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148Y1 - 쇼케이스의 선반 - Google Patents

쇼케이스의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148Y1
KR200158148Y1 KR2019970029219U KR19970029219U KR200158148Y1 KR 200158148 Y1 KR200158148 Y1 KR 200158148Y1 KR 2019970029219 U KR2019970029219 U KR 2019970029219U KR 19970029219 U KR19970029219 U KR 19970029219U KR 200158148 Y1 KR200158148 Y1 KR 200158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howcase
height
hinge
righ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882U (ko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9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14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A47F3/147Display trays or containers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쇼케이스의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내에 위치되어 상품을 진열해 놓는 선반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증대시키는 쇼케이스의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쇼케이스의 선반은 고내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철사망(6)과, 상기 철사망(6)의 길이 방향 양끝단에 결합되어 소정의 틀을 유지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배치되는 좌우프레임(7)(8)과, 상기 좌우프레임(7)(8)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양단이 좌우프레임(7)(8)에 각각 결합되는 플랜지(11)를 구비한 힌지(10)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프레임(7)(8)은 힌지(10)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쇼케이스의 선반은 고내의 선반설치홈에 위치고정을 이루는 선반의 높이 조절시 힌지를 중심으로 절첩시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신속하게 선반의 높이조절을 완료할 수 있어 고내의 냉기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쇼케이스의 선반
본 고안은 쇼케이스의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내에 위치되어 상품을 진열해 놓는 선반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증대시키는 쇼케이스의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냉장이나 냉동을 필요로 하는 식품이나 음료수 등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진열 및 판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기로서, 고내(庫內)의 냉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차단하여 저장된 상품을 저온상태로 유지, 보존하여야 하며, 또한 고내에 진열된 상품을 소비자에게 산뜻하고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쇼케이스는 냉동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열역학적 성질에 의한 냉매를 콤프레샤, 응축기,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진 폐회로(냉동 사이클)내로 이동시켜 기화할 때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는 원리를 이용하므로 식품을 오래도록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의 쇼케이스는 냉각장치에서 발생된 냉기를 고내로 유입하여 선반에 놓여진 상품을 냉장 및 냉각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쇼케이스 선반은 다층을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상품을 진열하도록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쇼케이스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쇼케이스(100)의 고내(110) 측벽에 형성된 선반설치홈(130)과, 이 선반설치홈(130)에 끼워져 위치고정을 이루는 선반(14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선반설치홈(130)은 고내(110)의 좌우 측벽에 횡방향으로 다층 형성되어 선반(1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선반설치홈(130)에 끼워져 위치고정을 이루는 선반(140)은 고내(110)에서 발생된 이슬 및 물기 등이 바닥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촘촘한 철사망(141)으로 바닥을 형성하고, 이 철사망(141)이 일정한 틀을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142)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42)은 철사망(141)의 형체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선반설치홈(130)에 끼워져 안정된 위치고정을 이룬다.
즉, 상기 선반(14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철사류가 다수 배열되며, 이 철사류의 길이 방향 양끝단에 상기 프레임(142)이 결합된다.
이러한 선반(140)은 선반설치홈(130)에 끼워져 위치고정을 이룬 상태에서 바라보았을 경우에 전방 및 후방에 철사망(141)에 결합된 프레임(142)이 위치하며, 이 프레임(142)의 좌우 양단의 일부가 선반설치홈(130)에 끼워져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설치홈(130)에 위치 고정된 선반(1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반(140)을 고내(110)의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선반설치홈(130)에서 완전히 분리시키고, 이어서 높이조정이 설정된 위치에 있는 선반설치홈(130)에 상기 선반(140)의 프레임(142)을 끼운다음 고내(110)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높이조절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 선반(1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선반설치홈(130)에서 완전히 분리시키고 다시 삽입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는 작업의 신속함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도어(120)를 열어놓게 되므로 고내(110)의 냉기유출로 인한 쇼케이스(100)의 냉각효율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반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쇼케이스의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쇼케이스의 선반은 고내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철사망과, 상기 철사망의 길이 방향 양끝단에 결합되어 소정의 틀을 유지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배치되는 좌우프레임과, 상기 좌우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양단이 좌우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플랜지를 구비한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프레임은 힌지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쇼케이스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쇼케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쇼케이스 2 : 고내
3 : 도어 4 : 선반설치홈
5 : 선반 6 : 철사망
7 : 좌프레임 8 : 우프레임
10 : 힌지 11 : 플랜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쇼케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쇼케이스(1)의 고내(2) 측벽에 형성된 선반설치홈(4)에 끼워져 위치 고정을 이루는 선반(5)을 도시하고 있다.
쇼케이스(1)의 고내(2) 좌우 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선반설치홈(4)은 다층 형성되어 고내(2)에 진열되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선반(5)의 높이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선반설치홈(4)에 삽입되는 선반(5)은 쇼케이스(1)의 고내(2)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는 철사망(6)과, 이 철사망(6)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양끝단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선반(5)의 철사망(6)은 촘촘한 그물 모양으로 이루어져 고내(2)에서 발생한 이슬과 물기 등이 고이지 않고 배수구가 형성된 고내(2)의 바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여 상품의 진열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철사망(6)의 형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좌우 양끝단이 상기 선반설치홈(4)에 끼워지므로서 안정된 위치고정을 이룬다.
특히 상기의 선반(5)은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중앙부에 힌지(10)가 제공되며, 이 힌지(10)가 설치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은 소정 위치에서 전단되어 좌우로 분리된다.
즉, 상기 프레임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프레임(7) 및 우프레임(8)로 나뉘어지며, 이 좌우프레임(7)(8)의 중앙부에 상기 힌지(10)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10)는 좌우에 플랜지(11)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11)는 상기 좌우프레임(7)(8)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선반(5)은 힌지(10)를 중심으로 좌우프레임(7)(8)이 하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지며, 이 절첩된 상태에서 고내(2)의 종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선반(5)의 위치조절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쇼케이스의 선반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쇼케이스(1)의 고내(2)에 진열되는 상품은 다양한 크기가 진열되므로 그 상품 크기에 따라 선반(5)의 높이를 조절해주어야 한다.
본 고안의 선반(5)은 중앙에 설치된 힌지(10)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용이하게 높이조절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쇼케이스(1)의 도어(3)를 열고 고내(2)에 위치된 선반(5)의 저면측에서 중앙부를 잡고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선반(5)은 힌지(10)를 중심으로 절첩되면서 고내(2)의 측벽에 형성된 선반설치홈(4)에서 분리된다.
이어서, 상기 선반(5)을 상하 이동시켜 높이조정된 위치에 있는 선반설치홈(4)에 좌우프레임(7)(8)의 양끝단을 위치시켜 끼우고, 상기 선반(5)을 하방향으로 내리면 힌지(10)를 중심으로 좌우프레임(7)(8)이 수평 상태로 복귀되어 선반(5)의 위치조절을 완료한다.
따라서, 상기의 선반(5)은 힌지(10)를 중심으로 절첩시켜 좌우폭을 줄인 상태에서 상하 이동 시키므로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쇼케이스의 선반은 고내의 선반설치홈에 위치고정을 이루는 선반의 높이 조절시 힌지를 중심으로 절첩시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신속하게 선반의 높이조절을 완료할 수 있어 고내의 냉기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고내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철사망(6)과, 상기 철사망(6)의 길이 방향 양끝단에 결합되어 소정의 틀을 유지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배치되는 좌우프레임(7)(8)과, 상기 좌우프레임(7)(8)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양단이 좌우프레임(7)(8)에 각각 결합되는 플랜지(11)를 구비한 힌지(10)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프레임(7)(8)은 힌지(10)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선반.
KR2019970029219U 1997-10-21 1997-10-21 쇼케이스의 선반 KR200158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219U KR200158148Y1 (ko) 1997-10-21 1997-10-21 쇼케이스의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219U KR200158148Y1 (ko) 1997-10-21 1997-10-21 쇼케이스의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82U KR19990015882U (ko) 1999-05-15
KR200158148Y1 true KR200158148Y1 (ko) 1999-10-15

Family

ID=1951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219U KR200158148Y1 (ko) 1997-10-21 1997-10-21 쇼케이스의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21B1 (ko) * 2005-06-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21B1 (ko) * 2005-06-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82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1550A1 (en) Drawer appliance
US4505131A (en) Insulated cabinet
JP3610005B2 (ja) 横型冷蔵庫
KR200158148Y1 (ko) 쇼케이스의 선반
JP3759552B2 (ja) オープン形低温ショーケース
JP3841324B2 (ja) 冷凍・冷蔵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200380903Y1 (ko) 오픈형 워크 인 쿨러
KR19990013130U (ko) 쇼케이스의 선반설치홈
CN212815536U (zh) 冷藏柜
JPH01210792A (ja) 冷蔵庫
JPH07190581A (ja) 冷凍冷蔵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温度制御方法
JP2003166775A (ja) 冷蔵庫
KR200191863Y1 (ko) 냉장용 쇼케이스
KR0122418Y1 (ko) 냉장고
KR200348851Y1 (ko) 오픈형 워크 인 쿨러
KR200155824Y1 (ko)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JP3714720B2 (ja) 冷却貯蔵庫
US1874551A (en)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KR100271878B1 (ko) 2단온도기능의 개방형 쇼케이스
RU25382U1 (ru) Витрина холодильная
KR200164294Y1 (ko) 가판용냉장고
JP2023060479A (ja) 前面に開口部を有する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H11248330A (ja) 冷却ショーケース
JPH0996482A (ja) 2温度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H10165268A (ja) 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