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341Y1 -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341Y1
KR200153341Y1 KR2019970023734U KR19970023734U KR200153341Y1 KR 200153341 Y1 KR200153341 Y1 KR 200153341Y1 KR 2019970023734 U KR2019970023734 U KR 2019970023734U KR 19970023734 U KR19970023734 U KR 19970023734U KR 200153341 Y1 KR200153341 Y1 KR 200153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hood
microwave oven
insertion hol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375U (ko
Inventor
남원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3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3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을 통해 배기가 되는 과정에서 그릴의 상측에 위치한 벽장에 물방울이 생겨 후드겸용 전자렌지와 가스 오븐렌지에 떨어져 외관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그릴(110)의 상면에는 사각공(111)을 형성하고, 그릴(110)의 전면 상측에는 삽입구(112)를 형성하며, 삽입구(112) 내면 하단에는 절곡부(113a)가 형성된 받침부(113)를 설치하고, 상기 삽입구(112)에 삽탈될 수 있도록 함실(114a)이 구성된 집수통(114)을 형성하므로서, 그릴(110)을 통해 배기가 되는 과정에서 벽장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그릴(110) 상면의 사각공(111)을 관통하여 그 하단의 집수통(114)에 모이게 되므로, 후에 집수통(114)을 빼내어 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물방울이 후드겸용 전자렌지나 가스 오븐렌지에 묻게 되어 외관이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그릴의 내부에 집수통을 설치하여 그릴의 상측에 위치한 벽장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되도록 함에 따라 물방울이 후드겸용 전자렌지나 그 하부의 가스 오븐렌지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손쉽게 임의의 장소로 이동설치 할 수 있는 탁상식 전자렌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시스템 키친화를 시도한 후드겸용 전자렌지(Over-The Range)도 있다.
즉, 상기한 후드겸용 전자렌지란 탁상식 전자렌지와 렌지후드를 결합한 시스템 키친형 복합 주방가전제품으로서 주방공간을 절약함과 아울러 주부들이 전자렌지에서 음식물을 간단히 해동하거나 데운 후, 전기 또는 가스 오븐렌지를 이용하여 연속해서 요리할 수 있도록 하고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서있는 상태로 편하게 요리할 수 있도록 일반인의 평균키에 맞추어 전기 또는 가스 오븐렌지가 설치된 장소에 설치하므로서 주부들의 요리를 하기 위하여 움직이게 되는 것을 최소화한 것이다.
이러한 후드겸용 전자렌지는 오븐기능을 가진 가스 또는 전기 오븐렌지의 조리장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오븐렌지에 의한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 및 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드기능과 더불어서 오븐렌지에 의한 음식물 조리시 오븐렌지의 음식물을 비추면서 은은한 분위기를 내주는 조명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즉, 상기한 가스 또는 전기 오븐렌지에 의해 음식물 조리도중 발생하는 연기 및 수증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드기능은 벤틸레이션(ventilation) 모터 양측에 장착된 트윈 스쿼러팬(Twin Squirrer Fan)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자렌지 바닥의 후드판 양측에 설치한 에어필터를 통해 에어필터링 된 연기 및 수증기가 벤틸레이션 모터의 트윈 스쿼러팬에 의해 전자렌지 내부에 형성한 배기로로 빨아들여져 상기 전자렌지 상부의 찬장내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스 또는 전기 오븐렌지에 의한 음식물 조리시, 은은한 분위기를 내주는 조명기능은 전자렌지 바닥의 후드판 중앙에 설치한 한쌍의 후드램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가스 또는 전기 오븐렌지에서 음식물 조리시 램프기능을 작동시키면 후드램프의 빛이 상기 가스 또는 전지 오븐렌지에 비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드겸용 전자렌지는 조리실 상판 안쪽면과 바닥판 안쪽면에 고주파 분산을 위한 스터러팬과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고, 조리실 바깥쪽면에는 상술한 스쿼러팬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장실에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및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팬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팬의 바람을 상기 조리실 상판 안쪽면의 스터러팬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덕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팬이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전자렌지의 전면 상부에는 그릴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그릴은 세부분으로 나위어 일측에는 배기가 되고, 중앙부에는 하부 가스렌지의 정화된 공기가 배기되며, 타측에는 흡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그릴의 일측에 구성된 배기구에 의해 배기가 되는 과정에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릴(11)의 상단에 위치한 벽장(20)에 수증기가 맺히면서 물방울이 되어 후드겸용 전자렌지(10)와 그 하부에 설치된 가스 오븐렌지(30)에 떨어져 후드겸용 전자렌지(10)와 가스 오븐렌지(30)를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내부에 집수통을 설치하여 벽장에 생기는 물방울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되도록 함에 따라 물방울이 후드겸용 전자렌지나 가스렌지에 떨어져 외관을 더럽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설치되어 있는 그릴의 배기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릴의 상면에는 관통된 사각공을 형성하고, 그릴의 전면 상측에는 삽입구를 형성하며, 삽입구 내면 하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된 받침부를 설치하고, 상기 삽입부에 삽탈될 수 있도록 함실이 구성된 집수통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그릴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하여 집수통을 삽탈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그릴의 배기부를 통해 배기가 되는 과정에서 벽장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그릴 상면에 설치된 사각공을 통해 사각공 하부에 위치한 집수통에 담기게 되므로 후에 집수통을 빼내어 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물방울이 후드겸용 전자렌지나 가스 오븐렌지에 묻게 되어 외관이 더러워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그릴 111 : 사각공
112 : 삽입부 113 : 받침부
113a : 절곡부 114 : 집수통
114a : 함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그릴의 배기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릴(110)의 상면에는 관통된 사각공(111)을 형성하고, 그릴(110)의 전면 상측에는 삽입구(112)를 형성하며, 삽입구(112) 내면 하단에는 절곡부(113a)가 형성된 받침부(113)를 설치하고, 내부에 함실(114a)이 구성된 집수통(114)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구(112)에 삽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5)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그릴(110)의 배기부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설치되어 있는 그릴(110)의 배기부(115)에 집수통(114)이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릴(110)의 상면에는 사각공(111)을 형성하여 그릴(110)의 배기부(115)에서 발생된 배기로 인하여 그릴(110)의 상단에 위치한 벽장(도면중 미도시)에 형성되는 물방울이 상기 사각공(111)을 통하여 집수통(114)에 집수되도록 하므로서, 물방울이 후드겸용 전자렌지(도면중 미도시)나 그 하부에 위치한 가스 오븐렌지(도면중 미도시)에 떨어져 외관을 더럽히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상단에 설치된 그릴(110)의 일측에는 배기부(115)가 구성되는데, 이때 그릴(110)의 배기부(115)측 상면에는 사각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부(115)의 소정부위에는 삽입구(112)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구(112)의 하단 내측에는 받침부(113)를 설치하되, 선단에는 절곡부(113a)가 형성되도록 한 후, 함실(114a)이 구성된 집수통(114)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구(112)에 착탈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집수통(114)을 상기 배기부(115)에 형성된 삽입구(112)에 삽입하게 되면 집수통(114)의 저면이 삽입구(112)의 하단 이면에 설치된 받침부(113)에 의해 지지되면서 착탈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받침부(113)의 선단에는 절곡부(113a)가 형성되어 있어, 집수통(114)이 삽입구(112)에 삽입된 후. 그릴(110)의 내면으로 완전히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후드겸용 전자렌지에 설치된 그릴(110)을 통하여 배기가 되는 과정에서 그릴(110)의 상측에 위치한 벽장에서 물방울이 맺히게 되고, 상기 물방울은 하부로 흘러 그릴(110)에 떨어지게 되면서, 상기 그릴(110)의 상면에 형성된 사각공(111)으로 빠지게 되고, 상기 사각공(111)으로 빠진 물방울은 그릴(110)의 삽입구(112)에 삽설해 놓은 집수통(114)의 함실(114a)에 모이게 되는 것이고, 후에 상기 집수통(114)의 함실(114a)에 모인 물은 집수통(114)을 삽입구(112)에서 빼내어 외부로 버리고, 상기 집수통(114)은 다시 삽입구(112)에 삽설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렌지에 설치된 그릴을 통하여 배기가 될 때 상기 그릴의 상측에 위치한 벽장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면서 그 물방울이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방울은 그릴의 상면에 형성된 사각공을 통해 그릴에 내부에 위치한 집수통에 모이도록 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물방울이 그대로 떨어져 후드겸용 전자렌지나 그 하부에 설치된 가스 오븐렌지에 떨어져 외관이 더러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설치되어 있는 그릴의 배기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릴(110)의 상면에는 관통된 사각공(111)을 형성하고, 그릴(110)의 배기부(115) 전면 상측에는 삽입구(112)를 형성하며, 삽입구(112) 하단 내면에는 절곡부(113a)가 형성된 받침부(113)를 설치하고, 내부에 함실(114a)이 구성된 집수통(114)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구(112)에 삽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KR2019970023734U 1997-08-29 1997-08-29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KR200153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734U KR200153341Y1 (ko) 1997-08-29 1997-08-29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734U KR200153341Y1 (ko) 1997-08-29 1997-08-29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75U KR19990010375U (ko) 1999-03-15
KR200153341Y1 true KR200153341Y1 (ko) 1999-08-02

Family

ID=1950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734U KR200153341Y1 (ko) 1997-08-29 1997-08-29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3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596B1 (ko) * 2011-03-04 2012-12-06 주식회사 하츠 인덕션 레인지 후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596B1 (ko) * 2011-03-04 2012-12-06 주식회사 하츠 인덕션 레인지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75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5339B2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air supply and exhaust
CN1332153C (zh) 炉灶上方的多功能微波炉
US5001970A (en) Grill exhaust system
US20230280045A1 (en) Combination appliance
JP2007032915A (ja) 加熱調理台
KR102153416B1 (ko)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기구이기
JP2002045240A (ja) 可搬式テーブル
KR200153341Y1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그릴
CN210399023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JP2869455B2 (ja) 無煙加熱調理器
KR102426333B1 (ko) 정화 기능이 개선된 듀얼 공기 정화 순환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구이기
CN209877015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JP2000039154A (ja) 加熱調理器
JPH04240317A (ja) 換気装置付調理台
KR102602481B1 (ko) 멀티팬 구조의 로스터
KR200298943Y1 (ko) 로스터
KR200190120Y1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고내용 램프 브라켓 취부구조
KR102641936B1 (ko) 음식물 구이기
CN217852514U (zh) 一种无烟烤盘
EP4332441A1 (en) Filter assembly and combination appliance
CN210107489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KR200246461Y1 (ko) 스탠드식 주방용 후드
JP2002177150A (ja) 加熱調理器
KR100289266B1 (ko) 조리용 배기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50020797A (ko) 렌지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