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580Y1 -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 Google Patents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580Y1
KR200157580Y1 KR2019970000773U KR19970000773U KR200157580Y1 KR 200157580 Y1 KR200157580 Y1 KR 200157580Y1 KR 2019970000773 U KR2019970000773 U KR 2019970000773U KR 19970000773 U KR19970000773 U KR 19970000773U KR 200157580 Y1 KR200157580 Y1 KR 200157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oal
switch
frame
basket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201U (ko
Inventor
강점용
Original Assignee
강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점용 filed Critical 강점용
Priority to KR2019970000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580Y1/ko
Publication of KR970012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2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농구골대의 공이 투입되는 지점에 각종 다양한 소리가 발성발성(發聲)될 수 있는 스위치와 스피커 또는 센서를 설치하므로서 농구 경기의 도중에 공이 골인(GOAL IN)될 시에는 스위치나 센서가 작동을 하여 박수소리나 함성소리 또는 골인을 알리는 소리 등 다양한 소리가 발성될 수 있게 하여 오락성이나 유희성을 일층 개선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주대(3)의 상측에 설치된 보드(2)의 전방에는 골조(4)가 접합된 브라켓(5)을 고정수단(11)으로서 고정하고, 골조(4)의 하측에는 수개의 고리(12)를 형성하여 그물망(13)을 결속하여서 된 농구골대(1)의 구성에 있어서, 브라켓(5)의 하측에는 별도의 고정구(9)를 설치하여 힌지(8)로서 지렛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레버(6)를 축설하되, 상기 레버(6)의 타측에는 작동편(7)을 형성하여 스위치(10)를 작동할 수 있게 하고, 레버(6)는 탄성이 유지될 수 있게 스프링 등의 탄성체(14)를 설치하며, 작동편(7)의 후단에는 스위치(10)를 설치하여 골조(4)의 내부로 공이 골인이 될 경우에는 레버(6)를 작동하여 고정구(9)의 힌지(8)를 기점으로 작동편(7)이 각운동하므로서 스위치(10)를 작동하게 되어 별도로 설치된 발성수단(15)으로 다양한 종류의 발성음이 출력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본 고안은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통상의 농구골대의 공이 투입되는 지점에 각종 다양한 소리가 발성(發聲)될 수 있는 스위치와 발성수단 또는 센서를 설치하므로서 농구 경기의 도중에 공이 골인(GOAL IN)될 시에는 스위치나 센서가 작동을 하여 박수소리나 함성소리 또는 골인을 알리는 소리 등 다양한 소리가 발성될 수 있게 하여 오락성이나 유희성을 일층 개선한 것이다.
통상 근자에 들어 농구경기가 대단히 양호한 운동경기로서 알려져 길거리 농구가 성행을 하게 되고, 주로 학생의 경우는 체육시간에 농구경기를 하게 되는 바, 지금까지 주로 알려진 농구 경기시에 사용하는 농구골대의 경우는 환형의 골조를 형성하여 이의 하단부에는 임의 형상의 그물망을 설치하므로서 공을 투척하게 되면 상기 환형의 골조를 통과하면서 골인을 확인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농구골대의 경우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농구골대의 경우는 단순히 공이 골인이 되었을 경우는 스코어(SCORE)를 확인하여 경기를 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경우는 경기의 도중 골인이 되면 골인이 되었다는 별도의 확인을 할 수 있는 장치가 부재하여 경기도중 유희성이나 오락성이 크게 저조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으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기존의 농구대는 주로 어린이나 아동들의 경우는 경기의 도중 다양한 기능이 부재하여 흥미를 잃는 시간이 단축되어 대중 오락용 스포츠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므로 국민 건강에 일조하기 위해서는 농구 경기를 적극 권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농구골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기존에 보급되고 있는 농구골대의 기능에 별도의 발성음이 출력될 수 있는 장치를 부가하므로서 경기 도중 골인이 되었을 경우는 박수소리나 골인을 알리는 음성 또는 함성 소리가 출력되게 하므로서 농구 경기를 홍보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할 뿐만 아니라 주로 어린이들의 경우는 신기감을 고조하여 스포츠 또는 체육으로서의 효과도 동시에 부가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개선하므로서 각종의 스포츠용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농구골대 2 : 보드
3 : 지주대 4 : 골조
5 : 브라켓 6 : 레버
7 : 작동편 8 : 힌지
9 : 고정구 10 : 스위치
11 : 고정수단 12 : 고리
13 : 그물망 14 : 탄성채
15 : 발성수단 16 : 센서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지주대(3)의 상측에 설치된 보드(2)의 전방에는 골조(4)가 접합된 브라켓(5)을 고정수단(11)으로서 고정하고, 상기 골조(4)의 하측에는 수개의 고리(12)를 형성하여 그물망(13)을 결속하여서 된 통상의 농구골대(1)의 구성에 있어서, 브라켓(5)의 하측에는 별도의 고정구(9)를 설치하여 힌지(8)로서 지렛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레버(6)를 축설하되, 상기 레버(6)의 타측에는 작동편(7)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스위치(10)를 작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6)는 탄성이 유지될 수 있게 스프링 등의 탄성체(14)를 설치하여 복원력을 갖게 하며, 작동편(7)의 후단에는 스위치(10)를 설치하여 골조(4)의 내부로 공이 골인이 될 경우에는 레버(6)를 작동하여 고정구(9)의 힌지(8)를 기점으로 작동편(7)이 각운동하므로서 스위치(10)를 작동하게 되어 별도로 설치된 발성수단(15)으로 다양한 종류의 발성음이 출력되게 구성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하고, 다만 브라켓(5)의 하단부에 설치하는 레버(6)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10) 대신에 센서(16)를 설치하여 공이 골조(4)를 통과할 시 센서(16)가 작동하므로서 발성수단(15)에 입력된 박수소리나 함성 또는 골인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발성음이 출력되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레버(6)의 형상이나 설치위치 또는 힌지(8)의 고정구(9)에 대한 설치의 위치 및 스위치(10)의 설치위치나 형상 등은 임의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는 작업의 여건이나 설치 장소에 따라 적절히 용이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주로 길거리 농구나 학생 또는 어린이들이 농구경기를 할 시 골인이 될 시마다 다양한 종류의 출력음이 출력되게 하므로서 신기감을 고조하고,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일층 개선하여 농구 인력의 저변확대에도 일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농구골대(1)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농구골대(1)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를 하여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농구경기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농구경기를 하는 도중 가령 골인이 될 경우는 공이 골조(4)의 내부를 통해 그물망(13)을 통과하면서 골인이 되는 바, 이때 상기 골조(4)의 안쪽 내측에는 고정구(9)의 힌지(8)에 의해 레버(6)가 노출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6)의 선단에 공이 접지되면서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레버(6)는 힌지(8)를 기점으로 각운동하게 되어 후방의 작동편(7)이 작동을 하면서 스위치(10)를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위치(10)가 작동함에 따라 내부에 입력되어 있는 각종 다양한 종류의 함성이나 박수소리 또는 골인을 알리는 기타 발성음이 발성수단(15)을 통해 일정시간동안 출력되어 골인이 될 경우는 흥미감이나 유희성 또는 오락성이 크게 우수한 효과가 부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공이 골인이 되면서 레버(6)를 작동하게 되면 발성수단(15)에 의해 발성을 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6)는 브라켓(5)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탄성체(14)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를 한 상태에서 다음의 골인시 작동할 수 있는 대기 상태가 되고, 발성수단(15)의 출력음은 일정 시간동안 출력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유희성이나 오락성을 크게 개선하여 각종 대중 스포츠나 오락용으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하고, 다만 브라켓(5)에 설치되는 레버(6) 대신에 센서(10)를 설치하므로서 공이 골인이 될 경우는 골조(4)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브라켓(5) 하부에 설치된 센서(16)의 감지에 의해 발성수단(15)이 작동을 하므로서 상기 발성수단(15)에 입력된 각종의 함성이나 박수소리 또는 골인을 알리는 출력음이 출력되어 본 고안에서 목적으로 하는 신기감의 고조나 유희성 및 오락성이 크게 개선되는 등의 이점이 부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농구골대의 적정위치에 발성수단을 설치하여 레버나 센서에 의해 출력음이 발성될 수 있는 발성수단을 설치하므로서 농구경기 도중 골인이 될 시에는 내부에 입력된 회로에 의해 박수소리나 함성소리 또는 골인을 알리는 각종의 다양한 출력음이 발성되어 흥미감을 고조할 뿐만 아니라 유희성이나 오락성이 크게 개선되어 대중적인 스포츠나 오락용으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어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지주대(3)의 상측에 설치된 보드(2)의 전방에는 골조(4)가 접합된 브라켓(5)을 고정수단(11)으로서 고정하고, 골조(4)의 하측에는 수개의 고리(12)를 형성하여 그물망(13)을 결속하여서 된 농구골대(1)의 구성에 있어서, 브라켓(5)의 하측에는 별도의 고정구(9)를 설치하여 힌지(8)로서 지렛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레버(6)를 축설하되, 상기 레버(6)의 타측에는 작동편(7)을 형성하여 스위치(10)를 작동할 수 있게 하고, 레버(6)는 탄성이 유지될 수 있게 스프링 등의 탄성체(14)를 설치하며, 작동편(7)의 후단에는 스위치(10)를 설치하여 골조(4)의 내부로 공이 골인이 될 경우에는 레버(6)를 작동하여 고정구(9)의 힌지(8)를 기점으로 작동편(7)이 각운동하므로서 스위치(10)를 작동하게 되어 별도로 설치된 발성수단(15)으로 다양한 종류의 발성음이 출력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2.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5)의 하부측에 센서(16)를 설치하여 공이 골조(4)를 통과할 시 센서(16)가 작동하므로서 발성수단(15)에 입력된 박수소리나 함성 또는 골인을 확인할 수 있는 발성음이 출력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KR2019970000773U 1997-01-20 1997-01-20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KR200157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773U KR200157580Y1 (ko) 1997-01-20 1997-01-20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773U KR200157580Y1 (ko) 1997-01-20 1997-01-20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201U KR970012201U (ko) 1997-04-25
KR200157580Y1 true KR200157580Y1 (ko) 1999-10-01

Family

ID=1949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773U KR200157580Y1 (ko) 1997-01-20 1997-01-20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5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910B1 (ko) 2020-11-19 2021-07-02 (주)월드컵토이 골 감지기능을 구비한 유희용 농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910B1 (ko) 2020-11-19 2021-07-02 (주)월드컵토이 골 감지기능을 구비한 유희용 농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201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857B1 (ko) 음악 연출 게임 장치, 음악 연출 게임 방법 및 판독 가능기록 매체
TW548122B (en) Game system
EP1576987A1 (en) A trampoline
US7909698B2 (en) Input device, input determination method, game system, game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010050342A (ko) 게임 시스템
JPH08506503A (ja) 音識別ボードゲーム
GB2272169A (en) Simulation toy.
KR200157580Y1 (ko) 발성기능을 갖는 농구골대
US7435894B2 (en) Musical ball
JP2003186467A (ja) 演奏練習装置および演奏練習方法
KR200291645Y1 (ko) 골 감지장치를 구비한 농구대
KR0148063B1 (ko) 음향 발생장치
JP2509604Y2 (ja) スポ―ツゲ―ム装置
JP2001239070A (ja) 弦楽器演奏ぬいぐるみ
JP3203206U (ja) 演奏補助具
KR200333971Y1 (ko) 오락물이 구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노래방기기
RU57135U1 (ru) Матрешка русская музыкальная
KR200246006Y1 (ko) 드럼방 장치
KR19980084963A (ko) 농구공의 링 통과시 섬광 또는 차임벨 장치
KR19980019851U (ko) 음향 또는 섬광장치를 갖는 농구대
US66885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jumping game
KR200268733Y1 (ko) 전자손드럼
JPH0548151Y2 (ko)
JP3108962U (ja) 携帯電話機型玩具
JPS61189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