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006Y1 - 드럼방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006Y1
KR200246006Y1 KR2020010016465U KR20010016465U KR200246006Y1 KR 200246006 Y1 KR200246006 Y1 KR 200246006Y1 KR 2020010016465 U KR2020010016465 U KR 2020010016465U KR 20010016465 U KR20010016465 U KR 20010016465U KR 200246006 Y1 KR200246006 Y1 KR 200246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ractice
monitor
control box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국수
Original Assignee
조국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국수 filed Critical 조국수
Priority to KR2020010016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006Y1/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연주용 드럼세트로 연주하기 전에 연습용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보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멜로디를 들으면서 연습용 드럼을 이용하여 리듬 테크닉을 습득한 후 실제 악기의 연주용 드럼세트를 이용하여 연주용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보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멜로디에 맞추어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구성은 크게 리듬과 테크닉을 습득할 수 있는 다수의 연습용 드럼 및 연습용 모니터A와 연습용 모니터B와, 실제 악기의 연주용 드럼세트 및 연주용 모니터와, 상기 기기들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연주할 수 있는 스테이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는 드럼세트에 거부감이 있던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해소시켜 자연스럽게 드럼세트를 연주할 수 있게 하고, 드럼세트를 배우고자 하는 초보자에게 보다 빠른 시간에 드럼세트의 리듬과 테크닉을 습득하게 하여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하는 데 흥미를 가지게 함으로써 음악적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함으로써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동시에 리듬과 테크닉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럼방 장치{The equipment of drum's room}
본 고안은 드럼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연주용 드럼세트로 연주하기 전에 연습용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보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멜로디를 들으며 연습용 드럼을 이용하여 리듬과 테크닉을 습득한 후 실제 악기의 연주용 드럼세트를 이용하여 연주용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보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멜로디에 맞추어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는 북이라고 통칭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북이 사용되며, 심벌이라고 통칭되는 금속제 타악기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연주용 드럼세트라고 지칭되는 악기는, 통상적으로 스네어(snare), 베이스(base), 탐탐(tomtom), 하이햇(hihat), 심벌(cymbal)로 구성되는데, 상기 탐탐(tomtom)은 다시 라지 탐탐(large tomtom)과 스몰 탐탐(small tomtom)으로 나뉘고, 상기 라지 탐탐(large tomtom)은 보통 플로어 탐탐(floor tomtom)이라고도 부르며, 상기 스몰 탐탐(small tomtom)은 보통 2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주용 드럼세트의 구성에는 다양한 금속제 타악기가 추가될 수 있으며, 한국 전래 악기로서의 북이나 일본, 중국의 민속악기로서의 북을 포함하여 전 세계 각국의 북이 본 고안의 연주용 드럼세트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연주용 드럼세트의 개념에는 동, 서양 악기 여부를 불문하고, 모든 종류의 북과 금속제 타악기가 포함된다.
종래에는 드럼세트의 연주를 모사하는 장치로서 전자오락실에서 사용되는 전자오락 드럼장치가 있는 바, 이러한 전자오락 드럼장치는 실제의 드럼이나 심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고해상도 모니터와 베이스 드럼 연주를 모사하는 발 페달 장치, 드럼 및 심벌 부분을 모방한 타격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자오락기 사용자는 발 페달을 밟거나 타격부를 두들겨서 드럼 연주 행위를 모사하며, 전자오락드럼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음향을 즐기게 된다.
상기 전자오락 드럼장치는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지시에 맞추어 지정된 연주 타격부를 스틱(stick)으로 두들기는 오락게임 장치인 바, 단지 드럼 연주 행위만을 모사하는 것으로서, 실제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아니므로 타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드럼이나 심벌의 소리를 모방한 전자음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현재까지 상용화된 전자오락 드럼장치는 하나의 전자오락기로서의 기능만 할 뿐, 음악 교육용 오락장치로서의 기능은 할 수 없었으며, 발생하는 전자음향 역시 통상의 전자오락기에서 발생하는 전자 합성음이기 때문에 오히려 음악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등, 음악 교육용 오락(Edutainment)장치로서 활용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전자 오락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오락 드럼장치는, 실제 악기가 아니라 컴퓨터 합성음을 발생시키는 오락기라는 점에서, 음악 교육의 근본 목표이자 필수적인 요소인 아름다운 음향을 통한 정서적 안정과 박자, 리듬 감각의 향상에 오히려 악 영향을 끼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오락기 사용 방법 역시 실제 드럼 악기의 연주 방법과는 크게 상이하여 상기의 전자오락 드럼장치의 사용에 숙달된다 하더라도 실제 드럼 악기의 연주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음악 교육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최근의 전세계적인 오락기 시장의 지배적인 경향인 교육 겸용 오락장치(Edutainment)로서의 기능도 할 수 없었다.
또한, 전자오락 드럼장치는 음악의 연주가 목적이 아니고, 단순한 오락이 목적이어서 게임의 난이도의 변화를 위해 실제의 드럼 연주에서는 사용되지 아니하는박자가 사용된다는 점 때문에 음악 교육에 기여하는 효과가 인정될 수 없었다.
나아가, 이러한 전자오락 드럼장치의 구동 방법은, 격렬하고 연속적인 타격 연주 기법이 요구되어 많은 체력이 소모되는 실제 어쿠스틱(acoustic)드럼의 연주 방법과는 달리, 매우 제한적인 운동만을 필요로 하므로 오락기 사용자의 신체적 건강에 기여하는 정도가 미미하였다.
이에 본 고안자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0. 10. 23.자로 드럼방 장치를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등록제 224892호로 등록 받은바 있다.
그러나 본 고안자가 등록받은 상기 드럼방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주용 드럼세트는 상기에서 설명한 연주용 드럼세트를 지칭하는 악기에서 보듯이 많은 악기들로 구성되어 있어 음악적 감각이 없는 사람이나 음악적 감각이 있는 사람도 많은 연습을 하지 않고서는 연주하기 어려운 장비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드럼방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주용 드럼세트를 배우고자 하는 초보자가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하기 위하여는 지불한 금전만큼 이용할 수 있는 한정된 시간만으로는 완전한 연주를 하지 못함으로 인해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하는 데 흥미를 잃을 수 있고 또한 많은 금전적 지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한 사람만 연주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동안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연주용 드럼세트를 이용하는 데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사용자가 연주용 드럼세트로 연주하기 전에 먼저 연습용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보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멜로디를 들으며 연습용 드럼을 이용하여 리듬과 테크닉을 습득한 후 실제 악기의 연주용 드럼세트를 이용하여 연주용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보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멜로디에 맞추어 연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주용 드럼세트에 거부감이 있던 사람에게는 거부감을 해소시켜 자연스럽게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연주용 드럼세트를 배우고자 하는 초보자에게는 보다 빠른 시간에 연주용 드럼세트의 리듬과 테크닉을 습득하게 하여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하는 데 흥미를 가지게 함으로써 음악적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함으로써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드럼방 장치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즉, 초보자는 연습용 드럼을 이용하여 드럼세트의 리듬과 테크닉을 충분히 익힐 수 있도록 하였고, 전문가는 실제 악기의 연주용 드럼세트를 이용하여 연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보자와 전문가가 자연스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1도는 종래의 드럼방 장치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 3도는 연습용 드럼의 절개 사시도
제 4도는 연습용 드럼의 타격부 및 용수철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박스, 2:출입문, 3:연주용 드럼의 금전투입기, 4:연주용 드럼세트, 5:연주용 드럼의 음향센서, 6:컨트롤박스, 7:연주용 모니터, 8:스피커, 9:연습용 드럼, 10:연습용 모니터A, 11:연습용 모니터B, 12:스피커A, 13:스피커B, 14:스테이지, 15:연습용 드럼의 음향센서, 16:연습용 드럼의 금전투입기, 17:타격부, 18:용수철부, 19:지지대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드럼방 장치의 구성은 제 2도의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1)와, 상기 박스(1)에 형성된 출입문(2) 및 금전(지폐 또는 동전)투입기(3)와, 상기 박스(1)내에 일체로 형성된 연주용 드럼세트(4)와, 상기 연주용 드럼세트(4)에서 연주된 신호를 감지하는 음향센서(5)와,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6)와, 상기 컨트롤 박스(6)로부터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연주용 모니터(7)와, 상기 컨트롤 박스(6)로부터 연주용 모니터(7)에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8)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드럼방 장치에 있어서, 초보자들이 리듬과 테크닉을 익힐 수 있는 다수의 연습용 드럼(9)와, 상기 컨트롤 박스(6)로부터 리듬을 익힐 수 있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연습용 모니터A(10) 및 연습용 모니터B(11)와, 상기 컨트롤 박스(6)로부터 연습용 모니터A(10)와 연습용 모니터B(1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A(12) 및 스피커B(13)와, 상기 전체기기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연주할 수 있는 스테이지(14)가 추가로 구성된 것이다.
특히, 컨트롤 박스(6)의 제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악보의 난이도를 조정함으로써 스테이지(14)와 연주용 모니터(7)의 일측에의 다수의 연습용 드럼(9)과 연습용 모니터A(10) 및 스피커A(12)로는 초보자들이 리듬을 익힐 수 있고, 타측에의 다수의 연습용 드럼(9)과 연습용 모니터B(11) 및 스피커B(13)로는 초보자들이 리듬과 테크닉을 동시에 익힐 수 있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있어서, 연습용 드럼(9)은 제 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틱의 직접적 타격에 의하여 소리가 발생하는 고무로 된 타격부(17)와, 타격부를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소리를 공명시키게 하여 주는 용수철부(18)와, 상기 타격부(17)와 용수철부(18)를 지지해 주는 지지대(19)와, 타격부(17)의 소리를 감지하는 연습용 드럼의 음향센서(15)와, 금전을 넣을 수 있는 연습용 드럼의 금전 투입기(16)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연습용 드럼의 음향센서(15)와 연습용 드럼의 금전투입기(16)를 동, 서양 악기 여부를 불문하고 모든 종류의 북과 금속제 타악기를 포함한 개념의 드럼에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음향센서는 드럼, 심벌 또는 컨트롤 박스와 연습용 드럼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드럼방 장치 내부 어디에라도 부착될 수 있다.
금전 투입기 역시, 반드시 컨트롤 박스와 연습용 드럼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 내부 또는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 범위가 하기의 도면에 나타낸 내용으로 특정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도면의 내용은 본 고안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할 뿐이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하기 도면에 나타난 본 고안의 내용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있어서, 방음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는 정육면체, 직육면체, 원통형, 원추형등 어떠한 형상의 것이나 무방하지만, 최소한 밀폐 공간 내부에 드럼세트와 컨트롤 박스 및 모니터와, 스테이지를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드럼 초보방 장치의 내부 공간은 10㎥ 내지 40㎥이어야하며, 상기 박스의 외부 형상이 어떠 하더라도, 최소 바닥 면적이 5M²내지 20M²되어야 하며,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을 정도 크기의 출입문을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있어서,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의 외형은사용자의 시각적 즐거움과 오락 장치로서의 효용을 고려하여 여러가지의 동물이나 가옥의 형상을 모방할 수도 있고, 차량이나 비행기 형상을 모방할 수도 있으며, 드럼 악기의 형상을 모방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의 방음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의 외형 자체는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며, 당업자가 미감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등 어떠한 형상의 것이나 무관하며, 여닫이식, 덮개식, 접합식등 다양한 방식이 모두 가능하지만, 그 크기는 최소한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상 이어야 하므로, 최소한 0.5M²이상 이어야 한다.
본 고안의 컨트롤 박스는, 음향 센서들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음향 신호를 취합하여, 사용자가 연주용 모니터와 연습용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악보대로 연주용 드럼세트와 연습용 드럼을 정확하게 연주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연주자의 연주 정확도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컨트롤 박스는 연주 난이도에 따라 수십단계로 구분되는데 연주용 드럼세트와 연습용 드럼의 연주 악보가 기억된 제1기억 장치와, 연주용 드럼세트와 연습용 드럼의 연주가 계속되는 동안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멜로디 신호와 배경 영상 신호가 기억된 제2기억 장치와, 연주용 드럼세트와 연습용 드럼의 연주 방법을 1 내지 10분간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교육시키는 동영상 화면 신호와 음성 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제3기억 장치와, 음향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취합하여 연주자의 실력을 평가하고 컨트롤 박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중앙 연산장치와, 전원 공급장치 및 전원 스위치, 금전 투입 여부를 체크하여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컨트롤 박스는 이미 노래방 장비 등으로 일반에 널리 알려진 것을 개량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멜로디 음향의 옥타브, 톤, 박자를 적절하게 조정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공지의 노래방용 컨트롤 박스가 본 고안의 컨트롤 박스로 그대로 전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사용되는 음향센서 역시 이미 시중에 시판중인 각종 음향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드럼 초보방 장치의 구성에 적정한 성능을 갖는 공지의 음향센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사용되는 금전 투입기는 컨트롤 박스와 각각의 연습용 드럼에 설치되어 컨트롤 박스의 운영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사용되는 금전 투입기는 종래의 전자 오락기에 사용되는 것과 다를 바 없어 동전 및 지전 투입구가 형성되며, 거스름돈의 배출구를 가지며, 입금된 돈을 계산하고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금전에 대신하여 사용가능한 카드의 인식장치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고안의 금전 투입기 역시 이미 시중에 공지된 장비가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그대로 전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성과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사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이지와 연주용 모니터의 일측에 위치한 연습용 드럼의 금전 투입기에 동전이나 지폐 또는 카드를 투입한 후 연습용 모니터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보고 스피커A에서 나오는 멜로디를 들으며 연습용 드럼을 이용하여 충분히 리듬을 익히고, 타측에 위치한 연습용 드럼의 금전 투입기에 동전이나 지폐 또는 카드를 투입한 후 연습용 모니터B에서 디스플레이이되는 악보를 보고 또한 스피커B에서 나오는 멜로디를 들으며 연습용 드럼을 연주를 하면서 리듬과 테크닉을 충분히 습득한 후, 연주용 드럼세트의 금전 투입기에 동전이나 지폐 또는 카드를 투입한 후 실제 악기의 연주용 드럼세트를 이용하여 연주용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보고 또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멜로디에 맞추어 연주를 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제 2도의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와 연주용 모니터의 일측에는 초보자들이 리듬을 익힐 수 있는 다수의 연습용 드럼과 연습용 모니터A 및 스피커A로 구성되고, 타측에는 초보자들이 리듬과 테크닉을 동시에 익힐 수 있는 다수의 연습용 드럼과 연습용 모니터B 및 스피커B로 구성되어 있어 동시에 여러 사람이 각자의 재능에 따라 각자에게 해당되는 연주용 드럼세트 및 연습용 드럼을 연주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는, 드럼세트의 사용 방법을 단계적으로 습득하여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하는 데 흥미를 가지게 함으로써 음악적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주용 드럼세트를 연주함으로써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각자의 재능에 따라 해당되는 연주용 드럼세트와 연습용 드럼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명이 한꺼번에 즐거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3)

  1.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1);
    상기 밀폐 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2);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일체로 설치된 연주용 드럼세트(4);
    상기 연주용 드럼세트의 연주 악보와 멜로디 및 영상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6);
    상기 연주용 드럼세트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에 신호를 보내주는 음향센서(5);
    상기 컨트롤 박스에서 보내주는 드럼 연주 악보와 배경 영상 신호를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연주용 모니터(7);
    상기 컨트롤 박스에서 보내주는 음악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9);
    상기 출입문(2) 또는 컨트롤 박스(6)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나 컨트롤 박스의 전원을 단속하는 금전투입기(3)로 이루어진 종래의 드럼방 장치에 초보자들이 리듬과 테크닉을 익힐 수 있는 다수의 연습용 드럼(9)과, 상기 컨트롤 박스(6)로부터 리듬을 익힐 수 있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연습용 모니터A(10) 및 연습용 모니터B(11)와, 상기 컨트롤 박스(6)로부터 연습용 모니터A(10)와 연습용 모니터B(11)에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A(12) 및 스피커B(13)와, 상기 전체기기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연주할 수 있는 스테이지(14)를 추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초보자들이 리듬을 익힐 수 있는 다수의 연습용 드럼(9)과 연습용 모니터A(10) 및 스피커A(12)는 연주용 모니터(7)와 스테이지(14)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고, 초보자들이 리듬과 테크닉을 동시에 익힐 수 있는 다수의 연습용 드럼(9)과 연습용 모니터B(11) 및 스피커B(13)는 연주용 모니터(7)와 스테이지(14)의 타측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연습용 드럼(9)은 스틱의 직접적 타격에 의하여 소리가 발생하는 고무로 된 타격부(17)와, 상기 타격부를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소리를 공명시키게 하여 주는 용수철부(18)와, 상기 타격부(17)와 용수철부(18)를 지지해 주는 지지대(19)와, 타격부(17)의 소리를 감지하는 연습용 드럼의 음향센서(15)와, 금전을 넣을 수 있는 연습용 드럼의 금전 투입기(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방 장치.
KR2020010016465U 2001-06-02 2001-06-02 드럼방 장치 KR200246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465U KR200246006Y1 (ko) 2001-06-02 2001-06-02 드럼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465U KR200246006Y1 (ko) 2001-06-02 2001-06-02 드럼방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008A Division KR20020092110A (ko) 2001-06-02 2001-06-02 드럼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006Y1 true KR200246006Y1 (ko) 2001-10-17

Family

ID=7310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465U KR200246006Y1 (ko) 2001-06-02 2001-06-02 드럼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0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93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jam session and instructing a user in how to play the drums
CA230402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jam session and instructing a user in how to play the drums
JP2002014672A (ja) ドラム教育兼用娯楽装置
AU20012854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utilizing a plurality of sound lines which are components of a song or ensemble
KR100414509B1 (ko) 리듬 게임 장치, 리듬 게임 방법 및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조작 장치
WO2007055522A1 (en) Novel drum edutainment apparatus
CN103514866A (zh) 一种乐器演奏评分的方法及装置
WO2004038690A1 (en) Game for playing and reading musical notation
US201100282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music-based timing competition, learning or entertainment experience
US20020062729A1 (en) Cadence-providing conga drum practice pad assembly and method
JP2001246155A (ja) 音楽ゲーム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20190378430A1 (en) Visitor center and method for enhancing music appreciation
KR100334578B1 (ko) 드럼방 장치
KR200246006Y1 (ko) 드럼방 장치
KR200228418Y1 (ko) 드럼방
US6417436B1 (en) Hand-operated dancing machine
KR200224892Y1 (ko) 드럼방 장치
KR20020092110A (ko) 드럼방 장치
JPH10328375A (ja) カラオケ付きパチンコ遊技機
Hopkins Chiptune music: An exploration of compositional techniques as found in Sunsoft games for the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and Famicom from 1988-1992
US20090205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sical Sounds
JP2002066130A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200400226Y1 (ko)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전자드럼
KR200348847Y1 (ko) 효과음 출력기능을 갖는 전자드럼연주기
Khamtue et al. Learning 2D Mobile Casual Musical Pitch Training Game Application (Pitche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