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418Y1 - 드럼방 - Google Patents

드럼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418Y1
KR200228418Y1 KR2020000034975U KR20000034975U KR200228418Y1 KR 200228418 Y1 KR200228418 Y1 KR 200228418Y1 KR 2020000034975 U KR2020000034975 U KR 2020000034975U KR 20000034975 U KR20000034975 U KR 20000034975U KR 200228418 Y1 KR200228418 Y1 KR 200228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ntrol box
present
entertainment
seal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국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두기두기디알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두기두기디알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두기두기디알엠
Priority to KR2020000034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418Y1/ko
Priority to JP2001005528A priority patent/JP2002014672A/ja
Priority to CN01102219A priority patent/CN1328320A/zh
Priority to US09/878,921 priority patent/US20020002900A1/en
Priority to PCT/KR2001/001012 priority patent/WO2001097199A1/en
Priority to AU64373/01A priority patent/AU6437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418Y1/ko
Priority to HK02103265.0A priority patent/HK1041619A1/zh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 공간 내부에 드럼 세트, 컨트롤 박스,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는 음악 교육용 장비 겸 오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밀폐 공간 내부에서 실제 악기 드럼 세트를 모니터에 나타나는 악보와 멜로디에 맞추어 연주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연주의 정확도를 알 수 있게 하고, 각 사용자에게 난이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된 악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오락 기능을 부여하는 음악 교육 장비 겸용 오락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럼방{DRUM'S ROOM}
본 고안은 드럼을 활용한 음악 교육 겸 오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 공간과,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설치된 드럼 세트, 연주 난이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분류된 드럼 연주 악보 및 배경 화면 영상 신호 및 음악 멜로디를 송출하고, 프로그램를 구동하는 컨트롤 박스, 컨트롤 박스에서 송출되는 화상 신호를 보여주는 영상 모니터, 컨트롤 박스에서 보내오는 음향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등으로 이루어지는 음악 교육 겸용 오락 장치 (Edutainment)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음악 교육-오락 장치를 드럼방 장치라고 약칭하며, 하기의 고안의 구성란에서 본 고안의 드럼방을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는 북이라고 통칭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북이 사용되며, 심벌이라고 통칭되는 금속제 타악기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드럼 세트라고 지칭되는 악기는, 통상적으로 스네어(snare), 베이스(base), 탐탐(tomtom), 하이햇(hihat), 심벌(cymbal)로 구성되는데, 상기 탐탐(tomtom)은 다시 라지 탐탐(large tomtom)과 스몰 탐탐(small tomtom)으로 나뉘고, 상기 라지 탐탐(large tomtom)은 보통 플로어 탐탐(floor tomtom)이라고도 부르며, 상기 스몰 탐탐(small tomtom)은 보통 2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드럼 세트의 구성에는 다양한 금속제 타악기가 추가될 수 있으며, 한국 전래 악기로서의 북이나 일본, 중국의 민속 악기로서의 북을 포함하여 전 세계 각국의 북이 본 발명의 드럼 세트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드럼 세트의 개념에는 동, 서양 악기 여부를 불문하고, 모든 종류의 북과 금속제 타악기가 포함된다.
드럼과 심벌과 같은 타악기 연주를 모사하는 전자 오락 장치로서 현재까지 상용화된 오락기는 전자오락실에서 사용되는 전자 오락 드럼이 있는 바, 이러한 전자 오락 드럼은 실제의 드럼이나 심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고해상도 모니터와 베이스 드럼 연주를 모사하는 발 페달 장치, 드럼 및 심벌 부분을 모방한 타격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자오락기 사용자는 발 페달을 밟거나 타격부를 두들겨서 드럼 연주를 행위를 모사하며, 전자 오락기에서 발생하는 전자 음향을 즐기게 된다.
상기 전자 오락 드럼은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지시에 맞추어 지정된 연주 타격부를 스틱(stick)으로 두들기는 오락 게임 장치 인 바, 단지 드럼 연주 행위만을 모사하는 것으로서, 실제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아니므로 타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드럼이나 심벌의 소리를 모방한 전자 음향이 발생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현재까지 상용화된 전자 오락 드럼은 하나의 전자오락기로서만 기능할 뿐, 음악 교육용 오락 장치로서는 기능할 수 없었으며, 발생하는 전자음향 역시 통상의 전자오락기에서 발생하는 전자 합성음이기 때문에 오히려 음악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등, 음악 교육용 오락(Edutainment) 장치로서 활용되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현재 전자 오락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 오락 드럼은, 실제 악기가 아니라 컴퓨터 합성음을 발생시키는 오락기라는 점에서, 음악 교육의 근본 목표이자 필수적인 요소인 아름다운 음향을 통한 정서적 안정과 박자, 리듬 감각의 향상에 오히려 악 영향을 끼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오락기 사용 방법 역시 실제 드럼 악기의 연주 방법과는 크게 상이하여 상기의 전자 오락 드럼의 사용에 숙달된다 하더라도 실제 드럼 악기의 연주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음악 교육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최근의 전세계적인 오락기 시장의 지배적인 경향인 교육 겸용 오락 장치(Edutainment)로서 기능할 수 없었다.
또한, 전자 오락 드럼은 음악의 연주가 목적이 아니고, 단순한 오락이 목적이어서 게임의 난이도의 변화를 위해 실제의 드럼 연주에서는 사용되지 아니하는 박자가 사용된다는 점 때문에 음악 교육에 기여하는 효과가 인정될 수 없다. 나아가, 이러한 전자 오락 드럼의 구동 방법은, 격렬하고 연속적인 타격 연주 기법이 요구되어 많은 체력이 소모되는 실제 어쿠스틱(acoustic) 드럼의 연주 방법과는 달리, 매우 제한적인 운동만을 필요로 하므로 오락기 사용자의 신체적 건강에 기여하는 정도가 미미하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 오락 드럼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고안자는 방음 처리된 밀폐 공간내에 실제 악기인 북과 금속제 타악기로 이루어진 드럼 세트를 일체화 시켜 설치하고, 이러한 드럼 연주의 정확도를 평가하여 사용자의 드럼 연주 능력을 식별할 수 있도록하여 주는 드럼방 장치를 고안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전자 오락 드럼과는 달리 연주자에게 자신이 연주하는 실제 악기 드럼의 음향을 즐길 수 있게 하며, 연주자의 드럼 연주의 정확도를 컴퓨터에 의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단계 별로 연주자의 연주 능력의 성취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여, 오락을 통한 음악 교육의 효과를 갖게하는 드럼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1); 상기 박스(1)에 형성된 출입문(2); 금전(지폐 및/또는 동전) 투입구(3); 상기 박스(1)내에 일체로 형성된 드럼 세트(4);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5); 상기 컨트롤 박스(5)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8); 상기 컨트롤 박스(5)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9)를 필수 구성 요건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드럼 장치는 상기 드럼 세트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여 컴퓨터 컨트롤 박스에 신호를 보내주는 음향 센서(7)를 선택적 사양으로서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에 있어서, 음향 센서(7)는 드럼 및/또는 심벌또는 컨트롤 박스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드럼방 장치 내부 어디에라도 부착될 수 있다.
금전 투입구 역시, 반드시 출입문 및/또는 컨트롤 박스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 내부 또는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 범위가 하기의 도면에 나타낸 내용으로 특정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도면의 내용은 본 고안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할 뿐이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하기 도면에 나타난 본 고안의 내용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1); 상기 밀폐 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2); 상기 출입구(2)에 설치된 출입문(3);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드럼 세트(4); 드럼 연주의 난이도에 다단계로 구분된 드럼 연주 악보와 다양한 멜로디및 배경 영상 신호를 송출,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 상기 컨트롤 박스(5)에 의해서 제어되고 실행되는 연주 악보와 음악 멜로디 및 배경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해 주는 모니터(8); 그리고 상기 출입문(3) 또는 컨트롤 박스(5)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나 컨트롤 박스의 전원을 단속하는 금전투입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는 연주자의 연주에 의해서 발생하는 음량을 감지하는 음향센서(7)를 선택적 사양으로서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출입문; 드럼 세트; 컨트롤 박스; 모니터; 금전 투입구를 필수 구성 요건으로 한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있어서, 방음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는 정육면체, 직육면체, 원통형, 원추형등 어떠한 형상의 것이나 무방하지만, 최소한 밀폐 공간 내부에 드럼 세트, 컨트롤 박스 및 모니터를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의 내부 공간은 1M3내지 20M3이어야 하며, 상기 박스(1)의 외부 형상은 어떠하다 하더라도, 최소 바닥 면적이 0.5M2내지 10M2되어야 하며, 연주자가 출입할 수 있을 정도 크기의 출입문을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서,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의 외형은 사용자의 시각적 즐거움과 오락 장치로서의 효용을 고려하여 여러가지의 동물이나 가옥의 형상을 모방할 수도 있고, 차량이나 비행기 형상을 모방할 수도 있으며, 드럼 악기의 형상을 모방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의 방음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의 외형자체는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며, 당업자가 미감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등 어떠한 형상의 것이나 무관하며, 여닫이식, 덮개식, 접합식등 다양한 방식이 모두 가능하지만, 그 크기는 최소한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상 이어야 하므로, 최소한 0.2M2이상 이어야 한다.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세트는 통상적으로 타악기로 분류되는, 북, 장구, 꽹가리, 심벌, 탬버린, 팀파니, 서양 드럼등 여러가지 종류의 목(木)제 및 금속제 타악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드럼 세트는 큰 북, 작은 북, 여러가지 변형된 형태의 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심벌, 금속 통, 목(木) 통, 목(木) 북등 두들기거나 긁어서 소리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타악기로 이루어진 드럼 세트를 말한다.
본 고안의 컨트롤 박스는, 음향 센서들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음향 신호를 취합하여, 연주자가 모니터에 영상 화면으로 나타나는 드럼 세트 연주 악보에 표시되는 그대로 드럼 세트를 정확하게 연주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연주자의 연주 정확도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컨트롤 박스는 연주 난이도에 따라 수십단계로 구분되는 드럼 세트 연주 악보가 기억된 제1기억 장치, 드럼 세트의 연주가 계속되는 동안 스피커를 통하여 송출되는 멜로디 신호와 배경 영상 신호가 기억된 제2기억 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드럼 세트 연주 방법을 1 내지 10분간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교육시키는 동영상 화면 신호와 음성 신호를 기억하고 있는 제3기억 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선택적으로 채택되는 음향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취합하여 연주자의 실력을 평가하고 컨트롤 박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로하는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중앙 연산장치가 포함되며, 전원 공급장치 및 전원 스위치, 금전 투입 여부를 체크하여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컨트롤 박스는 이미 노래방 장비등으로 일반에 널리 알려진 것을 개량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멜로디 음향의 옥타브, 톤, 박자를 적절하게 조정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공지의 노래방용 컨트롤 박스가 본 고안의 컨트롤 박스로 그대로 전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사용되는 음향 센서 역시 이미 시중에 시판중인 각종 음향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장치에만 특히 적합한 별도의 성능이 요구되지는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구성에 적정한 성능을 갖는 공지의 음향 센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사용되는 금전 투입기는 출입구 또는 컨트롤 박스에 설치되어 출입구의 단속과 컨트롤 박스의 전원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사용되는 금전 투입기는 종래의 전자 오락기에 사용되는 것과 다를 바 없으며, 출입구의 개폐 및 과 드럼방 장치 내부의 조명 스위치, 컨트롤 박스와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단속 스위치에 연결되어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의 가동 시작, 사용 종료를 통제한다.
본 고안의 금전 투입기에는 동전 및 지전 투입구가 형성되며, 거스름돈의 배출구를 가지며, 입금된 돈을 계산하고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고안의 금전 투입기 역시 이미 시중에 공지된 장비가 본 고안의 드럼방 장치에 그대로 전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방 장치는, 사용자가 투입한 금액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시간 동안, 모니터에 나타나는 악보에 따라 실제 음악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로 구성된 드럼 세트를 연속적으로 격렬하게 연주하다 보면, 사용자 자신도 모르게 드럼 세트의 연주에 숙달되게 하는 음악 교육의 효과를 부여하며, 육체적으로 격렬하고 연속적인 사용자의 연주 동작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체중 감소 효과를 발생시킨다.

Claims (3)

  1.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1);
    상기 밀폐 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2);
    상기 출입구(2)에 설치된 출입문(3);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일체로 설치된 드럼 세트(4);
    상기 드럼 세트의 연주 악보와 멜로디 및 영상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
    상기 컨트롤 박스에서 보내주는 드럼 연주 악보와 배경 영상 신호를 화상으로 출력해 주는 모니터(8);
    상기 컨트롤 박스에서 보내주는 음악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출입문(3) 또는 컨트롤 박스(5)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나 컨트롤 박스의 전원을 단속하는 금전투입기로 이루어지는 드럼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공간(1)의 내부 공간이 1M3내지 20M3이며, 최소 바닥 면적이 0.5M2내지 10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세트에서 발생하는 연주 음향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에 신호를 보내주는 음향 센서(7)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방 장치.
KR2020000034975U 2000-06-13 2000-12-14 드럼방 KR200228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75U KR200228418Y1 (ko) 2000-12-14 2000-12-14 드럼방
JP2001005528A JP2002014672A (ja) 2000-06-13 2001-01-12 ドラム教育兼用娯楽装置
CN01102219A CN1328320A (zh) 2000-06-13 2001-01-16 兼作教育设施用的打击乐器娱乐装置
US09/878,921 US20020002900A1 (en) 2000-06-13 2001-06-13 Drum educational entertainment apparatus
PCT/KR2001/001012 WO2001097199A1 (en) 2000-06-13 2001-06-13 Drum educational entertainment apparatus
AU64373/01A AU6437301A (en) 2000-06-13 2001-06-13 Drum educational entertainment apparatus
HK02103265.0A HK1041619A1 (zh) 2000-06-13 2002-04-30 兼作教育設施用的打擊樂器娛樂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75U KR200228418Y1 (ko) 2000-12-14 2000-12-14 드럼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302A Division KR100334578B1 (ko) 2000-06-13 2000-06-13 드럼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418Y1 true KR200228418Y1 (ko) 2001-06-15

Family

ID=7306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75U KR200228418Y1 (ko) 2000-06-13 2000-12-14 드럼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4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562B2 (ja) ジャムセッションのシミュレーションを行い、ユーザにドラムの演奏方法を教える方法及び装置
US63693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jam session and instructing a user in how to play the drums
JP2002014672A (ja) ドラム教育兼用娯楽装置
WO2007055522A1 (en) Novel drum edutainment apparatus
CN103514866A (zh) 一种乐器演奏评分的方法及装置
US20040244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al guitar sounds using an electric guitar
US20130192444A1 (en) Circular piano keyboard
JP4151189B2 (ja) 音楽ゲーム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20190378430A1 (en) Visitor center and method for enhancing music appreciation
KR100334578B1 (ko) 드럼방 장치
KR200228418Y1 (ko) 드럼방
KR200224892Y1 (ko) 드럼방 장치
US7435894B2 (en) Musical ball
KR200246006Y1 (ko) 드럼방 장치
Khoo et al. Body music: physical exploration of music theory
Biamonte Musical representation in the video games Guitar Hero and Rock Band
KR20020092110A (ko) 드럼방 장치
Hopkins Chiptune music: An exploration of compositional techniques as found in Sunsoft games for the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and Famicom from 1988-1992
KR200348847Y1 (ko) 효과음 출력기능을 갖는 전자드럼연주기
KR200400226Y1 (ko)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전자드럼
JP2002066130A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WO2006090528A1 (ja) 楽音生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230173973A (ko) 하늘 두드림-장단 리듬 전자 악기
KR20010025158A (ko) 전자드럼연주기 제어장치
MXPA990028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jam session and instructing a user in how to play the dru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