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06Y1 -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06Y1
KR200156706Y1 KR2019970007393U KR19970007393U KR200156706Y1 KR 200156706 Y1 KR200156706 Y1 KR 200156706Y1 KR 2019970007393 U KR2019970007393 U KR 2019970007393U KR 19970007393 U KR19970007393 U KR 19970007393U KR 200156706 Y1 KR200156706 Y1 KR 200156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mi
straight pipe
pair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598U (ko
Inventor
진용환
Original Assignee
진용환
주식회사아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용환, 주식회사아산건설 filed Critical 진용환
Priority to KR2019970007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06Y1/ko
Publication of KR970043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로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직관과 직관을 연결한 곡관연결부의 이탈이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직관(1)과 직관(2)이 서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하는 연결곡관(4)을 포함하는 관연결부위에 있어서, 상기 직관(1,2)의 각 단부 외주면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반원통형부재(13)와 상기 반원통형부재(13)의 양측단부에서 상호 접합가능하게 연장되는 장착판(12)과 상기 반원통형부재(13)의 중앙부에서 외향 돌출된 한쌍의 리브판(14)으로 구성된 체결링(10)과, 상기 연결곡관(4)의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리브판(14)에 각각 볼트체결되는 간격유지플레이트(2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본 고안은 곡관연결부의 보강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관로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직관과 직관을 연결한 곡관연결부의 이탈이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곡관연결부를 보강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의 방향을 전환할 경우 이용되는 연결곡관과 직관의 이음구조는 대부분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관(1)과 직관(2)를 곡관(4)으로 접속하고 압륜(3)를 이용하여 그 접속부위를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직관(1,2)과 곡관(4)의 접속구조는 직관(1,2)와 곡관(4)을 단지 압륜(3)으로반 고정하고 있어 그 결합력이 약하고, 또 직관(1)과 직관(2)의 각도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고정시키는 보강부재가 없기 때문에 높은 수입이 관연결부위에 작용하면, 직관(1,2)과 곡관(4)의 상대위치가 변동되어 누수되거나 곡관(4)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직관과 직관을 연결곡관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관연결부위에 간단한 구조의 보강부재를 덧댈 수 있어서, 곡관의 이탈이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곡관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관 2 : 직관
3 : 압륜 4 : 연결곡관
10 : 체결링 13 : 장착판
13 : 반원통형부재 14 : 리브판
21 22 : 간격유지플레이트
본 고안에 따르면, 직관(1)과 직관(2)이 서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하는 연결곡관(4)을 포함하는 관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직관(1,2)이 각 단부 외주면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반원통형부재(13)와 상기 반원통형부재(13)의 양측단부에서 상호 접합가능하게 연장되는 장착판(12)과 상기 반원통형부재(13)의 중앙부에서 외향 돌출된 한쌍의 리브판(14)으로 구성된 체결링(10)과 각각 볼트체결되는 간격유지플레이트(2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곡관 연결구 보강용 체결구는 서로 각도를 이루어 배치된 직관(1)과 직관(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된 체결링(10)과 이 체결링(10) 사이의 간격 및 각도를 유지하도록 체결링(10)에 양단부가 결합된 간격유지플레이트(21,2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링(10)은 양측단부에서 연장되는 장착판(12)에 의해 상호 결합도는 한쌍의 반원통형부재(13)와, 이 반원통형부재(13)의 외주면 중앙에서 각각 내외측으로 외향돌출된 리브판(1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곡관연결부의 내외부에는 대응하는 리브판(14)을 서로 연결하는 간격유지플레이트(21,22)가 구비된다. 외부 간격플레이트(21)는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부의 각도에 상응하도록 꺽인 형상을 취하나 만곡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내부 간격유지플레이트(22)는 대체로 직선형의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 간격유지플레이트(21,22)의 구체적인 형상은 곡관연결부의 접속각도를 고려하여 충분한 보강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판(12) 상호간이나 리브판(14)과 간격유지플레이트(21,22)는 볼트(8')와 너트(8'')로 체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두 개의 직관이 서로 각도를 이루어 접속되는 곡관연결부위에 전술한 바와같은 체결링(10)과 간격유지플레이트(21,22)으로 된 체결구를 보강함으로써 곡관연결부가 한층 보강되어, 이부분의 누수나 연결 곡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직관(1)과 직관(2)이 서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하는 연결곡관(4)을 포함하는 관연결부위에 있어서, 상기 직관(1,2)의 각 단부 외주면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반원통형부재(13)와 상기 반원통형부재(13)의 양측단부에서 상호 접합가능하게 연장되는 장착판(12)과 상기 반원통형부재(13)의 중앙부에서 외향돌출된 한쌍의 리브판(14)으로 구성된 체결링(10)파, 상기 연결곡관(4)의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리브판(14)에 각각 볼트체결되는 간격유지플레이트(2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KR2019970007393U 1997-04-10 1997-04-10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KR200156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93U KR200156706Y1 (ko) 1997-04-10 1997-04-10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393U KR200156706Y1 (ko) 1997-04-10 1997-04-10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98U KR970043598U (ko) 1997-07-31
KR200156706Y1 true KR200156706Y1 (ko) 1999-09-01

Family

ID=1949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393U KR200156706Y1 (ko) 1997-04-10 1997-04-10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15B1 (ko) 2011-07-15 2013-06-28 강원구 떨어지는 우수의 수압에 의한 배관과 부속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15B1 (ko) 2011-07-15 2013-06-28 강원구 떨어지는 우수의 수압에 의한 배관과 부속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98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8493A1 (en) Coupling Having Angularly Oriented Key Surfaces
KR960031869A (ko) 신속 접속기용 커플링
CA2013616C (en) Tube union reinforcing clip
KR970011532A (ko) 관 이음
KR200156706Y1 (ko) 곡관연결부 보강용 체결구
EP1116866A3 (en) Exhaust pipe joint assembly
JPS6023527Y2 (ja) クランプ
JPH024311Y2 (ko)
JP4462741B2 (ja) 管継手部
JPH0618116Y2 (ja) 管路接続部の締結具
JP2573880Y2 (ja) ビクトリック型管継手
JP2000035180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用の樹脂管又は樹脂製管状物
KR102626382B1 (ko) 방수재 연결 슬리브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JP2525821Y2 (ja) ビクトリック型管継手
JPH0378189U (ko)
JPH0234551Y2 (ko)
KR200276843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JPS6314147Y2 (ko)
JPH09317944A (ja) 車両用エンジンの配管類のクランプ
JP3572405B2 (ja) 振動吸収性管継手
JPH0129354Y2 (ko)
JP3861203B2 (ja) 伸縮可撓管継手の仮締用スペーサ及び仮締構造
JP3044809U (ja) 保護用カバー体付きのフレキシブル管継手装置
JPH0386287U (ko)
KR200315346Y1 (ko) 관이음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