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92Y1 -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92Y1
KR200243592Y1 KR2020010012807U KR20010012807U KR200243592Y1 KR 200243592 Y1 KR200243592 Y1 KR 200243592Y1 KR 2020010012807 U KR2020010012807 U KR 2020010012807U KR 20010012807 U KR20010012807 U KR 20010012807U KR 200243592 Y1 KR200243592 Y1 KR 200243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inner case
case
safety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규
Original Assignee
김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규 filed Critical 김은규
Priority to KR2020010012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주방의 싱크대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안출하므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케이스(11)의 상부선단과 외부케이스(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안전커버(20)를 구성하되, 상기 안전커버(20)는 표면에 수개의 투입공(21)이 형성되고, 연결대(22)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분을 함유한 음식쓰레기가 용이하게 투입되면서 와류(渦流)현상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배출관(15)의 배출부에는 다수의 절개편(24)이 구비되고 중앙에 개구부(25)가 형성된 조절밸브(23)를 결합하고, 각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11)의 사이측에는 표면에 다수의 분사공(27)이 천공된 공급관(26)을 환형으로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물을 분사하므로서 내부케이스(11)의 외벽에 붙어있음 음식찌꺼기를 세척할 수 있게 하여 처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refuse treatment equipment for a kitchen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주방의 싱크대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안출하므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일반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는 음식을 조리할 시 음식쓰레기가 발생하게 되고 식사후 많은 양의 잔반(殘飯)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음식쓰레기의 경우는 처리가 매우 어려워 환경공해를 유발하게 되고, 특히 하절기의 경우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음식쓰레기가 썩게되어 과도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음식쓰레기의 경우는 싱크대의 아래부분에 결합된 배수구에 구멍이 뚫린 통에서 자연배수를 시킨 후 쓰레기통에 다시 버리거나 별도의 음식물 잔반통을 만들어 일정 기간동안 수거한 후 버리게 되므로 집안에 음식물 부패에 의한 남새가 발생하게 되고, 세균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처리가 불완전하여 위생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이렇게 버려진 쓰레기는 하천이나 골목 그리고 대로변 등에 버려지게 되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주방의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고체화시켜 별도의 장치 등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가정의위생과 사회의 환경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쓰레기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는 대부분 내부에 회전타입의 분쇄 및 압착탈수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스크류를 설치하여 상기 스크류의 작동으로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압착탈수되게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쓰레기를 압착탈수할 수 있는 장치는 주로 상부측으로 수분을 함유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횡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가 회전을 하면서 압착탈수를 하기 때문에 탈수의 효율성이 크게 저조할 뿐만 아니라 측방으로의 이동이 난이하여 작동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압착탈수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정의 압력을 받으면서 음식쓰레기가 배출되어야 탈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바, 지금까지 공지된 처리장치의 경우는 탈수되는 과정에서 미탈수된 음식쓰레기가 바로 수거통으로 이동하게 되어 탈수의 효율성이 크게 저조하였다.
즉, 적정의 압력을 받으면서 압착하기 위해서는 탈수된 음식쓰레기가 적정의 시간동안 탈수통의 내부에서 잔류하지 못하고 배출구측으로 곧바로 이동되므로 탈수의 효율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상부의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는 부위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자칫 손을 넣게 되면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 안전사고를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내부에 결합된 내부케이스의 외벽에는 압착탈수되는 수분과 함께 음식지꺼기가 붙어있게 되어 장기간 사용할 경우 탈수의 효율성이 극히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고, 이로 인해 사용수명이 일층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음식쓰레기를 용이하게 공급하면서 손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커버를 결합하고, 압착탈수되는 음식쓰레기가 적정의 시간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개구부에 의해 마련된 수개의 절개편을 구비하므로서 음식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탈수를 원할하게 하며, 각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사이에는 내부케이스의 외벽에 부착된 음식쓰레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공급관을 설치하므로서 솔레노이드 또는 마그네틱 등이 작동하여 주기적으로 내부케이스의 외벽에 물을 공급하므로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벽체에 천설된 장공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각종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로서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체를 조립한 상태의 일부절결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또 다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외부케이스 11 : 내부케이스
12 : 스크류 13 : 급수관
14 : 배수관 15 : 배출관
16 : 장공 17 : 몸체
18 : 모터
20 : 안전커버 21 : 투입공
22 : 연결대 23 : 조절밸브
24 : 절개편 25 : 개구부
26 : 공급관 27 : 분사공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0)가 이중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외벽에는 적정규격을 갖는급수관(13)과 배수관(14) 및 배출관(15)을 구성하고, 내부케이스(11)의 표면에는 다수의 장공(16)을 천설하며, 상기 내부케이스(11)의 중앙에는 모터(18)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12)가 한쌍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압착탈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기술구성은 공지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내부케이스(11)의 상부선단과 외부케이스(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안전커버(20)를 구성하되, 상기 안전커버(20)는 표면에 수개의 투입공(21)이 형성되고, 연결대(22)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분을 함유한 음식쓰레기가 용이하게 투입되면서 와류(渦流)현상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배출관(15)의 배출부에는 다수의 절개편(24)이 구비되고 중앙에 개구부(25)가 형성된 조절밸브(23)를 결합하므로서 음식쓰레기가 압착탈수되는 시간을 연장하여 압착탈수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각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11)의 사이측에는 표면에 다수의 분사공(27)이 천공된 공급관(26)을 환형으로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물을 분사하므로서 내부케이스(11)의 외벽에 붙어있음 음식찌꺼기를 세척할 수 있게 하여 처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주방의 음식쓰레기가 압착탈수된 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함을 별도 설치하여 배출관(15)을 통해 배출되면 자동으로 한곳에 수거한 후 적정의 양이 모이면 일괄수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0)의 상부에는 음식쓰레기를 용이하게 공급하면서 손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커버(20)를 결합하고, 압착탈수되는 음식쓰레기가 적정의 시간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개구부(25)에 의해 마련된 수개의 절개편(24)을 구비하므로서 음식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탈수를 원할하게 하며, 각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0)의 사이에는 내부케이스(11)의 외벽에 부착된 음식쓰레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공(27)이 형성된 공급관(26)을 설치하므로서 솔레노이드 또는 마그네틱 등이 작동하여 주기적으로 내부케이스(11)의 외벽에 물을 공급하므로서 상기 내부케이스(11)의 벽체에 천설된 장공(16)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각종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로서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일반가정이나 업소 등 주방의 싱크대가 설치된 하부에 설치하여 주방의 싱크대에서 설거지를 할 경우에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는 물과 함께 상측의 안전커버(20)의 연결대(22)에 의해 형성된 투입공(21)을 통해 투입하게 되면 상기 음식쓰레기는 물과 함께 안전커버(20)의 투입공(21)으로 투입된다.
즉 상기 안전커버(20)의 표면에는 경사상의 와류형 투입공(21)이 형성될 수 있게 연결대(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류형 투입공(21)을 통해 물을 함유한 주방 음식쓰레기가 용이하게 내부케이스(11)의 내부측으로 이동이 된다.
상기와 같은 안전커버(20)는 어린이나 아동 등이 손을 투입하지 못하게 되어있으므로 본 고안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내부케이스(11) 내부로 공급되는 음식쓰레기는 이중으로 설치된 스크류(12)쪽으로 이동이 되면 몸체(17) 하부의 모터(18)가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스크류(12)가 대향으로 회전을 하여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압착탈수하면서 발생하는 물은 내부케이스(11)의 표면에 다수 천설된 장공(16)을 통해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0)의 사이로 이동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관(14)을 통해 별도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배수되고, 나머지 음식쓰레기는 후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별도로 배출관(15)을 통해 배출되어 수거통으로 자동수거된다.
즉, 내부케이스(11)의 상부는 깔대기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음식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스크류(12)측으로 용이하게 밀려들어갈 수 있게 되어 압착탈수의 효율성이 일층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이 수분을 대량 함유한 음식쓰레기가 내부케이스(11)의 내부에서 스크류(12)에 의해 압착탈수되면 탈수된 물은 배수관(14)을 통해 배수되고, 음식찌꺼기는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배출관(15)측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배출관(15)에 연결된 별도의 수거통으로 수거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음식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관(15)의 안쪽 입구에는 다수의 절개편(24)이 형성되어 중앙에 개구부(25)가 형성된 조절밸브(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압착탈수된 음식찌꺼기를 곧바로 배출하지 않고 내부케이스(11)와 스크류(12)에 의해 체류시간을 좀더 길게 하므로서 압착탈수의 효율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조절밸브(23)의 절개편(24)에 의해 용이하게 탈수되어 적정의 압력을 받으면서 개구부(25)를 통해 배출되므로 압착탈수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상기 조절밸브(23)의 절개편(24)은 압착탈수의 효율성과 음식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크기나 탄성 등을 감안하여 적의 변형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급수관(1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호스를 연결하여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0)의 사이에 다수의 분사공(27)이 내부케이스(11)의 외벽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천공된 공급관(2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음식쓰레기를 압착탈수하는 과정에서 음식찌꺼기가 상기 내부케이스(11)의 외벽에 붙게 되면 공급관(26)의 분사공(27)을 통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어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음식쓰레기를 압착탈수하는 과정에서 본 고안의 처리장치를 항상 세척하게 되어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함은 물론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압착탈수의 효율성이 일층 증대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0)의 상부에는 음식쓰레기를 용이하게 공급하면서 음식쓰레기 등은 자동투입되고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커버(20)를 결합하고, 압착탈수되는 음식쓰레기가 적정의 시간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개구부(25)에 의해 마련된 수개의 절개편(24)을 구비한 조절밸브(23)를 설치하므로서 음식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탈수를 원할하게 하며, 각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0)의 사이에는 내부케이스(11)의 외벽에 부착된 음식쓰레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공(27)이 형성된 공급관(26)을 설치하므로서 솔레노이드 또는 마그네틱 등의 작동수단이 작동하여 주기적으로 내부케이스(11)의 외벽에 물을 공급하므로서 상기 내부케이스(11)의 벽체에 천설된 장공(16)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하는 등 각종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0)가 이중으로 설치되고, 외부케이스(10)의 외벽에는 적정규격을 갖는 급수관(13)과 배수관(14) 및 배출관(15)을 구성하고, 내부케이스(11)의 표면에는 다수의 장공(16)을 천설하며, 상기 내부케이스(11)의 중앙에는 모터(18)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스크류(12)가 설치된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케이스(11)의 상부선단과 외부케이스(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안전커버(20)를 구성하되, 상기 안전커버(20)는 표면에 수개의 투입공(21)이 형성되고, 연결대(22)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분을 함유한 음식쓰레기가 용이하게 투입되면서 와류(渦流)현상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배출관(15)의 배출부에는 다수의 절개편(24)이 구비되고 중앙에 개구부(25)가 형성된 조절밸브(23)를 결합하고, 각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11)의 사이측에는 표면에 다수의 분사공(27)이 천공된 공급관(26)을 환형으로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물을 분사하므로서 내부케이스(11)의 외벽에 붙어있음 음식찌꺼기를 세척할 수 있게 하여 처리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10012807U 2001-05-03 2001-05-03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3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807U KR200243592Y1 (ko) 2001-05-03 2001-05-03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807U KR200243592Y1 (ko) 2001-05-03 2001-05-03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92Y1 true KR200243592Y1 (ko) 2001-10-12

Family

ID=7310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807U KR200243592Y1 (ko) 2001-05-03 2001-05-03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02B1 (ko) * 2006-01-17 2007-05-04 정진복 배수통 세척기
KR20070103170A (ko) * 2006-04-18 2007-10-23 정진복 배수통 세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02B1 (ko) * 2006-01-17 2007-05-04 정진복 배수통 세척기
KR20070103170A (ko) * 2006-04-18 2007-10-23 정진복 배수통 세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3592Y1 (ko) 싱크대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0292430B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1647Y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
KR100294364B1 (ko) 씽크대오물(음식물쓰레기)자동처리기
KR20100041234A (ko) 폐기물 압축 탈수기
KR200289744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JPS63258656A (ja) 厨芥処理装置
KR200240024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191297Y1 (ko) 젖은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KR200148359Y1 (ko) 주방 음식물쓰레기의 물기제거기
KR20090037110A (ko) 음식물 처리기
KR1002787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50147Y1 (ko)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압축탈수 처리장치
KR200146606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압축분리장치
KR1002496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333511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67431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KR200154298Y1 (ko) 음식물찌꺼기의 탈수, 압착처리장치
KR20036032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960010342Y1 (ko) 주방용 쓰레기 압축장치
KR200403358Y1 (ko) 수돗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수분 분리장치
KR20019538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38061A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분리 처리장치
KR200212194Y1 (ko) 싱크대 전용 3중 스크류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