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398B1 -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 Google Patents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398B1
KR101084398B1 KR1020090019234A KR20090019234A KR101084398B1 KR 101084398 B1 KR101084398 B1 KR 101084398B1 KR 1020090019234 A KR1020090019234 A KR 1020090019234A KR 20090019234 A KR20090019234 A KR 20090019234A KR 101084398 B1 KR101084398 B1 KR 10108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flange
cover
fixing r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372A (ko
Inventor
이석정
Original Assignee
이석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정 filed Critical 이석정
Priority to KR102009001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3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보강하여 보다 견실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은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내부에 통수로가 형성되는 관체부와, 상기 관체부 양측의 끝부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양측의 플랜지부들과,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1쌍의 연결밴드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들의 정상부 외면을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겸 고정링과, 상기 커버겸 고정링의 개방부 자유단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관통 체결되는 결착용 볼트로서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들의 정상부 외면에 커버겸 고정링을 결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결착용 부재들과, 상기 커버겸 고정링의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관통 체결되는 연결용 볼트로서 양쪽에서 서로 맞대어진 양측의 플랜지부들이 밀착 연결되게 하는 연결용 부재들과, 상기 연결용 부재들의 일측단 하부에 내향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겸 고정링이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들의 정상부 외면에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지지용 턱들로 구성된 것이다.
플랜지부, 연결수단, 통수관

Description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omitted}
본 발명은 우수 또는 오수 및 하수 등의 통수를 위해 배관할 때 양측에서 플랜지부를 서로 맞대고 별도의 연결수단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플랜지부를 보강하여 보다 견실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에 관한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34898호(1999. 12. 15일 등록공고)에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합성수지 나선관이 선출원 등록공고되어 있다.
이 연결수단이 구비된 합성수지 나선관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내부에 배수통로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나선형의 요철파형(11)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관체부(10)와, 상기 관체부(10) 양측의 끝부분에 일체로서 돌출 형성되는 양측의 플랜지부(2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들 내측에 그 플랜지부들의 정상부보다 낮은 높이로 연이어져서 상기 관체부(10)를 감싸는 형태로서 단차지도록 걸림턱(2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21)들 외주면 둘레에 감겨지도록 형성된 금속띠판(31)의 등간격마다 횡설되는 횡방향 체결링(32)들을 가지며 그 금속띠판(31)의 양측 끝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종방 향 체결판(33)들을 가지는 한쌍의 연결밴드(30)들을 구비한 것을 기술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발명은 양측의 플랜지부(20)들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21)의 외주면에, 그 걸림턱(21)에 감겨지도록 형성된 금속띠판(31) 상에 횡방향 체결링(32)들 및 종방향 체결판(33)들을 가지는 연결밴드(30)들을 갖추어서,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할 때에 양쪽에서 플랜지부(20)의 걸림턱(21) 외면에 금속띠판(31)이 걸쳐지게 하면서 종방향 체결판(33)들을 체결볼트(35)로 체결하여 연결밴드(30)를 결착하고, 그 플랜지부(20)의 걸림턱(21)에 결착된 연결밴드(30)의 횡방향 체결링(32)들을 통하여 조임볼트(34)를 횡방향으로 체결하여, 서로 맞대어진 플랜지부(20)의 정상부 외면이 조임볼트(34)로 받쳐지게 한 상태로 그 플랜지부를 밀착시켜서 연결하여 주게 되므로, 합성수지 나선관의 연결부위에 집중적인 하중이나 부등침하 등의 악영향을 작용받더라도 플랜지부(2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발명은 통수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한 상태에서, 실제로 합성수지 나선관의 연결부위에 작용되는 하중이나 부등침하 등으로 인하여 플랜지부가 손상되는 심각한 결함이 있었다.
즉, 합성수지 나선관을 연결하여서 지중에 매설하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플랜지부(20)의 정상부 외면이 하중이나 부등침하 등으로 인한 압축 작용력과 뒤틀림 작용력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고, 특히 합성수지 나선관의 연결부위에 작용되는 압축 작용력과 뒤틀림 작용력에 의해 플랜지부(20)의 정상부 외면을 받치고 있는 조임볼트(34)가 파고들어서 그 플랜지부를 손상시키거나 변형시키게 됨으로써, 합성수지 나선관 연결부위의 기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누수를 유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플랜지부의 수명을 단축시켜서 합성수지 나선관의 교체 주기가 짧아지게 하는 만큼 유지 관리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등의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보강한 구조로 보다 견실하고 안전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첫째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연결부위의 기밀성을 지속적으로 보장하여 줄 수 있는 고품질의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플랜지부들의 손상을 회피하여 유지 관리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도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내부에 통수로(110)가 형성되는 관체부(100)와, 상기 관체부(100) 양측의 끝부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양측의 플랜지부(200)들과,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에 각각 배치되는 1쌍의 연결밴드(300)들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한다.
단, 본 발명의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에 있어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싸서 보 호하여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겸 고정링(310)과,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개방부 자유단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관통 체결되는 결착용 볼트(B1)로서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커버겸 고정링(310)을 결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결착용 부재(320)들과,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관통 체결되는 연결용 볼트(B2)로서 양쪽에서 서로 맞대어진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이 밀착 연결되게 하는 연결용 부재(330)들과, 상기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내향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이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지지용 턱(340)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는 결착용 부재(320)들과 연결용 부재(330)들을 갖으며,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내향 돌출되는 지지용 턱(340)들을 배치하여서 된 1쌍의 연결밴드(300)들을 구비하여, 통수관을 배관하기 위한 연결 대상의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보강할 수 있게 한 구조로서, 그 양측의 플랜지부들을 보다 견실하고 안전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은, 1쌍의 연결밴드(300)들이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싸서 보강한 상태로 그 양측의 플랜지부들을 보다 견실하고 안전하게 연결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통수관의 연결부위에 하중이나 부등침하에 의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압축 작용력과 뒤틀림 작용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압축 작용력과 뒤틀림 작용력으로 인해 연결용 볼트(B2)가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파고들어 손상시키게 됨을 방지하여서, 통수관의 연결부위 기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누수의 발생을 예방하고, 양측의 플랜지부들의 수명을 연장시켜 통수관의 교체 주기가 길어지게 한 만큼 유지 관리비를 경감시킬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체부(100)는 오수 또는 우수 및 하수 등을 통수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상기 관체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내부에 통수로(110)가 확보되도록 형성하여 오수 또는 우수 및 하수 등을 통수시키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관체부(100)는 다수의 파형(120)들이 연속 반복되는 굴곡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관체부(100) 는 도 5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평활하게 연속되는 평활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부(100)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수지코팅금속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성형 제작하여, 통수관의 전체 무게를 경량화하여 주면서도 통수관으로서 요구되는 구조적 강도를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은 통수관을 배관할 때에 양쪽에서 맞댐 연결되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은 도 2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관체부(100)의 양측 끝부분 내,외면이 감싸지도록 일체로 돌출되어서 그 외면에는 수평하게 된 정상부(210)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수직으로 된 대접부(220)가 형성되어, 통수관을 배관할 때에 양쪽에서 서로 맞대어진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각각 결착되는 1쌍의 연결밴드(300)들을 매개로 하여 패킹(P)을 사이에 두고 긴밀히 연결될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은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상기 관체부(100)의 양측 끝부분 외면에 일체로서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통수관을 배관할 때에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을 보강하여 주면서 긴밀히 연결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겸 고정링(310)과,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개방부 자유단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관통 체결되는 결착용 볼트(B1)로서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커버겸 고정링(310)을 결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결착용 부재(320)들과,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관통 체결되는 연결용 볼트(B2)로서 양쪽에서 서로 맞대어진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이 밀착 연결되게 하는 연결용 부재(330)들과, 상기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내향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이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서 지탱할 수 있게 하는 지지용 턱(340)들로 구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통수관을 연결 배관하여 지중에 매설할 때,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와 직각으로 만나는 후면에 지지용 턱(340)들이 걸리게 하고, 관통 체결되는 결착용 볼트(B1)에 의해 조여진 결착용 부재(320)들로서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이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싸서 보호하도록 결착한 상태에서, 이웃하는 통수관들의 양쪽에 배치되어 마주하는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이 지지용 턱(340)들로 지탱되며 관통 체결되는 연결용 볼트(B2)에 의해 조여지는 연결용 부재(330)들로 밀착 연결될 수 있게 하여서, 통수관의 연결부위에 하중이나 부등침하에 의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압축 작용력과 뒤틀림 작용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압축 작용력과 뒤틀림 작용력으로 인해 연결용 볼트(B2)가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파고들어 손상시키게 됨을 방지하여서, 통수관의 연결부위 기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 양측의 플랜지부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상응하는 폭과 곡률을 갖는 평철판을 원호형으로 말아서 1개 이상의 개방부를 보유하도록 커버겸 고정링(31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을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외향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내부에 반원통형의 체결통로(331)가 확보되도록 연결용 부재(330)들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각각 평철편을 소재로 하여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와 직각으로 만나는 후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내향 돌출되도록 지지용 턱(340)들을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겸 고정링(310)을 등간격마다 절곡하여 반원통형의 체결통로(331)가 형성된 연결용 부재(330)들을 가지며, 개개의 연결용 부재(330)들 일측단 하부에 내향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지지용 턱(340)들을 가져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이 각기 평철판을 절곡하고 평철편을 붙이는 단순작업을 통해 능률적으로 제작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의 연결용 부재(330)들은 각각 반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 된 체결통로(331)를 갖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의 연결용 부재(330)들은 각각 반다각통형의 단면형상으로 된 체결통로(331)를 갖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도 6a에서와 같이, 각각 평철판을 원호형으로 말아서 형성된 1개의 커버겸 고정링(310) 양끝에 있는 2개의 개방부 자유단에 평철편을 소재로 하여 체결공(321)을 뚫어서 된 결착용 부재(320)들을 돌출되게 부설하여 전체적으로 원호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신속히 결착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필요에 따라 도 6b에서와 같이, 평철판을 반원호형으로 말아서 형성된 2개의 커버겸 고정링(310)들 양끝에 있는 4개의 개방부 자유단에 평철편을 소재로 하여 체결공(321)이 뚫어진 결착용 부재(320)들을 돌출되게 부설하여 전체적으로 원호형의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용이하게 결착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결착용 부재(320)들은 각각 내측의 양끝단에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접지 고정되는 보강편(322)들을 가져서, 상기 결착용 부재(320)들이 체결공(321)을 통하여 체결되는 결착용 볼트(B1)의 조임력으로 인하여 굽힘 변형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상응하는 폭과 곡률을 갖는 평철판을 원호형으로 말아서 1개 이상의 개방부를 보유하도록 커버겸 고정링(31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원주방향의 등간격마다 반원통형의 체결통로(331)를 갖는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각각 평철편을 소재로 하여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와 직각으로 만나는 후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내향 돌출되도록 지지용 턱(340)들을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반원통형의 체결통로(331)가 형성된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을 고정 설치하고, 개개의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내향 돌출되게 지지용 턱(340)들을 고정 설치한 구성으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이 각각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위치와 수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배열 설치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그 연결용 부재들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용 볼트(B2)들로서 최적의 조임 상태로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을 연결하여 줄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은 반원통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밴딩철편의 내측에 체결통로(331)를 형성하여서 되며, 그 밴딩철편의 양단부에 수평하게 연장되는 접지편(332)들을 가져서,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견실히 부착되게 하여 연결용 볼트(B2)의 조임력을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은 각각 접지편(332)들의 저면을 상기 커 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접지시키고 용접 또는 나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상응하는 폭과 곡률을 갖는 평철판을 원호형으로 말아서 1개 이상의 개방부를 보유하도록 커버겸 고정링(31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원주방향의 등간격마다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직각절곡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체결공(333)을 갖는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각각 평철편을 소재로 하여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와 직각으로 만나는 후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내향 돌출되도록 지지용 턱(340)들을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직각절곡형의 단면형상으로 체결공(333)이 형성된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을 고정 설치하고, 개개의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내향 돌출되게 지지용 턱(340)들을 고정 설치한 구성으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이 각각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위치와 수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배열 설치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그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용 볼트(B2)들로서 최적의 조임 상태로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을 연결하여 줄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은 각각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직각절곡철편의 수직부에 체결공(333)을 형성하여서 되며, 그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내측면 양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보강편(334)들을 가져서,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견실히 부착되게 하여 연결용 볼트(B2)의 조임력을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은 각각 직각절곡철편의 수평부 저면을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접지시키고 용접 또는 나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1a는 종래발명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1b는 종래발명의 실시상태를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2는 본 발명의 통수관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발명의 통수관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발명의 통수관을 연결한 실시상태를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통수관을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통수관 구성품으로 사용되는 연결밴드를 일측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수관을 요부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수관을 연결한 실시상태를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수관을 요부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수관을 연결한 실시상태를 일부절결 정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관체부 110: 통수로
120: 파형 200: 양측의 플랜지부
210: 정상부 220: 대접부
300: 1쌍의 연결밴드 310: 커버겸 고정링
320: 결착용 부재 321: 체결공
322: 보강편 330: 연결용 부재
331: 체결통로 332: 접지편
333: 체결공 334: 보강편
340: 지지용 턱 P: 패킹
B1: 결착용 볼트 B2: 연결용 볼트

Claims (6)

  1.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서 내부에 통수로(110)가 형성되는 관체부(100)와, 상기 관체부(100) 양측의 끝부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양측의 플랜지부(200)들과,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에 각각 배치되는 1쌍의 연결밴드(300)들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을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겸 고정링(310)과,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개방부 자유단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관통 체결되는 결착용 볼트(B1)로서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커버겸 고정링(310)을 결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결착용 부재(320)들과,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관통 체결되는 연결용 볼트(B2)로서 양쪽에서 서로 맞대어진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이 밀착 연결되게 하는 연결용 부재(330)들과, 상기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내향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이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지지용 턱(340)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상응하는 폭과 곡률을 갖는 평철판을 원호형으로 말아서 1개 이상의 개방부를 보유하도록 커버겸 고정링(31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을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외향 돌출되도록 절곡하여 내부에 반원통형의 체결통로(331)가 확보되도록 연결용 부재(330)들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각각 평철편을 소재로 하여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와 직각으로 만나는 후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내향 돌출되도록 지지용 턱(340)들을 고정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상응하는 폭과 곡률을 갖는 평철판을 원호형으로 말아서 1개 이상의 개방부를 보유하도록 커버겸 고정링(31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원주방향의 등간격마다 반원통형의 체결통로(331)를 갖는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각각 평철편을 소재로 하여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와 직각으로 만나는 후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내향 돌출되도록 지지용 턱(340)들을 고정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은 반원통형의 단면형상 을 갖는 밴딩철편의 내측에 체결통로(331)를 형성하여서 되며, 그 밴딩철편의 양단부에 수평하게 연장되는 접지편(332)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연결밴드(300)들은 각각 상기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 외면에 상응하는 폭과 곡률을 갖는 평철판을 원호형으로 말아서 1개 이상의 개방부를 보유하도록 커버겸 고정링(31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겸 고정링(310)의 외면에 원주방향의 등간격마다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직각절곡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체결공(333)을 갖는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일측단 하부에 각각 평철편을 소재로 하여 양측의 플랜지부(200)들의 정상부(210)와 직각으로 만나는 후면에 상응하는 길이로 내향 돌출되도록 지지용 턱(340)들을 고정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은 각각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직각절곡철편의 수직부에 체결공(333)을 형성하여서 되며, 그 부착형의 연결용 부재(330)들의 내측면 양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보강편(334)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20090019234A 2009-03-06 2009-03-06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108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234A KR101084398B1 (ko) 2009-03-06 2009-03-06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234A KR101084398B1 (ko) 2009-03-06 2009-03-06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72A KR20100100372A (ko) 2010-09-15
KR101084398B1 true KR101084398B1 (ko) 2011-11-18

Family

ID=4300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234A KR101084398B1 (ko) 2009-03-06 2009-03-06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205B1 (ko) * 2014-06-27 2015-01-14 주식회사성호철관 플랜지 보강 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541B1 (ko) * 2019-09-10 2020-06-02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관 연결구조
KR102090172B1 (ko) * 2019-09-10 2020-03-1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리브강관 연결구조
KR102417955B1 (ko) * 2021-06-16 2022-07-07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수밀형 파형강관 연결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882U (ko) 1981-04-30 1982-11-04
KR100630353B1 (ko) 2006-04-20 2006-10-02 (주)픽슨 강관 연결구조
KR100820860B1 (ko) 2007-10-01 2008-04-11 주식회사 중원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882U (ko) 1981-04-30 1982-11-04
KR100630353B1 (ko) 2006-04-20 2006-10-02 (주)픽슨 강관 연결구조
KR100820860B1 (ko) 2007-10-01 2008-04-11 주식회사 중원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205B1 (ko) * 2014-06-27 2015-01-14 주식회사성호철관 플랜지 보강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72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461B1 (ko) 체결형 배관 곡관부 지지장치
KR101084398B1 (ko)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1663691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KR101403271B1 (ko)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와 이를 사용한 버팀보 및 버팀보 시공법
KR200454571Y1 (ko) 배관용 연결구
US8857858B2 (en) Tapping sleeve tightening assembly
KR101084444B1 (ko) 플랜지용 연결수단이 구비된 통수관
KR102044690B1 (ko)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KR101038511B1 (ko) 파형 강관의 연결 구조
KR100548482B1 (ko) 나선관 연결장치
KR1009191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234898B1 (ko) 연결수단이 구비된 합성수지 나선관
KR101110674B1 (ko) 내부 평활관용 파이프 연결시스템
KR20110075788A (ko) 덕트용 클램프
KR100717290B1 (ko) 구조물용 연결부재의 결합구조
US9970585B2 (en) C flange bracket
WO2010080041A1 (en) A clamp assembly
KR100968222B1 (ko) 지보장치
KR101589031B1 (ko)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KR101286658B1 (ko) 파이프 클램프
CN220623096U (zh) 一种水利工程用防脱落管道固定结构
KR200315346Y1 (ko) 관이음용 연결구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KR100933082B1 (ko) 하수도관 연결구
CN216976248U (zh) 一种高耐磨过滤式复合pe给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