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878Y1 -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878Y1
KR200157878Y1 KR2019960041566U KR19960041566U KR200157878Y1 KR 200157878 Y1 KR200157878 Y1 KR 200157878Y1 KR 2019960041566 U KR2019960041566 U KR 2019960041566U KR 19960041566 U KR19960041566 U KR 19960041566U KR 200157878 Y1 KR200157878 Y1 KR 200157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lt
air conditioner
lock nu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547U (ko
Inventor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41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87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5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8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응축기와 증발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와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의 한쪽 상면에 리벳팅에 의해 장착되고, 상면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록커 베이스를 구비하는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록커 베이스의 하면에 그 머리가 관통구멍을 통하여 수나사가 통과되도록 용접되는 볼트와; 볼트의 수나사에 커버의 관통구멍이 끼워진 상태에서 수나사에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너어링이 형성되며, 외주면 한쪽에 공구의 사용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렌치 홀이 형성되는 록 너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볼트의 용접으로 기밀 유지가 개선되고, 볼트와 록 너트의 체결이 용이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록 너트의 풀림, 손상 및 파손이 방지되어 제품의 조립성 및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기구적으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조립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 단가가 크게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STRUCTURE FOR MOUNTING AN AIR CONDITIONER IN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콘(air 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콘의 응축기(condenser)와 증발기(evaporator)를 설치하기 위한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bus) 등과 같은 각종 차량에는 차내의 온도를 낮추어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에어콘이 설치되고, 버스의 경우에 에어콘은 주로 루프(roof)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콘은 외부의 더운 공기를 송풍기(blower)의 구동에 의해 강제로 순환시키면서 응축기와 증발기의 작용에 의해 더운 공기를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켜 차가운 공기로 공급하는 것이다.
즉, 차량의 외부 공기가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그릴(grille)을 통하여 유입되면, 증발기는 응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에 의하여 증발잠열(蒸發潛熱)을 흡수하여 더운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는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하여 차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콘의 응축기와 증발기는 케이스(case)에 설치하여 커버(cover)와 체결 작업에 의해 조립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응축기와 증발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0)의 한쪽에 록커 베이스(locker base: 11)가 리벳팅(riveting)에 의해 장착되고, 록커 베이스(11)의 상면 중앙에 관통구멍(12)이 형성된다.
또한, 록커 베이스(11)의 상면에 커버(13)가 조립되는 것으로, 커버(13)의 한쪽에 록커 베이스(11)의 관통구멍(12)과 서로 대응되는 관통구멍(14)이 형성되며, 커버(13)의 관통구멍(14)과 록커 베이스(11)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볼트(bolt: 15)와 너트(nut: 16)가 체결된다.
이때, 너트(16)는 록커 베이스(11)의 하면에 용접(welding)에 의해 장착되고, 커버(13)와 볼트(15)의 머리(15A) 사이에 플레인 와셔(plain washer: 17)와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18)가 각각 개재된다.
그러나, 볼트(15)와 너트(16)의 체결시 순간적인 회전 또는 과부하로 인하여 발열이 발생되면서 표면용착 현상으로 손상 및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록커 베이스(11)의 관통구멍(12)과 커버(13)의 관통구멍(14)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어야만 볼트(15)의 체결이 가능해지므로, 조립 작업이 번거롭고 곤란해져 제품의 조립성이 저하되며, 조립 부품수의 증가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커 베이스(11)의 하면에 가이더(guide plate: 20)가 장착되고, 가이더(20)의 중앙에 록커 베이스(11)의 관통구멍(12)과 서로 대응되는 관통구멍(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13)의 관통구멍(14)과 록커 베이스(11)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볼트(15)를 조립시킨다. 이때, 커버(13)와 볼트(15)의 머리(15A) 사이에 다수의 접시 와셔(22)들이 개재되며, 가이더(20)의 관통구멍(21)을 통과한 볼트(15)의 끝부분에 결합구멍(23)이 형성되고, 이 볼트(15)의 결합구멍(23)에 핀(pin: 24)이 결합된다.
그러나, 접시 와셔(22)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볼트(15)의 결합구멍(23)과 핀(24)의 결합이 번거롭고 곤란해져 제품의 조립성이 저하되며, 조립 부품수의 증가로 제품의 생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시 와셔(22)들의 탄성한계이상으로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에는 탄성복원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핀(24)의 파손이 쉽게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구적으로 단순한 구성에 의해 기밀 유지가 개선되고, 제품의 조립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 단가가 절감되도록 한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응축기와 증발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와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의 한쪽 상면에 리벳팅에 의해 장착되고, 상면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록커 베이스를 구비하는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록커 베이스의 하면에 그 머리가 관통구멍을 통하여 수나사가 통과되도록 용접되는 볼트와; 볼트의 수나사에 커버의 관통구멍이 끼워진 상태에서 수나사에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너어링이 형성되며, 외주면 한쪽에 공구의 사용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렌치 홀이 형성되는 록 너트로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대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케이스(case) 31 : 록커 베이스(locker base)
35 : 볼트(bolt) 40 : 커버(cover)
45 : 록 너트(lock nut) 48 : 렌치 홀(wrench hol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응축기와 증발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30)의 한쪽 상면에 록커 베이스(31)가 리벳팅에 의해 장착되고, 록커 베이스(31)의 상면 중앙에 관통구멍(32)이 형성된다.
또한, 록커 베이스(31)의 하면에 볼트(35)의 머리(36)가 용접되며, 이때 볼트(35)의 수나사(37)는 록커 베이스(31)의 관통구멍(32)을 통하여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용접된다.
한편, 볼트(35)의 수나사(37)에는 커버(40)의 관통구멍(41)이 끼워지고, 이 볼트(35)의 수나사(37)에 록 너트(lock nut: 45)의 암나사(46)가 체결된다. 록 너트(45)의 외주면에 너어링(knurling: 47)이 형성되며, 록 너트(45)의 외주면 한쪽에 도시하지 않은 공구(tool)의 사용에 의해 록 너트(45)를 회전시킬 수 있게 렌치 홀(wrench hole: 48)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록 너트(45)의 렌치 홀(48)은 원형 또는 다각형, 기타 필요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공구는 렌치 혹은 드라이버(driv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대한 조립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커 베이스(31)의 관통구멍(32)을 통하여 볼트(35)의 머리(36)가 통과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록커 베이스(31)의 하면에 볼트(35)의 머리(36)를 용접시킨다. 이와 같이 볼트(35)의 머리(36)가 록커 베이스(31)의 하면에 용접되어 기밀 유지가 개선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볼트(35)의 수나사(37)에 커버(40)의 관통구멍(41)이 통과되도록 끼우고, 이 볼트(35)의 수나사(37)에 록 너트(45)의 암나사(46)를 체결시킨다. 이때, 작업자가 록 너트(45)의 너어링(47)을 이용하여 록 너트(45)를 돌려주게 되면, 록 너트(45)의 체결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된다.
한편, 록커 베이스(31)의 관통구멍(32)을 통하여 볼트(35)의 수나사(37)가 통과되도록 끼워지므로, 볼트(35)의 수나사(37)에 커버(40)의 관통구멍(41)을 보다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즉, 볼트(35)의 수나사(37)가 커버(40)의 관통구멍 (41)을 가이드(guide)하여 커버(40)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록 너트(45)의 렌치 홀(48)에 공구를 끼운 상태로 록 너트(45)를 체결시키게 되면, 볼트(35)의 수나사(37)에 록 너트(45)의 암나사(46)가 보다 용이하게 체결된다.
뿐만 아니라, 록 너트(45)의 풀림이 방지되고, 록 너트(45)의 손상 및 파손이 방지되어 제품의 조립성 및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그리고, 볼트(35)의 록 너트(45)의 사용으로 기구적인 구성이 단순해져 조립 부품수가 감소되므로, 제품의 생산 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각종 기구물을 체결에 의해 조립하는 데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볼트의 용접으로 기밀 유지가 개선되고, 볼트와 록 너트의 체결이 용이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록 너트의 풀림, 손상 및 파손이 방지되어 제품의 조립성 및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기구적으로 단순한 구성에 의해 조립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 단가가 크게 절감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응축기와 증발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와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의 한쪽 상면에 리벳팅에 의해 장착되고, 상면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록커 베이스를 구비하는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록커 베이스(31)의 하면에 그 머리(36)가 상기 관통구멍(32)을 통하여 수나사(37)가 통과되도록 용접되는 볼트(35)와; 상기 볼트(35)의 수나사(37)에 커버(40)의 관통구멍(41)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37)에 체결되도록 암나사(46)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너어링(47)이 형성되며, 외주면 한쪽에 공구의 사용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렌치 홀(48)이 형성되는 록 너트(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KR2019960041566U 1996-11-22 1996-11-22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KR200157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66U KR200157878Y1 (ko) 1996-11-22 1996-11-22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66U KR200157878Y1 (ko) 1996-11-22 1996-11-22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47U KR19980028547U (ko) 1998-08-05
KR200157878Y1 true KR200157878Y1 (ko) 1999-10-01

Family

ID=1947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566U KR200157878Y1 (ko) 1996-11-22 1996-11-22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8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47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633A (en) Mounting of outside rear view mirror on motor vehicle body
KR20040039868A (ko) 플랜지볼트
US6296303B1 (en) Vehicle cockpit module
KR200157878Y1 (ko) 차량용 에어콘의 설치구조
JPH10100842A (ja) ガスバッグモジュールを固定する装置
KR200367630Y1 (ko) 리시버 드라이어 고정용 브래킷 조립체
KR200257481Y1 (ko) 실외기에서의 압축기 고정구조
KR100445268B1 (ko) 실외기에서의 압축기 고정구조
KR19980050928U (ko) 차량용 에어컨의 송풍기 조립체
KR100208219B1 (ko) 챠량용 압축기를 고정시키는 텐션브라켓
WO2022028079A1 (zh) 一种车载天线组件
KR200245849Y1 (ko) 냉장고의압축기고정장치
CN117916474A (zh) 用于将装置的装置壳体紧固到机动车辆的车辆面板的紧固布置、以及机动车辆和装置
KR100224416B1 (ko) 차량의 에어컨 콘덴서 장착구조
KR200225048Y1 (ko) 대형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조립구조
KR101081963B1 (ko) 열교환기 및 팬쉬라우드 조립구조
KR200245718Y1 (ko) 에어컨실외기의평행흐름식콘덴서장착구조
KR200364674Y1 (ko) 열교환기마운팅브래킷
KR0129045Y1 (ko) 차량용 증발기의 브래킷
KR200214198Y1 (ko) 에어콘 실외열교환기의 벤딩고정구조
KR19990030500U (ko) 차량의 에어컨 컴프레셔 취부기구
KR200396173Y1 (ko) 차량 팬모터 회전속도 제어기의 결합구조
KR200144398Y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방열핀 피치 제어장치
KR200341653Y1 (ko) 보조응축기의 고정구조
KR200155479Y1 (ko) 자동차의 알터네이터고정용 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