 : 수평유지판
20 : 고정수단 21a, 21b : 수직판
22a, 22b : 나사봉 23a, 23b : 압착판
24a, 24b : 손잡이
본 고안은 수평유지판에 낙하 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편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고, 시편 세팅과 동시에 시편의 수직도가 정확히 맞춰질 수 있게 함으로써, 시편 고정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직도를 맞추는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한 시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하 시험용 시편 예컨대, 각형 부재의 상하단에 수평유지판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편(10)의 상하단에 수평유지판(11)을 각각 맞댄 다음 시편과 수평유지판 사이에 수직도가 요구되는 삼각그리하여 판체를 융착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 시편마다 삼각형 판체를 이용하여 수평유지판과의 수직도를 맞추면서 융착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정확한 수직도를 맞추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용접에 의해 시편이 열변형 됨으로써, 정확한 시험값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평유지판상에 시편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를 가변시켜가면서 고정시켜줄 수 있는 한편, 고정과 동시에 시편의 수직도를 정확히 맞추어 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시편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시편에 적용가능하고, 수직도를 맞추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히 2개의 수직판(21a), (21b)과, 상기 수직판(21a), (21b)의 중심에 수평으로 관통체결되는 2개의 나사봉(22a), (22b)과, 상기 나사봉(22a, 22b)의 선단부에 수직부착되는 각각의 압착판(23a, 23b)으로 구성된 고정수단(20)을 수평유지판(11) 위에 전후 좌우대칭구조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2개의 수직판(21a, 21b) 중에서 바깥쪽에 위치되는 수직판(21a)은 안쪽에 위치되는 수직판(21b) 보다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편의 나사봉(22a, 22b)은 서로 마주보면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편의 나사봉(22a), (22b)의 후단부에는 손잡이(24a), (24b)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시편 고정장치는 사각단면을 갖는 시편의 각각의 면을 하나씩 지지해 줄 수 있는 4개의 고정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20)은 일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히 2개의 수직판(21a), (21b)과, 상기 수직판(21a), (21b)의 중심을 수평관통하면서 체결되는 2개의 나사봉(22a), (22b)과, 상기 나사봉(22a), (22b)의 선단부에 그 중심이 수직부착되는 2개의 압착판(23a), (23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판(21a), (21b)은 사각단면을 갖는 시편(10)의 한면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바깥쪽과 안쪽에 배치되며, 특히 안쪽에 배치되는 수직판(21b)은 단면 바깥쪽보다 상대적으로 공간제약을 받게 되는 단면 안쪽에 배치되는 특성으로 인해 바깥쪽에 배치되는 수직판(21a)에 비해 적은 면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판(21a), (21b)의 중심에는 두께를 관통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후술하는 나사봉(22a), (22b)이 체결되면서 피치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나사봉(22a), (22b)은 봉형 몸체의 전길이가 나사부로 되어 있는 형태 마치, 보울트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나사봉(22a), (22b)은 상기 수작판(21a), (21b)의 나사구멍에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즉, 나사봉의 선단이 수직판 사이 구간에 모여질 수 있도록 하나씩 체결되고, 봉 축선 방향을 따라 피치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체결되는 양편의 나사봉(22a), (22b)은 동일선상 예컨대,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편의 양면에 균형있는 압착력이 가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나사봉(22a), (22b)의 후단부에는 손잡이(24a), (24b)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때 손잡이(24a), (24b)는 작업자가 공구없이 직접 조작이 가능한 나비모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착판(23a), (23b)은 시편의 양면에 직접 밀착되면서 실질적으로 시편을 눌러주는 판부재이다.
이때의 압착판(23a), (23b)은 상기 나사봉(22a), (22b)의 선단부에 수직자세로 위치되면서 그 중심부가 부착고정된다.
이에 따라, 압착판(23a), (23b)은 나사봉(22a), (22b)의 피치이동시 이와 함께 전후 유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고정수단(20)은 수평유지판(11) 상에서 전후 좌우 대칭구조로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시편을 고정하기 위한 형태로 조합되게 된다.
즉, 4개의 고정수단중에서 수평유지판(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편에 각각 하나씩 2개가 배치되고, 이것과 교차하는 방향 즉, 전후 양편에 각각 하나씩 나머지 2개가 배치되어, 총 4개의 고정수단이 전후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조합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합되는 각 고정수단(20)의 안쪽에 위치되는 나사봉(22b)을 조작하여 시편의 각 안쪽면에 맞도록 안쪽 압착판(23b)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시편을 세워진 상태로 삽입시키면 시편의 각 안쪽면은 압착판(23b)의 전면에 밀착되라면 고정될 수 있게 되며, 계속해서 바깥쪽에 위치되는 나사봉(23a)을 조작하여 시편의 바깥쪽면에 바깥쪽 압착판(23b)을 밀착시킴으로써, 시편을 완전히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압착판(23a), (23b)을 이용하여 시편이 갖는 4개의 면을 동시에 고정시키게 되면, 불규칙한 시편의 하단을 수평유지판(11)의 윗면에 완전히 말착시키지 않고 면을 기준으로 하여 시편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시편의 수직도는 자연히 맞추어지게 된다. 즉, 따로 시편의 수직도를 맞출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은 나사봉(22a), (22b)의 조작을 통한 각 압착판(23a), (23b)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단면크기를 갖는 여러 종류의 시편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는 호환성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호환성을 갖는 시편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편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편 고정작업에 따른 불편함 예컨대, 수직도 맞추는 작업 등을 완전히 배제될 수 있으며, 열변형에 의한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시험값을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한 2개의 수직판(21a), (21b)과, 상기 수직판(21a), (21b)의 중심에 수평으로 관통테결되는 2개의 나사봉(22a), (22b)과, 상기 나사봉(22a, 22b)의 선단부에 수직부착되는 각각의 압착판(23a, 23b)으로 구성된 고정수단(20)을 수평유지판(11) 위에 전후 좌우대칭구조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직판(21a, 21b) 중에서 바깥쪽에 위치되는 수직판(21a)은 안쪽에 위치되는 수직판(21b)보다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편의 나사봉(22a, 22b)은 서로 마주보면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22a), (22b)의 후단부에는 손잡이(24a), (24b)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KR2019950044565U 1995-12-20 1995-12-20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KR200158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565U KR200158453Y1 (ko) 1995-12-20 1995-12-20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565U KR200158453Y1 (ko) 1995-12-20 1995-12-20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71U KR970044971U (ko) 1997-07-31
KR200158453Y1 true KR200158453Y1 (ko) 1999-10-15

Family

ID=1943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565U KR200158453Y1 (ko) 1995-12-20 1995-12-20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4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399B1 (ko) 2017-09-19 2018-03-22 박명원 미소 경도 시험기용 시편 고정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399B1 (ko) 2017-09-19 2018-03-22 박명원 미소 경도 시험기용 시편 고정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71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9120B1 (de) Lagervorrichtung
KR100196475B1 (ko) 취부보조부재
WO2006105902A1 (de) Kraftmessvorrichtung
KR200158453Y1 (ko) 낙하시험용 시편을 고정하는 장치
JP2001235409A (ja) 細線試料試験治具
CN210570486U (zh) 一种扫描定位治具
EP2529850B1 (de) Biegewinkelsensor und Verfahren zum Messen eines Biegewinkels
DE10255456B4 (de) Längenmessgerät
DE19828779C2 (de) Aufnahmesystem für Formteile
DE102007060606B4 (de) Koordinatenmessgerät mit Kompensation von thermisch bedingten Längenänderungen für die Koordinatenbestimmung
CN206804563U (zh) 一种用于ebsd测试的装置
KR101568027B1 (ko) 시편 고정용 클램핑 장치
DE19811394A1 (de) Einrichtung zur Ortung von auf eine Fläche ausgeübten Druckkräften
JPS6267311A (ja) シヤシクランプ
DE3313861A1 (de) Halterung fuer ein paar von planspiegeln und eine kugel in einer interferometer-laengenmesseinrichtung
DE102019215294B4 (de) Robotik-Kraftmesseinrichtung
JP3008649U (ja) ピン立て治具
JPH0240519Y2 (ko)
DE4428765A1 (de) Gerät
EP1537443A1 (de) Ortungsgerä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tungsgerätes
JPH0750803Y2 (ja) 取付装置
KR200159651Y1 (ko) 홀더의 탄성측정 지그
RU228525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й на послойное скалывание
JPH0255914A (ja) フランジ取付治具と一体にした水平器及び直定規保持機構
JPH0626680Y2 (ja) 柱型枠締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