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824Y1 -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824Y1
KR200155824Y1 KR2019970019355U KR19970019355U KR200155824Y1 KR 200155824 Y1 KR200155824 Y1 KR 200155824Y1 KR 2019970019355 U KR2019970019355 U KR 2019970019355U KR 19970019355 U KR19970019355 U KR 19970019355U KR 200155824 Y1 KR200155824 Y1 KR 200155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height
shelf
display devic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951U (ko
Inventor
조경삼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70019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82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69Details, e.g. night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나 식품등을 진열시키기 위한 상품진열장치(800)가, 양측 끝단이 선반(300)과 바닥판(151)에 형성된 제1관통홀(310,151)내에 설치되도록 된 받침대(810)와, 이 받침대(810)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브라켓트(820)와, 일측부가 상기 선반(300) 및 바닥판(151)에 형성된 제2관통홀(320,152)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8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높이조절볼트(830)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810)의 높낮이가 높이조절볼트(830)의 조절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본 고안은 식품등을 신선하게 저장보관시키도록 된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상품진열장치가 저장실내에 설치되어져, 상품구매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된 냉동오픈 쇼케이스이 상품진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대형 냉동오픈 쇼케이스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도록 된 하체(20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식품등을 저장보관하도록 된 저장실(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실(100)의 상측 내부에는 냉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체(200)의 내부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파이프에서 나온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하도록 된 압축기(2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압축기(210)의 측부에는 상기 압축기(210)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가스를 증발하기 쉬운 온도까지 냉각하도록 된 응축기(2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응축기(220)의 측부에는 상기 응축기(220)에 송풍하여 강제공랭을 시키도록 된 송풍팬(230)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측 내부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도시되어있지 않음)에서 나온 냉매를 저온저압으로 팽창하여 냉각시키도록 된 증발기(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증발기(110)의 하측에는 상기 증발기(110)에 낀 성에를 주기적으로 제거하도록 된 제상히터(12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냉동장치의 싸이클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도록 된 압축기(210)가 배설되어 있고, 이 압축기(21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210)에 의해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받아 고압상온의 액냉매로 응축시키도록 된 응축기(220)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응축기(220)주위에는 상기 응축기(220)에 송풍하여 강제공랭시키도록 된 송풍팬(2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응축기(220)의 일측에는 응축기(220)를 거치면서 고압상온의 액냉매로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저압으로 감압시키도록 된 모세관(240)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모세관(240)을 통과하면서 감압된 냉매를 받아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저온저압의 냉매로 기화시킴에 따라 주위공기를 차게 냉각시키도록 된 증발기(1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증발기(110)의 주위에는 제상시 상기 증발기(110)에 낀 성에를 제거시키도록 된 제상히터(120) 및 상기 증발기(110)에 의해 차가워진 주위공기를 제1도의 저장실(101)로 토출시키도록 된 송풍팬(13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파이프를 통해 압축기(210)로 유입된 냉매가스는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되고, 상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20)로 유입되어 고압상온의 액냉매로 상변화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220)를 통과한 고압상온의 액냉매는 모세관(240)을 통과하면서 감압된 후, 증발기(110)로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110)로 유입된 냉매는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로 기화됨과 더불어 송풍팬(130)에 의해 저장실(101)로 토출되며, 상기 저장실(101)로 토출된 냉매는 저장실(101)을 순환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210)로 재유입되는 냉동싸이클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10)에는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된 증발기온도센서(도시되어있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 증발기온도센서에서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에 의해 감지되며, 이 제어부는 상기 증발기온도센서에서 발생된 신호와 최적상태로 운전되기 위한 상기 증발기(110)의 운전상태를 비교/분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10)에 성에가 많이 끼어 증발기(110)가 최적상태로 운전되지 못하다고 상기 제어부가 판단을 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상히터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 제상히터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제상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상히터(120)를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제상히터(1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110)에 낀 성에가 제거되어 증발기(110)가 최적상태로 운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저장실(101)에는 제5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선반(30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선반(300)의 상부면에는 사각박스형상의 받침대(500)가 다수개 설치되되, 상기 받침대(500)가 계단모양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300)과 받침대(500)의 상부면에는 식품이 담겨진 다수개의 용기(600)가 진열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동오픈 쇼케이스에 의하면, 기설정된 높이를 갖춘 받침대(500)가 선반(3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용기(600)의 진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받침대(500)의 높이를 높이거나 또는 낮추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받침목을 제작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관리비용이 상승되어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받침대와 지지브라켓트와 높이조절볼트로 이루어진 상품진열장치가 선반에 설치되어져, 상기 받침대의 높낮이가 높이조절볼트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므로, 별도의 받침목을 사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던 종래의 받침대보다 관리비용이 저감되어 실용성이 증진되도록 된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는, 상부면에 용기가 진열되도록 된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브라켓트와, 이 지지브라켓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높이 조절볼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선반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받침대가 설치되도록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설치되도록 제2관통홀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저장실 바닥판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받침대가 설치되도록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설치되도록 제2관통홀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사시도.
제2도는 하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쇼케이스이 측면도.
제3도는 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쇼케이스의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냉동장치 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5도는 종래의 받침대가 선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진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상품진열장치가 선반과 바닥판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저장실
102 : 토출구 150 : 바닥판
151,310 : 제1관통홀 152,320 : 제2관통홀
200 : 하체 300 : 선반
600 : 용기 800 : 상품진열장치
810 : 받침대 820 : 지지브라켓트
830 : 높이조절브라켓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진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7도는 본 고안의 상품진열장치가 선반과 바닥판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상품진열장치(800)는, 저장실(101)내의 선반(300) 및 상기 저장실(101)의 바닥판(150)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상품진열장치(800)는, 상부면에 반찬이나 식품등이 담겨진 용기가 진열되는 받침대(810)와, 이 받침대(8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810)를 지지하도록 된 소정형상의 지지브라켓트(820)와, 이 지지브라켓트(8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8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높이조절볼트(8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300)의 소정부위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810)의 양측부가 설치되도록 제1관통홀(310)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높이조절볼트(830)가 설치되도록 제2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150)의 소정부위에도 상기 선반(300)과 마찬가지로, 상기 받침대(830)의 양측부가 설치되도록 제1관통홀(151)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높이조절볼트(830)가 설치되도록 제2관통홀(15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300) 및 바닥판(150)에 형성된 제2관통홀(1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830)의 나사부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나사부(도시되어있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볼트(830)의 끝단부를 선반(300)에 형성된 제2관통홀(320) 및 바닥판(150)에 형성된 제2관통홀(152)에 관통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높이조절볼트(830)의 상부에 받침대(810)를 설치하게 되면, 지지브라켓트(820)의 하단면과 상기 높이조절볼트(830)의 상부면이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받침대(810)가 높이조절볼트(830)에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810)의 양측 끝단부는, 상기 선반(300)에 형성된 제1관통홀(310) 및 바닥판(150)에 형성된 제2관통홀(151)을 통과하여 설치되게 된다.
다음, 쇼케이스 관리자가 상품의 진열을 위해 상기 받침대(81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받침대(810)을 들어올린 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높이조절볼트(830)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볼트(830)의 나사부가 선반(300) 및 바닥판(151)에 형성된 제2관통홀(320,15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높이조절볼트(830)를 원하는 높이까지 조절한 다음, 상기 받침대(810)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받침대(8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볼트(830)를 이용하여 받침대(810)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상품진열장치(800)는, 별도의 받침목을 사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던 종래의 받침대(500; 제5도에 도시됨)보다 관리비용이 저감되어 실용성이 증진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받침대와 지지브라켓트 및 높이조절볼트로 이루어진 상품진열장치가 저장실내의 선반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받침대의 높낮이가 높이조절볼트의 조절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어져, 관리자 및 상품구매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면에 반찬이나 식품등이 담겨진 용기가 진열됨은 물론 양측 끝단이 선반(300)과 바닥판(151)에 형성된 제1관통홀(310,151)내에 설치되도록 된 받침대(810)와, 이 받침대(8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810)를 지지하도록 된 소정형상의 지지브라켓트(820)와, 상부면이 상기 지지브라켓트(820)의 하측에 설치됨은 물론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일측부가 선반(300) 및 바닥판(151)에 형성된 제2관통홀(320,152)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8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높이조절볼트(830)로 이루어진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KR2019970019355U 1997-07-22 1997-07-22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KR200155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355U KR200155824Y1 (ko) 1997-07-22 1997-07-22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355U KR200155824Y1 (ko) 1997-07-22 1997-07-22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51U KR19990005951U (ko) 1999-02-18
KR200155824Y1 true KR200155824Y1 (ko) 1999-09-01

Family

ID=1950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355U KR200155824Y1 (ko) 1997-07-22 1997-07-22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8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51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3373A (ko) 다기능으로 작동할 수 있는 냉장 시스템
EP1184634B1 (en) A refrigerated merchandis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ed merchandiser system
KR200155824Y1 (ko) 냉동오픈 쇼케이스의 상품진열장치
KR100443317B1 (ko) 냉장 쇼케이스
KR200157699Y1 (ko) 냉동오픈 쇼케이스
CN1862167A (zh) 泡菜冰箱
EP3171106B1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use of a refrigerated display case
JP2016223688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制御方法
JP2016223687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KR100203072B1 (ko) 냉장고의 냉각팬구동제어장치 및 방법
JP2005114266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ヒータ容量制御方法
KR200283650Y1 (ko) 냉장 쇼케이스
KR100202623B1 (ko) 급속동결기능겸용 냉장고
KR200191863Y1 (ko) 냉장용 쇼케이스
KR100451350B1 (ko) 냉장고
KR200176438Y1 (ko) 쇼케이스의 냉동장치
KR200158148Y1 (ko) 쇼케이스의 선반
JP2004251515A (ja) 冷凍冷蔵庫
JP2004011997A (ja) 冷蔵庫
KR19990009780U (ko) 쇼케이스
JP2001141347A (ja) 冷蔵庫
KR100386503B1 (ko) 김치 냉장고
KR19990016841A (ko) 독립냉각방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250094B1 (ko) 냉각 저장고
KR20040014868A (ko) 냉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