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177Y1 -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 - Google Patents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177Y1
KR200153177Y1 KR2019970020513U KR19970020513U KR200153177Y1 KR 200153177 Y1 KR200153177 Y1 KR 200153177Y1 KR 2019970020513 U KR2019970020513 U KR 2019970020513U KR 19970020513 U KR19970020513 U KR 19970020513U KR 200153177 Y1 KR200153177 Y1 KR 200153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rts
flooring
pvc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18U (ko
Inventor
김희연
장상식
Original Assignee
이종학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김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김희연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2019970020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17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35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42Vinyl halide, e.g. PVC, PVDC, PVF or PVDF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32B2264/062Cellulose particles, e.g. cotton
    • B32B2264/067Woo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지층중의 적어도 한 층은 천연질감을 갖도록 목분(31)이 함유되어 있는 목분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목분에 의한 자연상태의 질감과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
본 고안은 톱밥이나 나무가루등의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의 상측에는 인쇄층(3) 및 투명상지층(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상지층(5)의 상측에는 오염물질의 흡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긁힘을 방지하도록 표면층(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1)는 유리섬유의 상측에 PVC를 함침시키고, 그 상하측에는 다양한 층을 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1), 인쇄층(3), 투명상지층(5) 및 표면층(7)은 PVC 고분자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가소제, 안정제와 소량의 첨가제로서 충전제, 발포제, 안료 및 기타 첨가제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바닥재의 질감을 효과를 높이도록 상기 투명상지층(5) 또는 표면층(7)에는 기계적방법이나 화학적방법에 의한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바닥재는 질감이나 입체감을 주기 위해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한 엠보스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엠보스에 의해 질감을 나타내는 바닥재는 그 질감 및 입체효과가 미미하고, 특히 기계적 엠보스방법은 엠보스 공정작업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연적인 질감과 입체감효과가 뛰어나며 별도의 엠보스공정이 불필요한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바닥재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재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재층 13 : 인쇄층
15 : 투명상지층 17 : 표면층
19, 29 : 목분층 21 : 투명하지층
31 : 목분 33 : 구형물질
35 : PVC 칩 41 : 발포층
본 고안에 의한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는 다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지층중의 적어도 한 층은 천연질감을 갖도록 목분이 함유되어 있는 목분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분층에는 PVC 칩이 동시에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수지층중의 최상층에는 미끄럼을 방지함과 동시에 질감효과가 나도록 그 구성층에 대한 중량비로 스티렌 모노머로부터 현탁 중합된 가교구조를 갖는 비드상 스티렌 수지로 된 구형물질 1∼10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분은 30 - 80메시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분과 PVC칩이 동시에 함유된 층에서, 상기 목분은 상기 PVC칩에 대해 1- 80중량로 조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층(11)의 상측에는 시각을 통하여 미감을 일으키도록 소정의 무늬와 색상을 갖는 인쇄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층(13)의 상측에는 상기 인쇄층(13)의 인쇄면을 보호하도록 투명상지층(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상지층(15)의 상측에는 바닥재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표면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11)의 하측에는 천연질감이 나도록 목분(31)이 첨가된 목분층(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분층(19)의 하측에는 상기 목분을 떨어지지 않게 함과 동시에 목분의 색상을 돋보이게 하도록 투명하지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층(11)은 유리섬유 또는 Mineral Paper, Polyester 부직포에 PVC Resin 100부, 가소제 30 - 70부, Ba-Zn계 안정제 1 - 5부, CaCO3등의 충진제 20-40부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인쇄층(13)은 유 무기 잉크 또는 유색 PVC Sol 잉크에 의해 인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 무기 잉크는 안료 1-8, 초산비닐바인더 10-30, 일정한 양의 솔벤트(+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톨루엔등)가 함유된 조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색 PVC Sol 잉크는 안료 1-5, PVC Resin 60, 가소제 30, 안정제 1, 기타 첨가제 4로 조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상지층(15)은 PVC Resin 100부, 가소제(Dioctyl Phthalate, Diisonoyl Phthalate, Butyl Benzyl Phthalate, Texanoliso Butyrate 등) 30 - 100부, Ba-Zn계 안정제 1 - 5부, 자외선 흡수제 0.1 - 2부로 조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상지층(15)에는 공지의 향균제, 방충제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표면층(17)은 PVC Resin 100부, 가소제(Dioctyl Phthalate Diisonoyl Phthalate, Butyl Benzyl Phthalate, Texanoliso Butyrate 등) 30 - 100부, Ba-Zn계 안정제 1 - 5부, 자외선 흡수제 0.1 - 2부와, 소량의 첨가제 또는 일정량의 UV도료로 조성되어 있다. 표면층(17)에는 그 구성층에 대한 중량비로 스티렌 모노머로부터 현탁 중합된 가교구조를 갖는 비드상 스티렌 수지로 된 구형물질(33) 1∼10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표면층(17)에 함유된 구형물질(33)은 빛을 난반사시켜 인쇄층(13)의 인쇄무늬를 더욱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다.
상기 목분층(19)은 공지의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에 대한 중량비로 1-10의 목분(31)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목분(31)은 톱밥이나 나무가루등으로서, 30 - 80메시의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투명하지층(21)은 PVC Resin 100부, 가소제(Dioctyl Phthalate, Diisonoyl Phthalate, Butyl Benzyl Phthalate, Texanoliso Butyrate 등) 30 - 100부, Ba-Zn계 안정제 1 - 5부, 자외선 흡수제 0.1 - 2부와, 소량의 첨가제 또는 아크릴 에멀젼으로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하지층(21)에는 공지의 향균제, 방충제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에서, 기재층(11)의 상측에 인쇄층(13), 투명상지층(15) 및 표면층(17)을 형성하는 공정은 공지의 공정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기재층(11)의 하측에는 합성수지(PVC 등)를 주원료로 하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목분(31)을 산포하여 목분(31)을 겔화하여 목분층(19)을 형성한다. 상기 목분층(19)의 하측에는 공지의 적층기술로 투명하지층(21)을 형성한다.
상기 목분(31)의 산포하는 장치는 그 벽면에 다수의 구멍이 군집되게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롤러와, 상기 원통형 롤러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상기 원통형 롤러의 내부에 결합된 호퍼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호퍼의 하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의 상부에는 목본칩이 유출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기재층(11)의 하측에 완충성을 갖도록 발포층(41)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층(11)의 상측에는 인쇄층(13), 목분층(19), 투명상지층(15) 및 표면층(17)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를 나타낸다.
상기 발포층(41)은 PVC Resin 100부, 가소제(Dioctyl Phthalate, Diisonoyl Phthalate 등) 30 - 80부, 발포제(Azo di Carbon amide) 3 - 10부, Ba-Zn계 안정제 1 - 8부, 충진제 30 - 50부, ZnO계 발포 Kicker 1 - 3 부등이 함유된 조성으로 되어 있다.
제4도는 제2도의 바닥재와 유사한 적층구조로 되어 있으나, 목분층(29)이 목분(31)과 PVC칩(35)을 함유한 조성으로 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목분(31)과 PVC칩(35)은 30 - 80메시의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목분(31)은 상기 PVC칩에 대해 1 - 80중량로 조성되어 있다. 상기 PVC 칩(35)은 유색 또는 무색으로 된 합성수지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칩은 PVC 레진 100중량부와, 가소제 20∼50중량부와, 활제 5중량부와, 안정제 5중량부와, 발포제 1∼10중량부가 혼합된 조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부에는 스티렌 모노머로부터 현탁 중합된 가교구조를 갖는 비드상 스티렌 수지로 된 구형물질 1 ∼ 20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5도는 제3도의 바닥재와 유사한 적층구조로 되어 있으나, 목분층(29)이 목분(31)과 PVC칩(35)을 함유한 조성으로 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목분(31)과 PVC칩(35)은 30 - 80메시의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목분은 상기 PVC칩에 대해 1 - 80중량로 조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재층(11)의 상하측에 다양한 수지층이 형성된 바닥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에 의하면, 별도의 엠보스공정으로 하지 않고도 목분에 의한 천연질감 및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구형물질이 첨가된 구조에서는 질감과 입체감을 나타내면서 미끄럼 방지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Claims (7)

  1. 다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 진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지층중의 적어도 한 층은 목분(31)이 함유되어 있는 목분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층에는 PVC 칩(35)이 동시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지층중의 최상층에는 그 구성층에 대한 중량비로 스티렌 모노머로부터 현탁 중합된 가교구조를 갖는 비드상 스티렌 수지로 된 구형물질(33) 1∼10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31)은 30 - 80메시의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31)은 상기 PVC칩(35)에 대해 1 - 80중량로 조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VC 칩(35)은 PVC 레진 100중량부와, 가소제 20∼50중량부와, 활제 5중량부와, 안정제 5중량부와, 발포제 1∼10중량부가 혼합된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퍼얼칩은 스티렌 모노머로부터 현탁 중합된 가교 구조를 갖는 비드상 스티렌 수지로 된 구형물질 1 ∼ 20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KR2019970020513U 1997-07-30 1997-07-30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 KR200153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13U KR200153177Y1 (ko) 1997-07-30 1997-07-30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513U KR200153177Y1 (ko) 1997-07-30 1997-07-30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18U KR19990007018U (ko) 1999-02-25
KR200153177Y1 true KR200153177Y1 (ko) 1999-08-02

Family

ID=1950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513U KR200153177Y1 (ko) 1997-07-30 1997-07-30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1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846B1 (ko) * 1998-07-09 2004-06-16 고려화학 주식회사 천연소재 칩과 pvc 파우더를 적용한 바닥재
KR20000040000A (ko) * 1998-12-16 2000-07-05 추두련 목초산을 함유한 바닥재
WO2007097497A1 (en) * 2006-02-24 2007-08-30 Dooi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floors including wood pow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18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1734B2 (en) Decorative embossed surface coverings having platey material and inlaid appearance
KR200153177Y1 (ko) 목분이 함유된 바닥재
KR100303478B1 (ko) 천연 한지층을 갖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0163951Y1 (ko) 아크릴층이 형성된 바닥재
KR200168506Y1 (ko) 석분이 함유된 바닥재
CN101400855A (zh) 包含烯烃材料的透气性墙壁覆盖物及其生产方法
KR19990010159U (ko) 목분이 함유된 바닥장식재
KR200144942Y1 (ko) 구형물질에 의해 엠보스무늬가 형성된 바닥장식재
KR200153180Y1 (ko) 구형물질과 광택제가 함유된 바닥재
KR200153188Y1 (ko) 엠보스 입체무늬를 갖는 바닥재
KR19990033008U (ko) 천연 나무 시트의 표면층을 갖는 바닥재
KR0181571B1 (ko) 폴리우레탄 발포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바닥장식재
WO2019134983A1 (en) Cushion vinyl substrate
KR980008604A (ko) 아크릴 확산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N1757523A (zh) 能改变颜色的书及喷射器
JPH1058817A (ja) 木目模様化粧シ−ト
KR100231303B1 (ko) 목분인쇄층을 구비한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99622Y1 (ko) 다중입체무늬의 바닥장식재
KR100606391B1 (ko) 건축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1113638A (ja) 化粧紙
KR100350896B1 (ko) 천연 무늬목층을 갖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0277050Y1 (ko) 입체무늬 바닥 장식재
KR19990016427U (ko) 축광인쇄층이 형성된 바닥재
KR100211688B1 (ko) 와이핑인쇄에 의한 인쇄무늬를 갖는 바닥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JPH09226083A (ja) 化粧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