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346Y1 - 관이음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이음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346Y1
KR200315346Y1 KR20-2003-0006513U KR20030006513U KR200315346Y1 KR 200315346 Y1 KR200315346 Y1 KR 200315346Y1 KR 20030006513 U KR20030006513 U KR 20030006513U KR 200315346 Y1 KR200315346 Y1 KR 200315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ective cover
fastening
connector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일욱
Original Assignee
허일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일욱 filed Critical 허일욱
Priority to KR20-2003-0006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이음 시 연결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한편 연결부를 보호하는 관이음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는 관의 연결부위에 감겨져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1)와 상기 보호커버(1)의 양단에 대향하게 설치되며 체결수단(5)을 통해 상기 연결부위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보호커버(1)를 밀착시켜주는 체결부(3)를 포함하는 관이음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는 상기 보호커버(1)의 일단에 접합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판(311)과 상기 하부판(311)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내측판(312)과 상기 내측판(312)의 상부에 연장되는 원호판(313) 및 상기 원호판(313)의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외측판(314)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판(31)의 하부가 상기 보호커버(1)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판(311)의 타단 및 상기 보호커버(1) 자체에 접합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제1체결부(31)와; 상기 보호커버(1)의 타단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접합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판(321)과 상기 하부판(321)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내측판(322)과 상기 내측판(322)의 상부에 연장되는 원호판(323) 및 상기 원호판(323)의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외측판(324)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판(324)의 하부가 상기 보호커버(1)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판(321)의 타단 및 상기 보호커버(1) 자체에 접합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제2체결부(32)와; 상기 제1,2체결부(31,32) 각각의 내, 외측판(312,314,322,324)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체결수단(5)이 결합되는 결합공(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이음용 연결구{Connector for joining pipe}
본 고안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경우 연결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는 한편 연결부를 보호하는 관이음용 연결구에관한 것이다.
관이음용 연결구는 두 개의 관을 연결할 때 연결부위에서의 누수와 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1995. 12. 06자 박기종씨가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34008호가 있다.
이 기술은 관이음부에 감겨지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중간 부위가 절단되어 있는 벤딩관과, 상기 벤딩관의 절단 부위 양단에 설치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벤딩관이 관이음부를 조여지도록 결합시키는 한 쌍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경우 연결부위에 감겨진 융착시트의 외주에 상기 벤딩관을 감은 다음, 상기 금속판재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이나 하중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꺾이게 되더라도 이를 지지해주므로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관이음용 연결구에 있어서 금속판재가 단일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볼트 결합 시 금속판재가 휘게 되거나 또는 벤딩관과의 결착력이 저하되어 벤딩관을 견고하게 조여 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관 자체의 인장력으로 인해 결합된 볼트가 풀리게 되어 외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이나 하중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연결부위의 직경이 벤딩관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경우 벤딩관에 장착되어 있는 금속판재의 상부가 하부보다 더 벌어지게 됨으로써, 볼트 결합 시 금속판재에형성된 결합공을 통한 볼트 체결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볼트 체결이 되더라도 외부의 압력이나 하중에 의해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연결되는 관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 등으로 인한 연결구의 연결부, 즉 금속판재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관이음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연결구의 내경을 조정할 수 있으며 연결되는 관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관이음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
도 3은 연결되는 관의 직경에 따라 조정되는 관이음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는 직경이 작은 관에 사용되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3b는 직경이 큰 관에 사용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호 커버
3 : 체결부
31 : 제1체결부 32 : 제2체결부 33 : 결합공 34 : 리브
5 : 체결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는 관의 연결부위에 감겨져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의 양단에 대향하게 설치되며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부위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보호커버를 밀착시켜주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관이음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보호커버의 일단에 접합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의 상부에 연장되는 원호판 및 상기 원호판의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외측판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판의 하부가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판의 타단 및 상기 보호커버 자체에 접합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제1체결부와; 상기 보호커버의 타단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접합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의 상부에 연장되는 원호판 및 상기 원호판의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외측판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판의 하부가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판의 타단 및 상기 보호커버 자체에 접합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1,2체결부 각각의 내, 외측판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결합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는 하부판과 내측판과 원호판 및 외측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관의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가 구비되는 체결부에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해 보호커버의 양단을 연결해 줌으로써, 볼트 결합 시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체결부의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부를 통해 하중 혹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체결부 자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원호판의 상부에는 체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는 상기 리브를 통해 체결부의 상부를 강화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체결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또 부가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의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는 관의 연결부위에 감겨져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1) 및 상기 보호커버(1)의 양단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볼트(51)와 너트(52)를 통해 상기 보호커버(1)의 양단을 밀착시켜주는 체결부(3)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3) 간의 볼트 결합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1)를 조여 주므로 관의 연결부위에서의 누수 방지 및 하중 등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1)는 융착시트에 의해 연결된 관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것으로, 하나의 긴 판형의 금속재, 예를 들면 지지 강도가 강하고, 습기 또는 온도 등의 변화에 강한 내구성을 가지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위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부(3)는 볼트(51) 및 너트(52)를 통해 상기 보호커버(1)의 양단을 조여 주도록 보호커버의 일단 및 타단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제1,2체결부(31,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31)는 상기 보호커버(1)의 일단에 접합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판(311)과 상기 하부판(311)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내측판(312)과 상기 내측판(312)의 상부에 연장되는 원호판(313) 및 상기 원호판(313)의 외측에서 하부로연장되는 외측판(314)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내, 외측판(312,314)과 원호판(313)의 내부가 중공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 외측판(312,314)에는 통상의 체결수단(5)이 결합되도록 결합공(33)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체결부(31)는 상기 외측판(314)의 하부가 상기 보호커버(1)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판(311)의 타단 및 상기 보호커버(1) 자체에 접합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체결부(32)는 상기 제1체결부(31)의 구조와 대향되도록 상기 보호커버(1)의 타단에 설치되되, 타단에서 보호커버(1)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접합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판(321)과 상기 하부판(321)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내측판(322)과 상기 내측판(322)의 상부에 연장되는 원호판(323) 및 상기 원호판(323)의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외측판(324)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내, 외측판(322,324)과 원호판(323)의 내부가 중공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 외측판(322,324)에는 통상의 체결수단(5)이 결합되도록 결합공(33)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체결부(32)는 상기 외측판(324)의 하부가 상기 보호커버(1)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판(321)의 타단 및 상기 보호커버(1) 자체에 접합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체결부는 관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체결부로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켜 체결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제1,2체결부(31,32)를 구성하는 상기 원호판(313,323)의 상부에는 체결부(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3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브(34)를 통해 상기 제1,2체결부(31,32)의 상부를 보강해 줌으로써, 관이음용 연결구를 운반하거나 또는 지중에 매설한 경우 외부에서 체결부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상기 체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제1,2체결부(31,32)에 형성된 결합공(33)은 상기 체결부(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홀 구조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와 같이 결합공을 장홀로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의 내경을 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는 직경이 작은 관, 도 3b는 직경이 큰 관에 사용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는 융착 시트(7)에 의해 연결된 관(9)의 외주면을 상기 보호커버(1)로 감은 다음, 상기 보호커버(1)의 양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1,2체결부(31,32)에 형성된 결합공(33)을 일치시켜 볼트(51)를 끼우고 반대쪽에서 너트(52)를 끼워 체결하게 되는데, 이 때 체결되는 볼트(51)와 너트(52)의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체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체결되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는 연결부위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체결부(32)가 고정되어 있는 보호커버(1)의 끝단이 제1체결부(31)가 고정되어 있는 보호커버(1)의 밑으로 들어가며, 상기 제1,2체결부(31,32)가 소정 거리(L) 이격되어 상기 제1,2체결부의 결합공(33)에 볼트(51) 및 너트(52)가 체결된다.
한편 연결부위의 직경이 도 3a에 도시된 것보다 큰 경우 상기 제1,2체결부(31,32) 간의 거리(L')가 넓어지며 구배지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위가 구배지더라도 상기 제1,2체결부의 결합공(33)이 장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공(33)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볼트의 나선부(511)의 위치가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위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 체결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장홀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직경에 따라 연결구의 내경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구는 하부판과 내측판과 원호판 및 외측판으로 구성되는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관의 길이 방향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해 보호커버의 양단을 연결해 줌으로써, 볼트 결합 시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체결부의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부를 통해 하중 혹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체결부 자체로 전달되는 충격을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부의 상부에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체결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결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장홀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직경에 따라 연결구의 내경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관의 연결부위에 감겨져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1)와 상기 보호커버(1)의 양단에 대향하게 설치되며 체결수단(5)을 통해 상기 연결부위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보호커버(1)를 밀착시켜주는 체결부(3)를 포함하는 관이음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는 :
    상기 보호커버(1)의 일단에 접합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판(311)과 상기 하부판(311)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내측판(312)과 상기 내측판(312)의 상부에 연장되는 원호판(313) 및 상기 원호판(313)의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외측판(314)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판(314)의 하부가 상기 보호커버(1)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판(311)의 타단 및 상기 보호커버(1) 자체에 접합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제1체결부(31)와;
    상기 보호커버(1)의 타단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접합용접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판(321)과 상기 하부판(321)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내측판(322)과 상기 내측판(322)의 상부에 연장되는 원호판(323) 및 상기 원호판(323)의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외측판(324)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외측판(324)의 하부가 상기 보호커버(1)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판(321)의 타단 및 상기 보호커버(1) 자체에 접합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제2체결부(32)와;
    상기 제1,2체결부(31,32) 각각의 내, 외측판(312,314,322,324)에는 일정한간격으로 상기 체결수단(5)이 결합되는 결합공(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판(313,323)의 상부에는 체결부(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3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33)은 :
    상기 체결부(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연결구.
KR20-2003-0006513U 2003-03-05 2003-03-05 관이음용 연결구 KR200315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513U KR200315346Y1 (ko) 2003-03-05 2003-03-05 관이음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513U KR200315346Y1 (ko) 2003-03-05 2003-03-05 관이음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346Y1 true KR200315346Y1 (ko) 2003-06-02

Family

ID=4933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513U KR200315346Y1 (ko) 2003-03-05 2003-03-05 관이음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67B1 (ko) 2006-04-11 2007-10-22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플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67B1 (ko) 2006-04-11 2007-10-22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파이프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4250B2 (ja) 接合部の補強治具
US9672968B2 (en) Rupture resistant system
JP2009138382A (ja) 鋼管杭接続構造
KR200315346Y1 (ko) 관이음용 연결구
KR20120104798A (ko) 버팀보 중앙연결장치
KR101084398B1 (ko)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0569710B1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200445056Y1 (ko) 파이프 이격기능이 구비된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KR200277683Y1 (ko) 연약지반 보강용 파일의 연결구조
EP1179106B1 (en) Cage former and clamp therefor
KR100398787B1 (ko) 관이음 플랜지
KR102034499B1 (ko)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차량
JP2005171980A (ja) 排気管用テールパイプの取付構造
KR100800007B1 (ko) 파이프용 커넥터
KR100722246B1 (ko) 익스팬션죠인트의 벨로우즈 보강용 콘트롤링
KR200142369Y1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0163972Y1 (ko) 관연결용클램프
KR100453655B1 (ko) 트럭용 연료탱크의 스트랩 마운팅 구조
KR200405750Y1 (ko)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82039Y1 (ko) 배관의 연결밴드
KR200370979Y1 (ko) 전선관용 금속제 아울렛박스 연결구조물
KR200427397Y1 (ko) 상수도관 이탈방지용 압륜의 스파이크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1869262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