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083Y1 - 경고 표지판 - Google Patents

경고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083Y1
KR200154083Y1 KR2019970006670U KR19970006670U KR200154083Y1 KR 200154083 Y1 KR200154083 Y1 KR 200154083Y1 KR 2019970006670 U KR2019970006670 U KR 2019970006670U KR 19970006670 U KR19970006670 U KR 19970006670U KR 200154083 Y1 KR200154083 Y1 KR 200154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warning sign
rear memb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2352U (ko
Inventor
카이 포 첸
Original Assignee
카이 포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 포 첸 filed Critical 카이 포 첸
Priority to KR2019970006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0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2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빛을 발하고 반사하는 경고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경고 표지판은 휘도(輝度) 증폭수단과 반사판을 가진 전면부재, 발광 다이오드를 가진 중간 회로판, 및 전지실, on/off 스위치와 전원 플럭을 가진 후면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반사판은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반사할 수 있고 휘도증폭수단은 발광 다이오드에 의하여 발광된 빛을 증폭하여 피동적이고 적극적인 두 신호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의 대체 전원으로는 차내 끽연 라이터 소켓에 전원플럭을 삽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고 표지판
본 고안은 주로 휘도(輝度) 증폭수단을 구비한 전면부재와, 발광 다이오드를 가진 중간부재 및 배터리와 전원 플럭을 구비한 후면부재로 구성된 경고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고표지판은 일반적으로 3개의 반시 띠판이 부착된 삼각형의 표지판으로 되어 있고 자체의 발광은 없이 외부 수광반사형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경고표지판은 수광반사형으로 되어 있어 외부 광원이 없거나 광원이 약하면 반사효과가 없다. 따라서 차량이나 도로공사의 전후에 설치하는 경고표지판은 반사효과가 없기 때문에 사고의 기회만을 제공할 뿐이다.
또한 경고표지판 자체가 발광 수단이 아니기 때문에 외부 광원에 의하여 피동적으로만 빛을 반사할 수 있어,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반사 경고 표지판에 의한 경고를 받을 수 없고 경고 표지판의 전면에 있는 고장 차량과 격렬하게 충둘할 위험이 있다.
또 먼지로 덮힌 경고 표지판은 외부광원에 의한 빛의 반사 작용이 불량하게 되어 경고 표지기능이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근본적인 목적은 발광도 하고 빛을 반사도 하는 개선된 경고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증폭된 빛을 발광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고 표지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경고 표지판이 배터리나 차내 끽연라이터에 의하여 전원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진 개량된 경고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경고 표지판은 주로 휘도 증폭수단을 구비한 전면부재,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중간부재, 및 스텐드, 스위치, 전원플럭과 배터리실이 구비된 후면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부재는 실질적으로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된 회로판이며 경고 표지판의 광원을 이루어 섬광(閃光)을 발생시킨다. 전면부재상에 있는 휘도증폭수단은 중간부재상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하여 발생된 섬광을 증폭시켜 준다. 전면부재의 반사부품은 전면부재의 내부에 연결된 패널이며 반사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또 후면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는 on/off 스위치 역할 뿐 아니라 경고 표지판의 전원을 배터리와 차내의 끽연라이터의 절환 스위치 역할을 겸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회로를 나타낸 블록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부재 2 : 휘도증폭수단
3 : 발광다이오드 4 : 후면부재
5 : 직류 6 : 전압 안정회로
7 : IC 섬광회로 8 : 증폭회로
11 : 빛 반사패널 31 : 회로판
41 : 배터리실 43 : 스위치
44 : 배터리 45 : 플럭
46 : 고정수단
본 고안은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휘도 증폭수단(2)이 구비된 전면 부재(1), 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3)를 가진 회로판(31)인 중간 부재, 하부측에 배터리실(41), 스위치(43)와, 전원 플럭(45)를 구비한 후면부재(4)로 구성된 경고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전면부재(1)는 내측에 패널(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널(11)에는 외부 광선에 대하여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전면부재(1)에 형성된 휘도증폭수단(2)은 발광다이오드(3)에 의하여 발광된 빛을 증폭하여 준다. 즉 내부의 작은 광원을 효율적으로 증폭할 수 있다.
후면부재(4)의 하부에 형성된 배터리실(41)은 덮개(42)에 의하여 덮혀 있으며, 배터리(44)를 임의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경고 표지판은 배터리의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전원 플럭(45)을 차의 끽연 라이터 소켓에 삽착하여 소요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43)는 on/off 스위치 기능뿐 아니라 발광 다이오드 전원으로서 배터리(44)와 전원 플럭(45)의 절환스위치 역할을 겸한다.
제2도와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재(1)와 후면부재(4)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 내부에 발광 다이오드(3)가 배설된 회로판(31)이 내장되며, 이 회로판(31)은 후면부재(4)에 있는 다수의 고정수단(46)에 의하여 후면부재(4)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회로판(31)에 배설된 각 발광다이오드(3)는 휘도 증폭수단(2)과 근접으로 마주하고 있어 발광 다이오드(3)에서 발광된 빛이 휘도 증폭수단(2)에 의하여 증폭되고 전면부재(1)로부터 반사되어 경고신호로서 섬광(閃光)을 발하게 된다. 전면부재(1)의 내부에 연접되어 있는 패널(11)은 반사도료층(12)이 도포되어 있어 본 발명의 경고 표지판에 비추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이 경고신호로 반사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고 표지판은 외부 광원이 없는 경우라도 효과적으로 표지판의 경고기능을 발휘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 선도이다. 본 고안의 회로도에서 12v의 직류(5)로 공급된 전압-안정회로(6)가 있고 전압 안정회로(6)를 통하여 전원은 섬광IC(7)에 공급된다. 대안으로서는 섬광 IC(7)는 스위치(43)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것은 경고 표지판의 전원을 개폐하거나 배터리(44)와 외부전원을 절환개폐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푸시/풀 증폭회로(8)가 발광다이오드(3)와 섬광 IC(7) 사이에 들어 있다. 따라서 전원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3)는 주기적으로 섬광을 발광하여 휘도 증폭 수단에 의하여 증폭된 다음 경고 신호로 발광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경고 표지판은 발광 수단과 수광 반사 수단을 구비하여 배터리나 끽연 라이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전원이 없어도 외부 광원을 수광 반사하여 경고할 수 있어 종래의 경고 표지판의 문제점을 시정하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수의 휘도(輝度) 증폭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빛의 반사도료층이 도포된 패널이 내측에 형성된 전면부재와,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실, 스위치, 전원 플럭이 구비된 후면부재를 전후로 결합하고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배설되고 IC 섬광회로가 구비된 회로판을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의 결합된 공간내부에 내장하여 후면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회로판을 후면부재에 고정하고 배터리전원이나 끽연라이터 전원과 섬광회로에 의하여 발광된 발광다이오드의 섬광을 휘도증폭 수단에 의하여 증폭하여 발광 경고하고 외부광원으로도 수광 반사하여 경고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경고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발광다이오드의 전원 개폐기능과, 섬광을 발생하기 위한 상기 배터리나 전원 플럭을 선택절환하는 기능을 겸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경고 표지판.
KR2019970006670U 1997-04-01 1997-04-01 경고 표지판 KR200154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670U KR200154083Y1 (ko) 1997-04-01 1997-04-01 경고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670U KR200154083Y1 (ko) 1997-04-01 1997-04-01 경고 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352U KR19980062352U (ko) 1998-11-16
KR200154083Y1 true KR200154083Y1 (ko) 1999-08-02

Family

ID=1949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670U KR200154083Y1 (ko) 1997-04-01 1997-04-01 경고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0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40B1 (ko) * 2013-05-16 2014-07-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를 이용한 도로교통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370B1 (ko) * 2013-07-10 2013-10-14 김영태 Led 안내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40B1 (ko) * 2013-05-16 2014-07-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를 이용한 도로교통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352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1905A (ja) 車輌用マーカーランプ
GB2323618A (en) Illuminated warning triangle
TWI277550B (en) Light emitting circuit and lighting device
EP1442930A3 (en) Exterior mirror with light
KR200154083Y1 (ko) 경고 표지판
US20110037395A1 (en) Vehicle having a solar-powered light emitting device
JP4206471B2 (ja) 車両側部照明装置
CN107735284B (zh) 用于车辆的侧面闪光信号灯
CN110805871A (zh) 车用照明装置
CN217057405U (zh) 车灯和代步车
US20040100372A1 (en) Convenience high-brightness breakdown alarm lamp of car
KR0126232Y1 (ko) 자동차의 차폭등
ES2230191T3 (es) Automovil con sistema de alarma antirrobo.
JP3973717B2 (ja) 車両用灯具
KR200265860Y1 (ko) 반사판이 부착된 차선 표시기
WO2005118338A1 (en) The flank indicator lamp and a rear guard lamp
KR200404764Y1 (ko) 발광 효과를 가진 경고장치
KR980009425U (ko) 교통신호봉
JP3108784B2 (ja) 警告用表示装置
KR200475725Y1 (ko) 자동차용 안전등
KR0135546Y1 (ko) 자동차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KR19990003065U (ko) 자동차의 차폭등
KR200241785Y1 (ko) 발광 잠금나사
KR200277885Y1 (ko) 자동차용 사이더미러 커버
KR19980039039A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방경고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