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140Y1 - 수영모용 직물지 - Google Patents

수영모용 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140Y1
KR200158140Y1 KR2019970013486U KR19970013486U KR200158140Y1 KR 200158140 Y1 KR200158140 Y1 KR 200158140Y1 KR 2019970013486 U KR2019970013486 U KR 2019970013486U KR 19970013486 U KR19970013486 U KR 19970013486U KR 200158140 Y1 KR200158140 Y1 KR 200158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wimming
layer
present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186U (ko
Inventor
이지관
Original Assignee
이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관 filed Critical 이지관
Priority to KR2019970013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140Y1/ko
Publication of KR970051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수영모의 제조에 사용되는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영모가 요하는 다양한 기능적인 특성을 충족시키며, 착용감이 좋은 수영모용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영모용 직물지는, 원단층(11)과 코팅층(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층(11)은 스판과 나일론이 소정비율로 혼방직조된 원단층(11)과, 상기 원단층(11)의 일표면에 폴리우레탄의 코팅층(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방수성 및 신축성이 향상되고, 부드러우면서도 질긴 성질을 나타내게 되고, 또한 가볍게 되는 특성으로 각종 스포츠 또는 레저용은 물론 특히 수영모용 직물지로 적합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수영모용 직물지
본 고안은 특히 수영모의 제조에 사용되는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영모가 요하는 다양한 기능적인 특성을 충족시키며, 착용감이 좋은 수영모용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복, 헬스복, 수영복, 에어로빅복, 땀복 등의 스포츠 또는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직물지는 상시복에 비해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기능성을 갖는 직물지인 것이 요구된다.
특히 본 고안이 다루고자 하는 품목인 수영모는 방수성 및 신축성이 좋아야 하며, 부드러우면서도 질겨야 하며, 또한 가벼워야 하는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수영모는 라이크라(lycra)라 통칭되는 비교적 신축성직물지인 스판(span)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나아가 합성피혁이나 실리콘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상기 스판재질만의 수영모원단은 누수 및 자체만으로는 너무 얇게 직조되어지는 등으로 수영모가 요구하는 본래의 특성을 나타낼 수 없으며, 합성피혁은 한쪽만 신축성이 있게 되며, 또한 실리콘은 심한 압박감 및 작은 흠집에도 길게 찢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 스판 대신에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소정비율로 혼방된 직물지를 사용하거나, 방수 및 그밖의 특성을 위해 그 일표면에 폴리우레탄의 코팅층을 형성하여 사용하거나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수영모원단 역시 폴리에스테르섬유의 특성에 의해 수영모가 요구하는 본래의 기능적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었으며, 또한 직조가 까다로와 국내에서 생산되는 것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수입에 의존하게 되어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수영모용 직물지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영모가 요하는 다양한 기능적인 특성을 충족시키며, 착용감이 향상되며,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수영모용 직물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영모용 직물지는, 스판과 나일론이 소정비율로 혼방된 원단을 형성하고, 상기 원단의 일표면에 폴리우레탄의 코팅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판과 나일론의 비율은 스판 32%와 나일론 6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스포츠용품의 일예인 수영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직물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직물지 11 : 원단층
12 : 코팅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수영모 직물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영모 직물지(10)는, 원단층(11)과 코팅층(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층(11)은 스판과 나일론이 소정비율로 혼방직조된 것이며, 상기 코팅층(12)은 폴리우레탄의 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원단층(11)을 이루는 스판과 나일론의 비율은 스판 32%와 나일론 68%인 것이 바람직하고, 코팅층(12)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원단층(11)이 스판과 나일론으로 직조되어지는 까닭에 상기 원단층(11)은 통칭 트리코트조직이 형성되고, 또한 그 일표면에 100%의 폴리우레탄 코팅층(12)이 형성된 까닭에 수영모가 요구하는 방수성 및 신축성이 향상되고, 부드러우면서도 질긴 성질을 나타내게 되고, 또한 가볍게 되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원단의 제조는 그리 까다롭지 않게 되고, 그 원사 역시 비교적 저렴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직물지를 수영모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을 용이하기 위한 것이며, 단지 수영모제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운동복, 헬스복, 수영복, 에어로빅복, 땀복 등의 원단으로 이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영모용 직물지는, 스판과 나일론이 소정비율로 혼방된 원단을 형성하고, 상기 원단의 일표면에 폴리우레탄의 코팅층을 형성한 구조에 의해, 방수성 및 신축성이 향상되고, 부드러우면서도 질긴 성질을 나타내게 되고, 또한 가볍게 되는 특성으로 각종 스포츠 또는 레저용은 물론 특히 수영모용 직물지로 적합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원단층(11)과 코팅층(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층(11)은 스판과 나일론이 소정비율로 혼방직조된 원단층(11)과, 상기 원단층(11)의 일표면에 폴리우레탄의 코팅층(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모용 직물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층(11)은 스판 32%와 나일론 6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모용 직물지.
KR2019970013486U 1997-06-05 1997-06-05 수영모용 직물지 KR200158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486U KR200158140Y1 (ko) 1997-06-05 1997-06-05 수영모용 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486U KR200158140Y1 (ko) 1997-06-05 1997-06-05 수영모용 직물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186U KR970051186U (ko) 1997-09-08
KR200158140Y1 true KR200158140Y1 (ko) 1999-10-15

Family

ID=1950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486U KR200158140Y1 (ko) 1997-06-05 1997-06-05 수영모용 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1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880A (ko)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스킨핏 수영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880A (ko)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스킨핏 수영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186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663B2 (en) Article of apparel with material elements having a reversible structure
ATE403022T1 (de) Elastisches gewebe mit hoher dichte
CN110042529B (zh) 多色的三明治布及使用其制成的衣物
US20040224121A1 (en) Towel fabric with cotton and microfiber faces
KR200158140Y1 (ko) 수영모용 직물지
JP2019199669A (ja) デニム生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52850Y1 (ko) 한지 원사를 포함하는 커버링 원사
CN212357521U (zh) 一种山形斜纹外观效果色纺面料
JP2000054241A (ja) 新しい外観の織物
WO2020017194A1 (ja) 衣服
KR20090008943U (ko)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CN210047153U (zh) 防泼水泼油面料
KR200348654Y1 (ko) 실크느낌의 고 신축성 줄무늬 경편직물
KR200236899Y1 (ko) 직물용 삼합사
JPH0220219Y2 (ko)
JP2002266106A (ja) ストッキング類
CN210940840U (zh) 一种再生涤纶环保纱弹力面料
KR200410497Y1 (ko) 실크 스타킹의 실크혼합사
CN207435648U (zh) 一种抗静电耐摩擦面料
KR200384787Y1 (ko) 광택이 나는 면스판 직물지
KR101766063B1 (ko) 비신축사를 이용한 신축성 직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34069B1 (ko) 스판덱스의 구조
JP2000096385A (ja) 細巾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544059A (zh) 一种用于工业的面料
KR200271233Y1 (ko) 밴드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004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231

Effective date: 2002080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110

Effective date: 2001112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20000725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231

Effective date: 20020802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231

Effective date: 200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