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210Y1 -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210Y1
KR200156210Y1 KR2019960030301U KR19960030301U KR200156210Y1 KR 200156210 Y1 KR200156210 Y1 KR 200156210Y1 KR 2019960030301 U KR2019960030301 U KR 2019960030301U KR 19960030301 U KR19960030301 U KR 19960030301U KR 200156210 Y1 KR200156210 Y1 KR 200156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xing
heat sink
vehicle
vehicl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950U (ko
Inventor
서희욱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30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2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9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2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기에 있어, B+단자가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측 B+단자(1)에 고정돌기(7)를 형성하고, 이를 고정하는 히트 싱크(2)에 상기 고정돌기(7)를 수용하는 구조로 되는 고정부(8)를 형성하여 출력측 B+단자(1)와 히트싱크(2)의 조립시 상기 고정돌기(7)가 고정부(8)에 끼워지며 상호 조립되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기(7)는 히트 싱크(2)에 조립되는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것임.

Description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제1도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출력측 B+단자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B+단자 2 : 히트 싱크
3 : 고정 스크류 4, 5 : 절연몰드
6 : 너트 7 : 고정돌기
8 : 고정부
본 고안은 차량용 발전기에 있어, B+단자가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발전기는 차량의 엔진이 시동될 때 엔진의 회전력을 발전기의 풀리가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회전자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어짐에 따라 폴은 자화되고, 이때 발생한 기자력에 의해 고정자에서 발생되어지는 교류 전류는 정류기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후 차량 시스템과 연결되어지는 B+단자를 통하여 차량의 각종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여분의 전기는 배터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처럼 차량용 발전기는 초기 구동시에는 타여자 방식인데 반해, 일단 발전을 시작하면 자여자 방식이 된다.
따라서 차량용 발전기에는 초기발전을 위해 전류가 공급되고, 계속 발전할 때는 발전 전압을 체크하여 전압조정기로 보내어질 수 있게 하는 L단자와, 단자에 출력을 발생하는 B+단자를 인출하고 있다.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종래에는 출력측 B+단자(1)의 일측 단을 터미날 단자 즉, 히트 싱크(2)에 고정 스크류(3)를 이용하여 고정한 다음, B+단자(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된 절연 몰드 a, b(4, 5)를 B+단자(1)의 볼트(10)에 나사 결합되어지는 너트(6)로 고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에는 히트 싱크(2)에 B+단자(1)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시 히트 싱크(2)에 B+단자(1)를 지지케하는 지지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B+단자(1)가 유동되거나 고정 스크류(3)의 체결력에 의해 B+단자가 고정 스크류의 체결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를 조립하였다 하더라도 조립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고, 조립상태가 느슨한 경우에는 외부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한 스파크로 인해 출력측 B+단자가 쉽게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차량용 발전기로부터 인출되어지는 B+단자의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후에는 유동되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는 바,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측 B+단자(1)에 고정돌기(7)를 형성하고, 이를 고정하는 히트 싱크(2)에 상기 고정돌기(7)를 수용하는 구조로 되는 고정부(8)를 형성하여 출력측 B+단자(1)와 히트 싱크(2)의 조립시 상기 고정돌기(7)가 고정부(8)에 끼워지며 상호 조립되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고정돌기(7)는 히트 싱크(2)에 조립되는 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B+단자(1)와 히트 싱크(2)에 상호 조립되는 고정돌기(7)와 고정부(8)를 설치하므로서 B+단자를 조립할 때는 방향성을 가지는 B+단자(1)의 고정돌기(7)를 히트 싱크(2)의 고정부(8)에 끼워지도록 조립하게 되면 B+단자가 유동되는 일이 없이 항상 조립 위치에 놓여지게 되어 조립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B+단자(1)와 히트 싱크(2)에 상호 조립되는 고정돌기(7)와 고정부(8)를 설치하므로서 이를 조립하기 위한 고정 스크류(3)의 체결력이 작용하더라도 출력측 B+단자(1)에 형성시킨 고정돌기(7)가 히트 싱크(2)의 고정부(8)에 걸리어 회전하지 않음으로서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차량용 발전기로부터 인출되어지는 출력측 B+단자를 고정함에 있어서, 출력측 B+단자(1)에 고정돌기(7)를 형성하고, 이를 고정하는 히트 싱크(2)에 상기 고정돌기(7)를 수용하는 고정부(8)를 설치하여, 조립시 출력측 B+단자(1)의 고정돌기(7)가 히트 싱크(2)의 고정부(8)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KR2019960030301U 1996-09-20 1996-09-20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KR200156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301U KR200156210Y1 (ko) 1996-09-20 1996-09-20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301U KR200156210Y1 (ko) 1996-09-20 1996-09-20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950U KR19980016950U (ko) 1998-06-25
KR200156210Y1 true KR200156210Y1 (ko) 1999-09-01

Family

ID=1946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301U KR200156210Y1 (ko) 1996-09-20 1996-09-20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2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430A (ko) * 2001-03-28 2002-10-11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발전기의 터미널
KR100454550B1 (ko) * 2002-05-30 2004-11-03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950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912B2 (en) Automotive alternator
KR100449522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
FR2539258A1 (fr) Generatrice a courant triphase pour vehicules notamment avec rotor a poles a griffes
JP3974560B2 (ja) 回転電機
KR200156210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US7535137B2 (en) Alternator
JP4745493B2 (ja) 交流発電機
KR200158236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조립구조
JP2006217739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200170966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KR100538408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CN111052568B (zh) 具有电子组件的简化保持的旋转电机
KR20000004817U (ko) 발전기의 출력단자 고정구조
JPS5932205Y2 (ja) 車両用充電発電機
KR19980016951U (ko)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
JP2002136032A (ja) 車両用回転電機
JPS63107443A (ja) 交流発電機のコイルと整流器等の接続方法
KR0124437Y1 (ko) 셰이딩 모터의 세트 취부구조
KR19990029132U (ko) 발전기의 레귤레이터
JPS622899Y2 (ko)
KR0140376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배선고정구
JP2003164094A (ja) 磁石式発電機のステータ
KR20000002544U (ko)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용 몰드
JPS58165649A (ja) 3相発電機
KR20180071814A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