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943U -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 Google Patents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943U
KR20090008943U KR2020080002796U KR20080002796U KR20090008943U KR 20090008943 U KR20090008943 U KR 20090008943U KR 2020080002796 U KR2020080002796 U KR 2020080002796U KR 20080002796 U KR20080002796 U KR 20080002796U KR 20090008943 U KR20090008943 U KR 200900089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yarns
fabric
middle guid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근
Original Assignee
윤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근 filed Critical 윤수근
Priority to KR2020080002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943U/ko
Publication of KR20090008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9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21/08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에 관한 것으로, 탄성섬유의 백 / 가이드 바아(L1)의 사가 1-0/1-2 또는 1-0/2-3조직으로 편성되고,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사가 1-0/1-2, 1-0/2-3, 1-0/3-4, 1-2/1-0, 2-3/1-0 또는 3-4/1-0조직으로 편성되고,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사가 1-0/1-1 또는 1-0/0-0 조직으로 편성되고,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사가 0-0/0-1 또는 0-0/1-0조직으로 각기 편성되어서, 상기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사에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사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사가 지그재그로 각각 교차하여 편성됨으로써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면서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원단 표면에 사선 줄무늬를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능직물과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綾織物, 경편직물, 사선 줄무늬, 형태안정성

Description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high elastic warp knitted fabric of woven fabric-like feeling}
본 고안은 직조(織組)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경사 및 위사가 교차하여 직성(織成)된 직물(織物), 특히 사선 줄무늬가 있어 능직물(綾織物)과 같은 느낌을 주면서 신축성 및 착용감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고급 분위기의 추동복 정장의류에 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의류의 패션 경향은 디자인 및 스타일 측면에서 특색이 있음은 물론이고 착용시 활동에 장애가 없고 잘 구겨지지 않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소재로 된 의류를 선호하고 있다.
예로부터, 경위사가 교차되어 직성된 직물, 즉 제직물(製織物)은 의류로 봉제되었을 때 제편물(製編物)에 비하여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남녀 슈트의 재킷 및 바지 등의 외출용 정장 의류에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이들 제직물은 신축성이 떨어지므로 신체의 움직임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없어 착용시 활동이 자유롭지 못한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패션 추세에 부응하여 현재 거의 모든 제직 원단에는 탄성사가 함유되어 형성되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 및 위사 직성에 의한 제직물의 경우 탄성사가 함유되었다고 하여도 구조적으로 편직물보다는 신축성이 떨어지고 신체 움직임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없어 착용감이 저조하였다.
한편, 편직물의 경우 그 편성구조상 제직물에 비하여 신축성이 뛰어나서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 자재로이 변형가능하므로 착용감은 우수하지만, 형태안정성이 저조하여 주로 스웨터류 및 스포츠 의류용 원단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패션스타일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외출용 재킷 등의 고급 정장의류로는 그 활용도가 저조하였다.
그래서, 상기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성물을 개발할 경우, 기존의 직물에 비해 새로운 심미감을 부여하면서 활동이 편리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므로 많은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부가가치의 편직 원단의 생산으로 수출량을 크게 높일 수 있음을 깨닫고 당업계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새롭고 독특한 문양의 편성 제품을 개발하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 한 일례로 최근에는 강연사를 사용하여 편직물을 편성함으로써 형태안정성을 높이면서 착용감을 높인 편성 원단이 개발되었으며, 이 편성 원단으로 형성된 외출용 여성 정장 재킷 및 바지 등은 지금까지의 통상 직물원단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색다른 문양 및 촉감을 제공하면서도 신축성이 뛰어나고 또 기존의 일반 편성물과는 달리 장기간 착용에도 불구하고 형태안정성이 매우 높아서 전세계 여성층으로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강연사에 의한 편직물은 그 제조단가가 고가이어서 일반 의류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봉제에도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최근의 전 세계적 패션 성향을 간파하고, 신축성이 좋아 착용감이 우수하고 물세탁이 가능하면서도 형태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남녀 정장 슈트의 재킷 및 바지와 원피스 등의 외출용 고급 원단으로 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경편직물을 개발하고자 다년간 연구를 경주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특수한 편성구조 및 편성 방식으로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경편직물 본래의 특성상 구비되는 신축성에 배가하는 큰 신축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신체 피부에 달라붙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가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물세탁시에도 형태안정성을 유지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외관상 경사 및 위사의 교차에 의해 직성된 제직물과 같은 느낌을 부여하여 추동용 남녀 외출 정장복에 매우 적합한 고 부가가치 경편직물을 제조하게 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은, 탄성섬유의 백 가이드 바아의 사가 1-0/1-2 또는 1-0/2-3조직으로 편성되고, 제1 미들 가이드 바아의 사가 1-0/1-2, 1-0/2-3, 1-0/3-4, 1-2/1-0, 2-3/1-0 또는 3-4/1-0조직으로 편성되고, 제2 미들 가이드 바아의 사가 1-0/1-1 또는 1-0/0-0조직으로 편성되고, 프런트 가이드 바아의 사가 0-0/0-1 또는 0-0/1-0조직으로 각기 편성되어서, 상기 제1 미들 가이드 바아의 사에 제2 미들 가이드 바아의 사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의 사가 지그재그로 각각 교차하여 편성함으로써 원단 표면에 사선 줄무늬를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능직물과 같은 느낌을 주며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은 백 가이드 바아가 비작동인 상태에서 제1, 2 미들 가이드 바아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에 의해 상기와 동일방식으로 편성될 경우에도 충분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백 가이드 바아의 사에 탄성섬유가 적용될 경우 더욱 큰 신축성을 얻을 수 있어 착용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백 가이드 바아의 사에 적용되는 탄성섬유에 의한 탄성사(elastomeric yarn)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polyester elastomer),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드(polyamide elastomer) ,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polyurethane elastomer), 불소계 엘라스토머, 폴리카보네이트 엘라스토머(polycarbonate elastomer), 또는 합성고무상 탄성사를 들 수 있으며, 특히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과 같은 폴리머 디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저분자사슬신장제 또는 말단정지제를 반응시켜 얻어지며, 그중 폴리에테르형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부터 성형된 탄성사가 열안정성이 우수하므로 가장 바람직하며, 또 통상 춘추용 원단으로 적용되는 탄성사의 굵기는 20D-100D정도 범위이다.
상기 제1 및 제2 미들 가이드 바아와 프런트 가이드 바아에는 필요에 따라 동일 또는 각기 다른 재질 및 굵기의 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에 적용되는 섬유로는 합성섬유 단독 또는 합성섬유에 인견섬유 및 면이나 모섬유 등의 천연섬유가 혼합된 혼방사가 적용될 수 있고, 사의 굵기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20D-300D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미들 가이드 바아와 프런트 가이드 바아의 모두가 20-30D 범위 내의 사를 적용할 경우 원단이 얇으며 다소 까칠까칠한 고급 능직물과 같은 분위기 및 촉감을 부여할 것이고, 200-300D의 굵은 사를 적용할 경우 사선 줄무늬가 뚜렷한 두꺼운 능직물처럼 편성될 것이다.
합성섬유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블렌드(blend)의 폴리에스테르섬유가 주로 적용되며, 경우에 따라 나일론6, 나일론66,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블렌드의 폴리아미드섬유도 적용될 수 있다.
인견섬유로는 비스코오스 레이온(viscose rayon)은 물론 건강도(乾强度)와 습윤강력이 좋은 폴리노직(polynosic)이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강력이 보강된 특수 비스코오스 레이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미들 가이드 바아와 프런트 가이드 바아의 사에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부분연신사(partially oriented yarn:POY)를 단독 또는 이들 부분연신사를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혼방하여 적용할 경우, 벌키성이 있어 천연 모직물과 같은 감촉을 부여하며 신축성이 보다 양호하고 농담차가 있는 투톤(two-tone)의 색조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폴리아미드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부분연신사(POY)로 편성된 본 고안에 따 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은 사선 줄무늬와 함께 특유의 감촉 및 벌키성으로 천연 양모섬유로 이루어진 개버딘(gaberdine)직물과 같은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의 제1 실시례에서의 각 사의 편성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백 가이드 바아(L1), 도 1(b)는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 도 1(c)는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 및 도 1(d)는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각 조직을 나타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서의 1완전조직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례에서는, 백 가이드 바아(L1)와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는 각기 1-0/1-2, 1-0/2-3의 조직으로, 또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는 1-0/1-1, 0-0/0-1의 조직으로 편성되며, 모두 전통(full)으로 사통(絲通)된다.
즉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례에서는 상기 백 가이드 바아(L1)와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가,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그 각각에 공급된 사에 의하여 기본 바탕조직편을 형성하고, 또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와 프런트 가이드 바아(L4)가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에 지그재그식으로 교차하여 편성되므로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와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에 의해 사선 줄무늬가 형성되며, 이때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 및 프런트 가이드 바 아(L4)의 편성 루프가 바깥으로 돌아 올라가면서 편성되므로 상기 사선 줄무늬는 강하게 도드라지도록 편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조직도의 제2 실시례에서는, 도 3(a),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 가이드 바아(L1)와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는 각기 1-0/2-3, 1-0/1-2의 조직으로, 또 도 3(c),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는 1-0/0-0, 0-0/1-0의 조직으로 편성될 수 있으며, 이때도 모두 전통으로 사통되며 백 가이드 바아(L1)와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가 같은 방향의 동순으로 편성되므로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례와 신축성은 동일하나,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편성 루프가 세로로 직선으로 진행하면서 올라가므로 상기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례에서의 편성물보다는 사선 줄무늬가 다소 약하게 표출된다.
게다가, 도 5 및 도 6의 제3 실시례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이 모두 전통으로 사통되면서 백 가이드 바아(L1),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가 각기 1-0/1-2, 2-3/1-0의 조직으로, 또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가 1-0/1-1, 0-0/0-1의 조직으로 각각 편성될 경우, 이때 사선 줄무늬는 상기 제1 실시례와 같은 정도로 편직물의 표면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 실시례와는 달리, 제3 실시례에서는 백 가이드 바아(L1),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가 상호 역방향의 역순으로 진행하므로 이들 백 가이드 바아(L1),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사가 상호 교차되어 백 가이드 바아(L1)의 탄성사가 그 신축 범위 내에서 충분히 신장될 수 있으므로 신축성을 크 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에 의하면, 원단의 표면에 사선 줄무늬가 있는 경사 및 위사의 교차에 의한 능직물과 같은 느낌의 외관을 제공하면서 신축성과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착용감을 일층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편성된 생지는 통상과 같은 염색 등의 후속 마무리가공 등을 거쳐서 원하는 경편직물로 완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보온성의 증가 및 부드러운 촉감을 위하여 생지 표리(表裏)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기모 가공처리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은 제2 미들 가이드 바아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의 사가 제1 미들 가이드 바아의 사를 지그재그식으로 교차하여 경사처럼 작용하므로 원단 표면에 사선 줄무늬를 형성하며, 피부에 달라붙지 않고 또 우수한 신축성으로 착용자의 신체움직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서 착용감과 형태보유력이 매우 우수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한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은 특수 조직 및 방식으로 편성되므로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능조직의 직물과 같은 감촉 및 분위기를 제공하면서 가격이 저렴하여 추동 고급 정장의류의 원단으로 최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또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사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에 폴리아미드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부분연신사(POY)를 단독 또는 이들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로 적용할 경우 천연 능직 모직물과 같은 외관의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에 실시례를 들어 기술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반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주 내에서 본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그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례 1)
콥센트라(Copcentra) 4 가이드 바아 트리코트 경편기를 사용하여 백 가이드 바아에 40D 폴리우레탄 필라멘트사를, 제1 미들 바아(L2)에는 50D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제2 미들 바아(L3) 및 프런트 바아(L4) 각각에는 85D의 PET-POY사와 50D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의 혼방사를 동일하게 공급하고,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직으로 각기 편성하여 경편 생지 A, B, C를 얻었다.
편성된 생지들을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가공방식에 따라, 먼저 전체적으로 일정 길이로 편평하게 처리한 다음, 탈유제 및 경수연화제를 투입하여 다단계 욕조를 통과시켜 편직시 기름 및 먼지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면서 습윤 완화처리하고, 생지를 편평하게 잡아준 후 예열 고정하여, 검은색의 분산염료가 주로 용해된 염욕에서 염색처리하고, 탈수, 수세, 건조 등을 하는 순으로 후처리 가공하여 신축성이 높은 사선줄무늬가 있는 경편직물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생지들은 모두 전체적으로 외관상으로는 능직의 개버딘 모직물과 같은 감촉과 사선 줄무늬가 있었으며, 빛의 반사각도에 따라서 색상의 농담차가 있고 또 손으로 비볐을 때에도 구김이 없고 원단에 탄력이 있었다.
특히 생지 A 및 C는 외관상 비교 불가능할 정도로 감촉 및 사선 줄무늬가 동일하였으며, 색상 또한 거의 동일한 분위기를 나타내었다.
생지 B는 생지 A 및 C와는 달리, 사선 줄무늬가 표면에 덜 돌출되어 있어 감촉이 좀 더 부드러운 느낌을 주었다.
그리고 각각의 생지들을 양손으로 잡고 일정한 힘을 가해 당겨 보았을 때 백 가이드 바아(L1),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가 같은 방향의 동순으로 편성된 생지 A, B는 거의 동일한 정도로 신장되었으며, 다른 방향의 역순으로 편성된 생지 C는 이들보다 조금 더 늘어나서 신축성에 있어 약간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
생지 A 생지 B 생지 C
백 가이드 바아(L1) 1-0/1-2 1-0/2-3 1-0/1-2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 1-0/2-3 1-0/1-2 2-3/1-0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 1-0/1-1 1-0/0-0 1-0/1-1
프런트 가이드 바아(L4) 0-0/0-1 0-0/1-0 0-0/0-1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의 제1 실시례에서의 각 사 편성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로서,
도 1(a)는 백 가이드 바아(L1)의 조직도,
도 1(b)는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조직도,
도 1(c)는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조직도,
도 1(d)는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조직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의 1완전조직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의 제2 실시례에서의 각 사의 편성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로서,
도 3(a)는 백 가이드 바아(L1)의 조직도,
도 3(b)는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조직도,
도 3(c)는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조직도,
도 3(d)는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조직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의 1완전조직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의 제3 실시례에서의 각 사의 편성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로서,
도 5(a)는 백 가이드 바아(L1)의 조직도,
도 5(b)는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조직도,
도 5(c)는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조직도,
도 5(d)는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조직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의 l완전조직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 백 가이드 바아
L2 : 제1 미들 가이드 바아
L3 : 제2 미들 가이드 바아
L4 : 프런트 가이드 바아

Claims (3)

  1. 탄성섬유의 백 가이드 바아(L1)의 사가 1-0/1-2 또는 1-0/2-3 조직으로 편성되고,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사가 1-0/1-2, 1-0/2-3, 1-0/3-4, 1-2/1-0, 2-3
    /1-0 또는 3-4/1-0 조직으로 편성되고,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사가 1-0/1-1
    또는 1-0/0-0 조직으로 편성되고,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사가 0-0/0-1 또는 0-0/1-0조직으로 편성되어서, 상기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사에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사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사가 지그재그로 각각 교차하여 편성함으로써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면서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원단 표면에 사선 줄무늬를 규칙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사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가 폴리아미드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부분연신사(POY) 단독, 또는 폴리아미드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섬유의 부분연신사(POY)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의 혼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3.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사가 1-0/1-2, 1-0/2-3, 1-0/3-4, 1-2/1-0, 2-3
    /1-0 또는 3-4/1-0 조직으로 편성되고,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사가 1-0/1-1
    또는 1-0/0-0 조직으로 편성되고,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사가 0-0/0-1 또는 0-0/1-0조직으로 편성되어서, 상기 제1 미들 가이드 바아(L2)의 사에 제2 미들 가이드 바아(L3)의 사 및 프런트 가이드 바아(L4)의 사가 지그재그로 각각 교차하여 편성함으로써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면서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원단 표면에 사선 줄무늬를 규칙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KR2020080002796U 2008-03-03 2008-03-03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KR200900089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796U KR20090008943U (ko) 2008-03-03 2008-03-03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796U KR20090008943U (ko) 2008-03-03 2008-03-03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43U true KR20090008943U (ko) 2009-09-08

Family

ID=4129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796U KR20090008943U (ko) 2008-03-03 2008-03-03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94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704B1 (ko) * 2017-11-24 2019-05-27 한솔에코 주식회사 통기성이 우수한 트리코트 원단의 제조방법
KR20220135946A (ko) * 2021-03-31 2022-10-07 김춘재 신율이 우수한 트리코트 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704B1 (ko) * 2017-11-24 2019-05-27 한솔에코 주식회사 통기성이 우수한 트리코트 원단의 제조방법
KR20220135946A (ko) * 2021-03-31 2022-10-07 김춘재 신율이 우수한 트리코트 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0544B (zh) 一种高弹仿毛织物及其生产方法
CN101177831A (zh) 采用聚对苯二甲酸丙二醇酯纤维的无缝针织服装的制造方法
CN107700046B (zh) 一种做旧破洞效应仿牛仔无缝针织面料及应用
CN113718410A (zh) 一种双组分聚酯仿棉弹性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CN207210654U (zh) 一种褶皱织带
WO2016013995A1 (en) Flat over dye denim fabric
KR20090008943U (ko)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CN216040072U (zh) 一种双组分聚酯仿棉弹性针织面料
CN212611172U (zh) 一种感光变色的针织鸟眼布
KR200333933Y1 (ko) 고 신축성의 줄무늬 벨벳 경편직물
KR0124784Y1 (ko) 신축성이 우수한 경편직물
KR200348654Y1 (ko) 실크느낌의 고 신축성 줄무늬 경편직물
KR100609639B1 (ko) 니트조직을 활용한 한산모시의 의복구성 방법
JP6902331B2 (ja) 弾性経編地およびスポーツ用衣料
KR200341633Y1 (ko) 고 신축성 경편직물
KR100372224B1 (ko) 신축성이 우수한 이중 경편직물
CN215040997U (zh) 一种抗紫外针织面料
CN214612955U (zh) 一种具备凹凸感的凉感面料
KR200224598Y1 (ko) 탄성이 우수한 커트파일 경편직물
CN214572496U (zh) 一种荷兰绒烫金复印花tc布面料
CN218561770U (zh) 一种针织绉布面料
CN214244754U (zh) 一种仿呢子纬编面料
CN214646512U (zh) 一种多组分混纺交织针织布
CN218857865U (zh) 一种抗皱锦Sadaer休闲面料
CN208490891U (zh) 一种透气且可保持皮肤舒爽的跑步t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