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082B1 - 하수도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도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082B1
KR100933082B1 KR1020090089820A KR20090089820A KR100933082B1 KR 100933082 B1 KR100933082 B1 KR 100933082B1 KR 1020090089820 A KR1020090089820 A KR 1020090089820A KR 20090089820 A KR20090089820 A KR 20090089820A KR 100933082 B1 KR100933082 B1 KR 100933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ewer pipe
coupling
connection sheet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9008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하수도관의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압의 변형 압력이 발생되어도 압력에 대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하수도관의 연결부위가 어긋나거나 하수도관이 휨, 변형,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언제나 하수도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는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보강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하수도관들이 연결되는 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연결시트와, 상기 하수도관의 연결부위에 감싸진 연결시트의 하측 일부를 감싸고, 상기 연결시트의 삽입 보강부가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하부 삽입홈을 구비하는 하부 홀더부가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부로 연장되고 지중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수도관이 감싸진 연결시트의 상측 일부를 감싸고, 상기 연결시트의 삽입보강부가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상부 삽입홈을 구비하는 상부 홀더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부의 하부 연결부와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의 하부 연결부와 상부 결합부의 상부 연결부 사이에 고정되며,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보강돌기가 형 성된 긴장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수도, 연결구, 이음부, 유동방지

Description

하수도관 연결구{CONNECTOR FOR DRAINAGE PIPE}
본 발명은 하수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하수도관의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압의 변형 압력이 발생되어도 압력에 대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하수도관의 연결부위가 어긋나거나 하수도관이 휨, 변형,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언제나 하수도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도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도관들의 접속부위는 누수의 염려가 상존하는 바, 이러한 하수도관의 접속부위를 밀실하게 감싸서 연결하여 주도록 다양한 형태의 하수도관 연결구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하수도관 연결구들중의 하나로써,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 49-37820(74. 4. 3)호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말단부에 원주방향의 리브를 갖는 관체의 돌합부의 외주 에 패킹재를 적층하고, 해당 패킹재의 외주에 내면으로 요철홈을 갖는 접수판을 피착하고, 리브 또는 리브에 의하여 돌출된 패킹재를 요철홈에 끼워넣어 접수판을 결속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수도관 연결구는 관체 외주면의 리브와 접수판 내주면의 요철홈을 상호 포개지도록 연결하되 그 사이에 패킹재를 끼워넣음으로써 수밀성을 증대시켜 준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하수관 연결구는 연결구를 받쳐주는 지반의 변형이 발생되어 압력이 발생되었을 때는 연결구에서 응력이 발생되어 연결구가 구부러지고, 하수도관의 이음부가 서로 어긋나게 되고 비틀려지며 심할 경우에는 이음부가 파손되어 오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동침하 발생시 연약지층, 경사지반, 이질지층등에서 많이 발생하며, 부동침하가 발생되면 구조물에 응력이 발생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구조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수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하수도관의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압의 변형 압력이 발생되어도 압력에 대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하수도관의 연결부위가 어긋나거나 하수도관이 휨, 변형,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언제나 하수도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도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보강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하수도관들이 연결되는 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연결시트와, 상기 하수도관의 연결부위에 감싸진 연결시트의 하측 일부를 감싸고, 상기 연결시트의 삽입 보강부가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하부 삽입홈을 구비하는 하부 홀더부가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부로 연장되고 지중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수도관이 감싸진 연결시트의 상측 일부를 감싸고, 상기 연결시트의 삽입보강부가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상부 삽입홈을 구비하는 상부 홀더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부의 하부 연결부와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의 하부 연결부와 상부 결합부의 상부 연결부 사이에 고정되며,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보강돌기가 형성된 긴장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는 하수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하수 도관의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압의 변형 압력이 발생되어도 압력에 대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하수도관의 연결부위가 어긋나거나 하수도관이 휨, 변형,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언제나 하수도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의 정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는 연결시트(10)와, 하부 결합부(20)와, 상부 결합부(30)와, 긴장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시트(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수도관(2)들이 연결되는 부위마다 감싸져 접착제를 통해 고정됨에 따라 하수도관(2)의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시트(10)의 외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삽입 보강부(1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 보강부(11)는 지중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토압의 변형 압력에 대한 강성을 가지고 있어 토압의 변형 압력이 발생되어도 하수도관(2)의 연결부위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삽입 보강부(11)의 위치는 연결시트(10)가 상,하부 결합부(20)의 상부 홀더부(32)와 하부 홀더부(22)에 삽입되었을 때 상부 홀더부(32)의 상부 삽입홈(33)과 하부 홀더부(22)의 하부 삽입홈(23)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결합부(20)는 다수개가 지중의 바닥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수도관(2)에 감싸진 연결시트(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하수도 연결관의 고정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하부몸체(21)와, 하부 연결부(24)와, 수직지지부(27)와, 받침부(29)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몸체는 하수도관(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부 및 양측이 개방된 반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홀더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홀더부(22)는 상기 하수도관(2)의 연결부위에 감싸진 연결시트(10)의 하측 일부를 감싸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하수도관(2)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홀더부(22)에는 복수개의 하부 삽입홈(2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시트(10)가 하부 홀더부(22)에 안착되면 삽입 보강부(11)가 하부 삽입홈(23)에 삽입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삽입홈(23)은 연결시트(1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어 연결시트(10)에 감싸진 하수도관(2)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하부 삽입홈(23)의 갯수는 상기 연결시트(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 보강부(11)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연결부(24)는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양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하부 연결홈(25)이 형성되어 긴장부재(40)의 하측 일부를 감싸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상기 수직지지부(27)는 상기 하부 몸체의 저면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지중에 서 토압이 변형되더라도 하부 결합부(2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27)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상하 유동 방지부(28)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상하 유동 방지부(28)는 지중에서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되어 토압이 변형되더라도 하수도관(2)의 연결부위를 고정하고 있는 상,하부 결합부가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하수도관(2)의 연결부위가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29)는 하수도관(2)의 연결부위를 고정하고 있는 상,하부 결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지지부(27)의 하부로 연장되며 지중의 바닥면에 앙카볼트(미도시)를 통해 설치된다.
한편, 상부 결합부(30)는 상기 지중에 설치된 하부 결합부(20)에 각각 결합되어 하수도관(2)에 감싸진 연결시트(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하수도관(2)의 고정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부몸체(31)와, 상부 연결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몸체는 하수도관(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하부 및 양측이 개방된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홀더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홀더부(32)는 상기 하수도관(2)의 연결부위에 감싸진 연결시트(10)의 상측 일부를 감싸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하수도관(2)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홀더부(32)에는 복수개의 상부 삽입홈(3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홀더부(32)가 하부 홀더부(22)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시트(10)의 상측을 감싸도록 상부 결합부(30)를 하부 결합부(20)의 상부에 안착하게 되면 상부 삽입홈(33)에 연결시트(10)의 삽입 보강부(11)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삽입홈(33)은 연결시트(1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어 연결시트(10)에 감싸진 하수도관(2)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상부 삽입홈(33)의 갯수는 상기 연결시트(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 보강부(11)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연결부(34)는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 양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상부 연결홈(35)이 형성되어 긴장부재(40)의 상측 일부를 감싸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상기 긴장부재(40)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중의 바닥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하부 연결부(24)의 하부 연결홈(25)에 안착되고, 상측에는 상부 연결부(34)의 상부 연결홈(35)에 감싸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긴장부재(40)의 상,하측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부재(42)가 상호대향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긴장부재(40)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부재(42)는 상부 연결부(34)의 상부 관통홀(36)을 통과하여 상부 연결부(34)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긴장부재(40)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부재(42)는 하부 연결부(24)의 하부 관통홀(26)을 통과하여 하부 연결부(24)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결합부재(42)에는 볼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긴장부재(40)에는 긴장력이 가해지게 되어 하수도관 연결구(1)를 지지하게 되므로서, 하수도관 연결구(1)가 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수도관(2)이 지속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긴장부재(40)의 외주연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결합부재(4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돌기(41)가 더 형성되어 토 압이 변형되더라도 이에 강성을 갖게 되어 하수도관 연결구(1)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 연결구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
10 : 연결시트 11 : 삽입 보강부
20 : 하부 결합부 21 : 하부몸체
22 : 하부 홀더부 23 : 하부 삽입홈
24 : 하부 연결부 25 : 하부 연결홈
26 : 하부 관통홀 27 : 수직지지부
28 : 상하 유동 방지부 29 : 받침부
30 : 상부 결합부 31 : 상부몸체
32 : 상부 홀더부 33 : 상부 삽입홈
34 : 상부 연결부 35 : 상부 연결홈
36 : 상부 관통홀 40 : 긴장부재
41 : 보강돌기 42 : 결합부재

Claims (3)

  1.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보강부(1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하수도관(2)들이 연결되는 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연결시트(10)와;
    상기 하수도관(2)에 감싸진 연결시트(10)의 하측 일부를 감싸고, 상기 연결시트(10)의 삽입 보강부(11)가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하부 삽입홈(23)을 구비하는 하부 홀더부(22)가 형성된 하부몸체(21)와, 상기 하부몸체(21)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연결부(24)와, 상기 하부몸체(21)의 저면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27)와, 상기 수직지지부(27)의 하부로 연장되고 지중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부(29)로 이루어지는 하부 결합부(20)와;
    상기 하수도관(2)이 감싸진 연결시트(10)의 상측 일부를 감싸고, 상기 연결시트(10)의 삽입보강부가 삽입고정되는 복수개의 상부 삽입홈(33)을 구비하는 상부 홀더부(32)가 형성된 상부몸체(31)와, 상기 상부몸체(31)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부(20)의 하부 연결부(24)와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34)로 이루어지는 상부 결합부(30)와;
    상기 하부 결합부(20)의 하부 연결부(24)와 상부 결합부(30)의 상부 연결부(34) 사이에 고정되며,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보강돌기(41)가 형성된 긴장부재(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20)의 수직지지부(27) 양측면에는 상기 하부 결합부(20)의 상,하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상하 유동 방지부(28)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20)의 하부 연결부(24)에는 하부 관통홀(26)이 구비된 하부 연결홈(2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30)의 상부 연결부(34)에는 상부 관통홀(36)이 구비된 상부 연결홈(35)이 더 형성되며, 상기 긴장부재(40)의 상,하측에는 상기 하부 연결부(24)의 하부 관통홀(26)과, 상부 연결부(34)의 상부 관통홀(36)을 통과하여 하부 연결부(24)의 하측과 상부 연결부(34)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는 결합부재(4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KR1020090089820A 2009-09-22 2009-09-22 하수도관 연결구 KR100933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20A KR100933082B1 (ko) 2009-09-22 2009-09-22 하수도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820A KR100933082B1 (ko) 2009-09-22 2009-09-22 하수도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082B1 true KR100933082B1 (ko) 2009-12-21

Family

ID=4168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820A KR100933082B1 (ko) 2009-09-22 2009-09-22 하수도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64B1 (ko) 2012-09-11 2013-05-09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도아 공동주택의 상하수도관 지지용 배관 브래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8035A (en) 1981-04-28 1982-11-02 Raito Kogyo Kk Excavating and burying method for pipe
KR200245170Y1 (ko) 2001-05-31 2001-10-17 김대식 단열 파이프 지지구
KR100696883B1 (ko) 2005-01-18 2007-03-20 계형산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KR100808574B1 (ko) 2006-08-25 2008-03-04 덕산콘크리트(주)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8035A (en) 1981-04-28 1982-11-02 Raito Kogyo Kk Excavating and burying method for pipe
KR200245170Y1 (ko) 2001-05-31 2001-10-17 김대식 단열 파이프 지지구
KR100696883B1 (ko) 2005-01-18 2007-03-20 계형산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KR100808574B1 (ko) 2006-08-25 2008-03-04 덕산콘크리트(주)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64B1 (ko) 2012-09-11 2013-05-09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도아 공동주택의 상하수도관 지지용 배관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975B1 (ko) 지중케이블 보호관
US4002358A (en) Adapter for connecting conduit to pipe
KR100933082B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130061537A (ko) 마찰접합형 강관 버팀보용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KR100966884B1 (ko)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KR200440364Y1 (ko) 플라스틱관의 연결구 및 지지대
KR101068778B1 (ko) 상수도관의 직선이음구간 접합구조
KR100726755B1 (ko) 하수관 매설지지 구조물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20110105594A (ko)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0619403B1 (ko) 연약지반 침하방지용 안전을 위한 삼각형 상하수도관의설치구조
KR100603195B1 (ko)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KR200359265Y1 (ko) 파이프 연결구
JPH08495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埋設管との接続構造
KR100944653B1 (ko) 지중 배전케이블 매설용 절곡형 관로 설치구조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KR102076918B1 (ko)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KR101137648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0689054B1 (ko)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KR200235907Y1 (ko) 새들붙이 분수전 접속용 후렉시블관
KR100597276B1 (ko)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KR950005532Y1 (ko) 흄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