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437Y1 -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 Google Patents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437Y1
KR200153437Y1 KR2019970006243U KR19970006243U KR200153437Y1 KR 200153437 Y1 KR200153437 Y1 KR 200153437Y1 KR 2019970006243 U KR2019970006243 U KR 2019970006243U KR 19970006243 U KR19970006243 U KR 19970006243U KR 200153437 Y1 KR200153437 Y1 KR 200153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opening
feeding
feeding mechanis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953U (ko
Inventor
이일원
Original Assignee
이일원
목도창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원, 목도창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일원
Priority to KR2019970006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43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45Washing or cleaning mix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in this subclass; Inhibiting build-up of material on machine parts using o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둑이나, 호안, 절포, 암반절개시 형성되는 법면에 교반토출장치를 이용하여 식생매트 시공시, 식생매트를 이루게 되는 인조토와 식물성 접착제를 교반혼합하여 얻어진 고점도 고형물을 교반혼합기로 부터 가압토출분사기구로 급송시켜 주기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에 관한 것으로 교반혼합기로 부터 투입된 식생매트재료를 가압토출분사기로 원활하게 급송시켜 주기 위해 상기 급송기구의 일측으로 상기 가압토출분사기구와 상호 연결되도록 엘보형 연결관을 연결설치하고 그 대향측과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 개폐문수단을 각각 수비하여 이송관내에서 식생매트 재료 이송시 상기 재료가 뭉치거나 막힐 경우 기계를 해체하지 않고 상기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막힌 재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본 고안은 둑이나, 호안, 절토, 암반절개시 형성되는 법면에 교반토출장치를 이용하여 식생매트 시공시, 식생매트를 이루게 되는 인조토와 식물성 접착제를 교반혼합하여 얻어진 고점도 고형물을 교반혼합기로 부터 가압토출분사기구로 급송시켜 주기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반혼합된 교형물의 급송시 급송기구 내부에 급송스크류의 회전력이 미치지 못하게 되는 병목지점에서 막힌 고형물의 식생매트재료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재료의 급송을 원활하게 하므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토목공사나 댐공사 등의 시공후에 남게 되는 법면에 대해 토지조정 및 법면보호공법등으로 녹화하여 붕괴의 위험이나 시각적 불안에서 해방시킬 수 있도록한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본출원원 국내특허공고 제91-7196호 법면녹화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과 국내 특허공고 제95-9057호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를 각각 선출원한바 있다.
이중 국내 특허공고 제91-7197호에서는 법면에 철망과 앵커볼트로서 고정설치하고 그 내부에 잔디묘판을 고정하는 그물공법을 채용하되, 상기 그물의 내부로 충진되는 인공토양식생매트를 인조토와 식물성 접착제의 교반혼합에 의해 제조하므로써, 식물의 원활한 생육을 도모함과 더불어 제조된 인공토양은 흙이 전혀 없는 암반비탈면까지도 녹화가능하게 강한 압력으로 분무하여 도포하고 그 상면에는 별도의 씨앗을 분무시켜 식물이 단시간내에 활발히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법면에 대해 녹지조정작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실시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였다.
한편, 국내특허공고 제95-9057호에서는 교반혼합기구와 가압토출분사기구를 상호 연결설치하고 그 사이로는 소정의 급송기구를 설치한 교반토출장치를 제공하여, 식생매트의 재료를 현장에서 교반혼합하고 교반혼합된 재료는 급송기구를 통해 가압토출분사기구측으로 급송되어 상기 가압토출분사기구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식생매트의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여러 특장점들을 제공하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중 국내특허공고 제95-9057호는 식생매트의 시공시 그 작업이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다으모가 같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상기한 급송기구는 내부에 설치되는 급송스크류가 구동부측으로만 축결합되어 있어 식생매트 재료이송시 상기 재료의 하중에 의한 급송스크류의 유동으로 상기 구동부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상기 급송스크류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송스크류의 회전력 감소로 인해 급송스크류의 회전력이 미치지 못하게 되는 상기 급송기구와 가압토출분사기구의 연결부위에는 접착성을 갖는 고형물이 쉽게 뭉치거나 굳어지게 되어 막히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한 급송기구는 재료이송시 고형물의 막힘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작업중 상기 연결부위에서 고형물이 막힐 경우 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연결부위를 해체하여 막힘을 제거하여야 되는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의 지연으로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송기구 내부의 식생매트 재료이송시 재료의 하중에 의한 급송스크류의 유동으로 급송스크류가 상기 급송기구의 외측원통프레임에 닿아 마찰을 일으켜 쉽게 마모되는 등 장치의 수명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원기술에서 지적된 단점을 극복하고 장치의 효율성적 운용을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반혼합기로로 부터 투입된 식생매트재료를 가압토출분사기로 원활하게 급송시켜 주기 위해 상기 급송기구의 일측으로 상기 가압토출분사기구와 상호 연결되도록 엘보형 연결관을 연결 설치하고 그 대향측과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 개폐문수단을 각각 수비하여 이송관내에서 식생매트 재료 이송시 상기 재료가 뭉치거나 막힐 경우 기계를 해체하지 않고 상기 개폐문수단을 이용하여 재료의 막힘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 사용의 효율 및 작업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급송기구 내부에 설치되는 급송스크류를 양쪽으로 축 결합되게 구성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력전달에 의한 스크류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므로써 구동부의 부하를 방지하게 되어 장치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데 있다.
제1도는 교반토출장치의 전체를 보인 평면구성도.
제2도는 교반토출장치의 전체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제3도는 급송기구의 발췌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Ⅰ-Ⅰ선 발췌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급송기구 40 : 엘보형 연결관
50,60 : 개폐문수단 52,62 : 볼트부재
53,63 : 너트부재 4b : 베어링 하우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기술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교반통(10)내로 설치되는 회전축(11)상에 다수개의 교반익(12a~12d)이 설치되는 교반혼합기구(1)와, 상기 교반혼합기구(1)에 연통되는 이송관(20)내로 급송스크류(21)가 설치되는 급송기구(2)와, 상기 급송기구(2)에 연결되어 식생매트고형물을 가압토출시키는 가압토출분사기구(3) 및 상기 교반혼합기구(1)와 급송기구(2)의 회전축(11) 및 급송스크류(21)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된 구동부(4)로 결합되어서 구성된 교반토출장치(M)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구(2)는 이송관(20)의 일측으로 상기 가압토출기구(3)와 상호 연결되도록 엘보형 연결관(40)을 연결설치하고 그 대향측과 상기 연결관(40)의 일측에는 각각 내부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개폐문수단(50)(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문수단(50)(60)의 상기 이송관(20) 및 연결관(40)은 일측에 개구부(51)(61)가 형성되어 이의 상방에 회동가능케 힌지결합된 볼트부재(52)(62)에 손잡이를 구비한 너트부재(53)(63)가 나사결합되고 하방에는 상기 개구부(51)(61)을 덮을 수 있는 개폐문(54)(64)이 내측에 기밀유지용패킹재(55)(65)가 부착되어 회동 가능케 힌지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개폐문(55)(64)의 상부엔 체결홈(54a)(65a)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52)(62)가 힌지회동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부재(53)(63)의 나사 결합에 의한 조임이나 풀음으로써 상기 개폐문(54)(64)이 상기 개구부(51)(61)에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급송기구(2)의 이송관(20)내부에 설치되는 급송스크류(21)는 상기 이송관(20)의 양방에서 상기 구동부(4)의 동력전달축(4a)과 베어링 하우징(4b) 에 의해 축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상태로 구성된 교반토출장치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한후 구동부(4)의 구동에 의한 교반혼합기구(1)의 회전축(11)을 회전시켜 교반익(12a~12d)을 회전시키면서 식생매트재료인 인조토와 식물성 접착제 등을 적정량 투입한후 교반하여 급송기구(2)의 이송관(20)내로 상기 교반혼합된 식생매트재료를 투입하여 급송스크류(21)에 의해 가압토출분사기구(3)로 급송한다.
이때 고형물인 식생매트재료의 급송시 상기 급송기구(2)나 이에 연결설치된 연결관(40)내부공간에서 고형물의 식생매트재료가 뭉치거나 굳어져 막힐경우에는 일측에 구성된 개폐문수단(50)(60)의 너트부재(53)(63)를 볼트부재(52)(62)에서 나사회동으로 풀고 개폐문(54)(64)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열고 내부공간에 막혀 있는 고형물을 제거하고 상기 개폐문(54)(64)을 다시 닫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운용의 문제점 즉, 식생매트재료가 막힐경우에도 장치전체를 해체하지 않고서도 그 즉시 용이하게 해결하고 장치운용을 이룰 수 있어 장치운용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 급송기구(2)를 이루는 이송관(20)내부에 설치되는 급송스크류(21)는 그 양단부가 회전가능케 동력전달축(4a) 및 베어링 하우징(4b)으로 축결합되도록 하여 구동부(4)의 동력전달에 의한 급송스크류(2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므로써 이송스크류(21)의 유동방지와 구동부(4)의 무리한 부하방지 그리고 구성부재의 무리한 운용이 배제되어 장치수명의 연장을 최대화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치운용의 효율 및 시공에 따른 작업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장치수명의 연장을 최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교반통(10)내로 설치되는 회전축(11)상에 다수개의 교반익(12a)(12b)(12c)(12d)이 설치되는 교반혼밥기구(1)와 상기 교반혼합기구(1)에 연통되는 이송관(20)내로 급송스크류(21)가 설치되는 급송기구(2)와 상기 급송기구(2)에 연결되어 식생매트고형물을 가압토출시키는 가압토출분사기구(3) 및 상기 교반혼합기구(1)와 급송기구(2)의 회전축(11) 및 급송스크류(21)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4)로 결합되어서 구성된 교반토출장치(M)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구(2)는 상기 이송관(20)의 일측으로 상기 가압토출기구(3)와 상호 연결되도록 엘보형 연결관(40)을 연결설치하고 그 대향측과 상기 연결관(40)의 일측에는 각각 내부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개폐문수단(50)(60)을 구비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수단(50)(60)의 상기 이송관(20) 및 연결관(40)은 일측에 개구부(51)(61)가 형성되어 이의 상방에 회동가능케 힌지결합된 볼트부재(52)(62)에 손잡이를 구비한 너트부재(53)(63)가 나사결합되고, 하방에는 상기 개구부(51)(61)를 덮을 수 있는 개폐문(54)(64)이 내측에 기밀유지용패킹재(55)(65)가부착되어 회동가능케 힌지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개폐문(54)(64)의 상부엔 체결홈(54a)(64a)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52)(62)가 힌지회동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부재(53)(63)의 나사결합에 의한 조임이나 풀음으로써 상기 개폐문(54)(64)이 상기 개구부(51)(61)에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구(2)의 이송관(20)내부에 설치되는 급송스크류(21)는 중심축이 상기 이송관(20)의 양방에서 상기 구동부(4)의 동력전달축(4a)과 베어링하우징(4b)에 의해 축지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KR2019970006243U 1997-03-28 1997-03-28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KR200153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243U KR200153437Y1 (ko) 1997-03-28 1997-03-28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243U KR200153437Y1 (ko) 1997-03-28 1997-03-28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953U KR19980061953U (ko) 1998-11-16
KR200153437Y1 true KR200153437Y1 (ko) 1999-08-02

Family

ID=1949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243U KR200153437Y1 (ko) 1997-03-28 1997-03-28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4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953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7124C (en) Dual auger manure spreader having controlled beater feed
KR200153437Y1 (ko)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급송기구
KR20090099738A (ko) 유기질 비료살포기
KR100894215B1 (ko) 더블호퍼비료살포기
CN111247893B (zh) 一种农药污染土壤的有害物降解装置
CN108848711A (zh) 一种园林土地均匀施肥设备
KR200443493Y1 (ko) 유압식 다목적 비료살포기
JP3159376B2 (ja) 法面緑化工法
KR100661100B1 (ko) 비료 살포 장치
CN212393173U (zh) 一种可搅拌基质的翻土机
KR20060109002A (ko) 유기질 비료 살포기
KR200153436Y1 (ko)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의 가압토출 분사기구
KR100288761B1 (ko) 경운기 부착용 살포기
KR200153435Y1 (ko) 식생매트 시공을 위한 교반토출장치
KR200433274Y1 (ko) 트랙터용 비료 및 염화 칼슘 살포장치
KR200192340Y1 (ko) 연약지반 강화를 위한 심층혼합처리공법에 사용되는교반기
KR200410334Y1 (ko) 퇴비 살포기
CN213892918U (zh) 一种农业喷药无人机的发散式药液喷洒装置
JP3178789B2 (ja) ロータリー式固化材吐出装置
KR200279965Y1 (ko) 퇴비살포기
CN220383520U (zh) 一种土地治理生态修复喷洒装置
CN220858899U (zh) 一种农业机械施肥装置
EP244456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Schüttgut
CN214627934U (zh) 一种农业保水剂施肥覆土装置
CN210647727U (zh) 微生物土壤修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