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298Y1 -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298Y1
KR200154298Y1 KR2019970000048U KR19970000048U KR200154298Y1 KR 200154298 Y1 KR200154298 Y1 KR 200154298Y1 KR 2019970000048 U KR2019970000048 U KR 2019970000048U KR 19970000048 U KR19970000048 U KR 19970000048U KR 200154298 Y1 KR200154298 Y1 KR 200154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compression
food waste
predetermined
de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212U (ko
Inventor
강부자
Original Assignee
강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부자 filed Critical 강부자
Priority to KR2019970000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298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2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씽크대의 저부측에 연결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음식물 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씽크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는 투입구를 갖는 소정형상의 기체내부에 감속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탈수/압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안내부재의 끝단에는 소정의 수납용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체의 투입구 일측과 배출안내부재의 일측으로는 각각 배수공을 형성하되, 이들은 하수관과 연결되는 분기구상으로 소정의 오수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결합 구성하여, 씽크대의 배수공을 통해 낙하 투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가 탈수/압착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이송되어지는 도중 상기 음식물찌꺼기에 내재되어 있던 수분은 투입구 및 배출안내부재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수분이 빠져나간 음식물찌꺼기는 압착, 고형화되어 배출안내부재 일측으로 설치된 수납용기내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음식물찌꺼기의 체적 및 무게를 월등히 줄여 전체 쓰레기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처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본 고안은 일반적인 씽크대의 저부측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씽크대를 통해 투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로 부터 수분을 탈취한 후 압착, 고형화시키는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찌꺼기의 체적을 월등히 줄일 수 있고 그 처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등에서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종 재료들을 손질하거나 또는 음식물조리시에 사용된 식기 등을 세척하는 기능이 갖추어진 씽크대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씽크대에서의 작업은주로 물을 겸용하여 그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부로는 소정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하수관과 연결되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씽크대상에서의 음식물 재료 손질이나 식기 등을 세척할 경우에는 각종의 음식물찌꺼기가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음식물찌꺼기는 씽크대의 하부측에 형성된 배수공측으로 모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한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하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찌꺼기만을 취합하기 위하여, 물의 배출은 이루어지지만 음식물찌꺼기는 걸려질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걸림구가 상기 배수공상에 설치되어진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씽크대에서는 상기 걸림구성에 적체되어진 음식물찌꺼기 그 자체가 이미 많은 양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물찌꺼기의 체적이 증대되고 그 무게가 무거워짐으로써 전체 쓰레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걸림구는 단순히 음식물찌꺼기가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능만을 갖추고 있어, 상기 걸림구상에 많은 양의 음식물찌꺼기가 적체될 경우에는 이를 배수공으로부터 분리한 후 별도 장소에서 털어내 찌꺼기를 배출시켜야 함으로써, 배출작업의 번거로움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욱이 이와같은 음식물찌꺼기의 배출작업후에도 상기 걸림구상에는 미세한 음식물찌꺼기가 잔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심한 악취의 발생과 함께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서식하게 됨으로써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음식물찌꺼기의 처리방식에서 드러난 여러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 특히 씽크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는 투입구를 갖는 소정형상의 기체내부에 감속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탈수/압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기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출안내부재의 내부와 탈수/압착부재의 외주연에 걸쳐서는 원통형의 망체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안내부재의 끝단에는 소정의 수납용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체의 투입구 일측과 배출안내부재의 일측으로는 각각 배수공을 형성하되, 이들은 하수관과 연결되는 분기구상으로 소정의 오수관에 의해 연결되도록 결합 구성하여, 씽크대의 배수공을 통해 낙하 투입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가 탈수/압착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이송되어지는 도중 상기 음식물찌꺼기에 내재되어 있던 수분은 투입구 및 배출안내부재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수분이 빠져나간 음식물찌꺼기는 압착, 고형화되어 배출안내부재 일측으로 설치된 수납용기내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발생는 음식물찌꺼기의 체적 및 무게를 월등히 줄여 전체 쓰레기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처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전체구성 및 그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방향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절결한 측단면도.
제3도는 고안의 주요구성요소로서 적용되는 배출부재의 구성 및 그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발췌단면도.
제4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4도는 변형실시예의 전체구성을 일부절결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방향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절결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씽크대 1a : 배출공
2 :기체 3 : 탈수/압착부재
4 : 배출안내부재 5 : 수납용기
6 : 분기구 7 : 분쇄부재
21 : 투입구 21a : 제1배수공
31 : 제1탈수, 압착구 32 : 제2탈수, 압착구
33 : 탈수, 압착스크류 41 : 제2배수공
42 : 배출구 43 : 망체
44 : 배출부재 44a : 반구형 요입홈
44b : 테이퍼공 C : 케이스
M : 감속모터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인 씽크대(1)의 배수공(1a)측과 연결되도록 투입구(21)가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기체(2)의 내부에, 이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감속모터(M)와 연결되도록 소정형태의 탈수/압착부재(3)를 위치시키고, 상기 기체(2)의 타측에 결합되며 그내부로 탈수/압착부재(3)의 일단이 위치되는 배출안내부재(4)에는 소정의 유통홈(4a)을 형성하되, 상기 유통홈(4a)의 외부로는 반구형 요입홈(44a)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44a)측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공(44b)이 관통형성된 배출부재(44)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기체(2) 및 배출안내부재(4)의 내부와 탈수/압착부재(3)의 외주연상에 위치되도록 다수의 통공(43a)이 형성되는 원통형 망체(43)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부재(44)로부터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42)를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42)의 끝단에는 소정의 수납용기(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체(2)의 일측에는 제1배수공(21a)을, 배출안내부재(4)의 망체(43) 설치부위 저부로는 제2배수공(41)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 및 제2배수공(21a)(41)은 하수관(63)과 연결되는 분기구상(6)으로 제1 및 제2오수관(61)(62)에 의해 연결설치되도록 하여 소정의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제1배수공(21a)으로는 소정의 걸림망(22)을 부착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탈수/압착부재(3)를 헬리컬타입으로 톱니가 형성되어 이어지는 제1탈수, 압착구(31)와, 상기 제1탈수, 압착구(31)측에 근접되고 일방향으로 나선이 돌출되는 제2탈수, 압착구(32)가 결합된 형태로서 이를 한쌍으로 형성한 후 상호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이루되, 이들 중 어느 하나는 감속모터(M)와 연결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기체(2)내에 개재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5는 본 고안의 주요구성요소로서 적용되는 탈수/압착부재(3)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음식물찌꺼기의 처리장치를 이룬 상태에서 제1배수공(21a)을 기체(2)의 저부측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탈수/압착부재(3)는 그 이송방향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를 갖는 소정길이의 축상에 일정간격으로 나선이 돌출되는 탈수, 압착스크류(33)로써 이루되, 상기 탈수. 압착스크류(33)를 감속모터(M)의 원통축(S1)상에 결합되어 있는 제1평기어(G1)에 치합되도록 제2평기어(G2)가 소정위치에 결합된 상태의 종동축(S2) 일단과 끼움결합하여 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축(S1)의 일단에는, 소정의 고정핀(71)에 의해 이와 결합된 상태로 기체(2)의 투입구(21)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연결축(72)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72)상에는 투입구(21)내에 위치되도록 다수의 커터(73)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분쇄부재(7)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로써 51은 용기고정판을, 52는 용기고정판(51)을 요동시킬 수 있도록 된 링크부재를, 52a는 링크부재(5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손잡이를, C는케이스를, P는 패킹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씽크대(1)상에서의 음식물 재료손질이나 식기의 세척작업수행등으로 인해 발생된 각종 음식물찌꺼기가 배수공(1a)을 통해 기체(2)의 투입구(21)측으로 낙하투입되게 되면, 1차적으로 상기 음식물찌꺼기와 함께 투입되는 오수는 투입구(21)의 제1배수공(21a)측으로 유입되어 이와 연결된 제1오수관(61)을 따라 분기구(6)상에 도달한 후 상기 분기구(6)와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63)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1배수공(21a)측에는 소정의 걸림망(22)이 부착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수의 배출은 용이한 반면 낙하투입된 음식물찌꺼기가 하수관(63)측으로 유입되어 막히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찌꺼기가 낙하투입되는 과정에서 이와 동시에 감속모터(M)를 작동시켜 이의 구동력으로 한쌍의 탈수/압착부재(3)중 상기 감속모터(M)와 결합된 어느 하나를 일방향 회전동작시켜 주면, 상기 일 탈수/압착부재(3)와 맞물려 설치된 다른 탈수/압착부재(3)는 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된다.
이와같은 한쌍의 탈수/압착부재(3)가 서로 맞물려 상호 반대방향 회전동작하는 작동에 의해 상기 탈수/압착부재(3)을 이루는 제1탈수, 압착구(31)는 투입된 음식물찌꺼기를 1차로 가압하며 후술하는 제2탈수,압착구(32)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이 1차 가압되어 이송된 음식물찌꺼기는 탈수/압착부재(3)을 이루는 제2탈수, 압착구(32)의 상호 맞물림회전동작에 의해 더욱 가압, 압착되어져 수분이 빠져나온 상태로 고형화된 후 배출안내부재(4)의 유통홈(4a)측으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탈수, 압착구(31)(32)상에 돌출형성된 나선의 상호 맞물림 회전동작과 함께, 제2탈수, 압착구(32)의 외주연측에 설치된 원통형 망체(43)와의 가압접촉됨으로 인해 이송되는 음식물찌꺼기에서는 수분이 빠져나오게 되고, 이와 같이 빠져나온 수분은 망체(43)의 통공(43a)을 통해 배출안내부재(4)의 제2배수공(41)측으로 이동되어 이와 연결된 제2오수관(62)을 따라 분기구(6)상에 도달한 후 상기 분기구(6)와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63)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유통홈(4a)측으로 이송되어진 음식물찌꺼기상에서는 거의 수분이 포함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분이 탈취되고 압착된 상태에서 배출안내부재(4)의 유통홈(4a)측에 이송되어 온 음식물찌꺼기는, 계속되는 제2탈수, 압착구(32)의 회전으로 인해 유통홈(4a)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부재(44)측으로 가압되며 이송되게 되고, 이어 상기 배출부재(44)의 반구형 요입홈(44a)상에서 일단 정체된 후 테이퍼공(44b)을 통과하여 배출안내부재(4)의 배출구(42)측으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테이퍼공(44b)은 통과되는 음식물찌꺼기를 가는 면발의 형태로 성형시켜 고형화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같이 음식물찌꺼기의 고형화가 이루어져 배출구(42)측으로 낙하된 이후에는 상기 배출구(42) 끝단에 설치된 수납용기(5)내로 수납되게 되며, 상기 수납용기(5)내에 수납된 음식물찌꺼기가 은 정도 이상으로 채워지면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여 배출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음식물찌꺼기에 대한 처리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변형실시예를 적용한 경우 씽크대(1)상에서 음식물 재료 손질이나 식기의 세척작업 수행 등으로 인해 발생된 각종 음식물찌꺼기가 배수공(1a)을 통해 기체(2)의 투입구(21)측으로 낙하투입되게 되면, 1차적으로 상기 음식물찌꺼기와 함께 투입되는 오수는 기체(2)의 저부측에 형성된 제1배수공(21a)측으로 유입되어 이와 연결된 제1오수관(61)을 따라 분기구(6)상에 도달한 후 상기 분기구(6)와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63)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1배수공(21a)의 상부측에는 기체(2)내로 설치된 망체(43)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오수의 배출은 용이한 반면 이와 동시에 낙하투입된 음식물찌꺼기는 상기 망체(43)에 의해 걸려짐으로써 상기 음식물찌꺼기가 하수관(63)측으로 유입되어 막히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찌꺼기가 낙하투입되는 과정에서 이와 동시에 감속모터(M)를 작동시켜 이의 구동력으로 원동축(S1)을 회전동작시켜 주면, 상기 원동축(S1)상에 결합되는 제1평기어(G1)와 치합된 상태의 제2평기어(G2)가 상기 제1평기어(G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제2평기어(G2)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2평기어(G2)를 결합하고 있는 종동축(S2)역시 상기 원동축(S1)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동축(S1)과 소정의 고정핀(71)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있는 연결축(72)은 상기 원동축(S1)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동작하여 투입구(21)측에 위치되어 있는 커터(73)를 일방향 회전시킴과 동시에, 종동축(S2)과 끼움결합된 상태로 기체(2)내에 위치하고 있는 탈수, 압착스크류(33)는 상기 커터(73)와 반대방향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커터(73)와 탈수, 압착스크류(33)가 상호 반대방향 회전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터(73)는 낙하투입되는 음식물찌꺼기의 덩어리진 부분이나 체적이 큰 부위를 1차적으로 분쇄시키게 되며, 이어 1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계속적으로 낙하되어 탈수, 압착스크류(33)가 위치된 상태의 기체(2)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
이와같이 기체(2)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찌꺼기는 종동축(S2)과 연결되어 일방향 회전되는 탈수, 압착스크류(33)에 의해 후술하는 배출안내부재(4)의 유통홈(4a)측으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상기 탈수, 압착스크류(33)는 그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의 축상에 일정간격으로 나선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나선과 나선사이의 공간이 점차로 축소되기 때문에, 이송되는 음식물찌꺼기는 유통홈(4a)측으로 갈수록 탈수, 압착스크류(33)의 나선사이에서 가압되어져 수분이 빠져나온 상태로 고형화된 후 배출안내부재(4)의 유통홈(4a)측으로 이송되어진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탈수, 압착스크류(33)에 형성된 나선과 나선사이의 공간이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축소되는 것과 함께, 이송과정에서 상기 탈수, 압착스크류(33)의 외주연측에 설치된 망체(43)와의 가압접촉됨으로 인해 탈수, 압착스크류(33)를 통해 이송되는 음식물찌꺼기에서는 계속적으로 수분이 빠져나오게 되고, 이와같이 빠져나온 수분은 망체(43)의 통공(43a)을 통해 기체(2)의 제1배수공(21a) 및 배출안내부재(4)의 제2배수공(41)측으로 이동되어 이와 연결된 제1 및 제2오수관(61)(62)을 따라 분기구(6)상에 도달한 후 상기 분기구(6)와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63)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유통홈(4a)측으로 이송되어진 음식물찌꺼기상에는 거의 수분이 포함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분이 탈취되고 압착된 상태에서 배출안내부재(4)의 유통홈(4a)측에 이송되어 온 음식물찌꺼기는, 계속되는 탈수, 압착스크류(33)의 회전으로 인해 유통홈(4a)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부재(44)측으로 가압되며 이송되게 되고, 이어 상기의 배출부재(44)를 통해 전술한 바와같은 수납용기(5)상으로 낙하투입되는 것에 의해 음식물찌꺼기에 대한 처리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실시예의 작동으로 인해 수납용기(5)내로 수납되어진 음식물찌꺼기는, 기체(2)의 배수공(21a)을 통한 1차적인 수분배출과 함께 상기 탈수/압착부재(3)를 이루는 제1 및 제2탈수, 압착구(31)(32)의 상호 맞물림회전동작, 또는 이송방향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작아지는 탈수, 압착스크류(33)의 일방향 회전에 의한 가압, 그리고 상기 탈수/압착부재(3)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의 망체(43)와의 가압접촉됨 등으로 2차적인 수분배출이 이루어져 수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고형화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초기 기체(2)의 투입구(21)내로 낙하투입된 음식물찌꺼기가 갖는 체적 및 무게에 비해 월등히 감소된 체적 및 무게를 갖게 되고, 수분함량의 극소화로 인해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이 방지되어 이로 인한 악취의 발생이나 건강상의 유해요인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음식물찌꺼기가 수납되는 수납용기(5)는 손잡이(52a)에 의해 작동되는 소정의 링크부재(52)와 결합된 용기고정판(51)상에 착탈가능토록 설치하여 보다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발생되는 음식물찌꺼기로부터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취하여 배출시에는 그 체적 및 무게를 월등히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쓰레기의 발생량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고 매립이나 기타 재활용을 위한 처리작업시 그 작업의 간편성을 제공하는 등 여러 유용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일반적인 씽크대(1)의 배수공(1a)측과 연결되도록 투입구(21)가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기체(2)의 내부에, 이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감속모터(M)와 연결되도록 소정형태의 탈수/압착부재(3)를 위치시키고; 상기 기체(2)의 타측에 결합되며 그내부로 탈수/압착부재(3)의 일단이 위치되는 배출안내부재(4)에는 소정의 유통홈(4a)을 형성하되, 상기 유통홈(4a)의 외부로는 반구형 요임홈(44a)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44a)측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공(44b)이 관통형성된 배출부재(44)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기체(2) 및 배출안내부재(4)의 내부와 탈수/압착부재(3)의 외주연상에 위치되도록 다수의 통공(43a)이 형성되는 원통형 망체(43)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부재(44)로 부터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42)를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42)의 끝단에는 소정의 수납용기(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체(2)의 일측에는 제1배수공(21a)을, 배출안내부재(4)의 망체(43) 설치부위 저부로는 제2배수공(41)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1 및 재2배수공(21a)(41)은 하수관(63)과 연결되는 분기구(6)상으로 제1 및 제2오수관(61)(62)에 의해 연결설치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배수공(21a)으로 소정의 걸림망(22)을 부착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탈수/압착부재(3)는 헬리컬타입으로 톱니가 형성되어 이어지는 제1탈수, 압착구(31)와, 상기 제1탈수, 압착구(31)측에 근접되고 일방향으로 나선이 돌출되는 제2탈수, 압착구(32)가 결합된 형태로서 이를 한쌍으로 형성한 후 상호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이루되, 이들 중 어느 하나는 감속모터(M)와 연결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기체(2)내에 개재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의탈수, 압착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배수공(21a)을 기체(2)의 저부측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탈수/압착부재(3)는 그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를 갖는 소정길이의 축상에 일정간격으로 나선이 돌출되는 탈수, 압착스크류(33)로써 이루되, 상기 탈수, 압착스크류(33)를 감속모터(M)의 원동축(S1)상에 결합되어 있는 제1평기어(G1)에 치합되도록 제2평기어(G2)가 소정위치에 결합된 상태의 종동축(S2)일단과 끼움결합하여 그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S1)의 일단에는, 소정의 고정핀(71)에 의해 이와 결합된 상태로 기체(2)의 투입구(21)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연결축(72)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72)상에는 투입구(21)내에 위치되도록 다수의 커터(73)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분쇄부재(7)를 선택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KR2019970000048U 1996-08-19 1997-01-06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KR200154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048U KR200154298Y1 (ko) 1996-08-19 1997-01-06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60024744 1996-08-19
KR201996024744 1996-08-19
KR2019970000048U KR200154298Y1 (ko) 1996-08-19 1997-01-06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212U KR19980014212U (ko) 1998-06-05
KR200154298Y1 true KR200154298Y1 (ko) 1999-08-02

Family

ID=6972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048U KR200154298Y1 (ko) 1996-08-19 1997-01-06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2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212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3836B2 (ja) 厨芥処理装置
KR20070038082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WO2004047995A1 (en) Equipment food and trash of a sink stick
KR200154298Y1 (ko)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JP3572033B2 (ja) 破砕減容脱水機
KR20100041234A (ko) 폐기물 압축 탈수기
KR200289744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66555B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787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44523Y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200243592Y1 (ko)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300894Y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기
KR20090037110A (ko) 음식물 처리기
KR200146606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압축분리장치
KR100615456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4153126B2 (ja) スクリュー式脱水機
KR200366487Y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67431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KR1002496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40041110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9538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6032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