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614Y1 -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614Y1
KR200151614Y1 KR2019960051595U KR19960051595U KR200151614Y1 KR 200151614 Y1 KR200151614 Y1 KR 200151614Y1 KR 2019960051595 U KR2019960051595 U KR 2019960051595U KR 19960051595 U KR19960051595 U KR 19960051595U KR 200151614 Y1 KR200151614 Y1 KR 200151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frequency
output
signal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1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533U (ko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1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6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85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5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센터필러쪽에 장착되어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발신부(10)와; 이 주파수발신부(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하면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감지부(20); 이 주파수감지부(20)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소정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발생부(30); 이 클럭발생부(30)로부터 출력된 클럭을 카운트하여 소정의 단위 시간당 클럭수가 소정치 이상이 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40) 및; 이 카운터(40)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50)로 구성되어, 주행중에 운전자가 졸게 될 경우 상기 주파수감지부(20)가 상기 주파수발신부(10)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감지하여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클럭발생부(30)는 이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클럭을 발생하게 되며, 이 클럭발생부(30)로부터 발생된 클럭수가 소정 단위 시간당 소정치 이상으로 판별되어 상기 카운터(40)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경보부(50)가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였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교통 사고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주행중에 졸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된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게 되면 음주 운전을 하였을 때보다도 더 큰 교통 사고를 유발시킬 염려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행중에 피로를 느끼게 되면 자신의 안전은 물론 상대방의 안전을 위해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난 후에 주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는 본인이 졸고 있다는 사실을 민감하게 감지하지 못하며, 설령 감지를 한다하더라도 졸음을 참고 무리하게 주행을 하다가 교통 사고를 당하게 되는 일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주행중에 졸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된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센터필러쪽에 장착되어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발신부와; 이 주파수발신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하면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감지부; 이 주파수감지부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소정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발생부; 이 클럭발생부로부터 출력된 클럭을 카운트하여 소정의 단위 시간당 클럭수가 소정치 이상이 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 및; 이 카운터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는 운전자가 졸게 되면 상기 주파수감지부가 상기 주파수발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클럭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수가 소정의 단위 시간당 소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경보부에서 경보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졸음 운전을 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파수발신부와 주파수감지부가 차체의 센터필러쪽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파수발신부 20: 주파수감지부
30: 클럭발생부 40: 카운터
50: 경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파수발신부와 주파수감지부가 차체의 센터필러쪽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자동차의 센터필러쪽에 장착되어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발신부(10)와; 이 주파수발신부(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하면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감지부(20); 이 주파수감지부(20)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소정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발생부(30); 이 클럭발생부(30)로부터 출력된 클럭을 카운트하여 소정의 단위 시간당 클럭수가 소정치 이상이 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40) 및; 이 카운터(40)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주파수발신부(10)와 주파수감지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센터필러쪽의 서로 마주보는 쪽에 장착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정상적인 자세로 운전을 할 경우에는 상기 주파수발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가 운전자의 머리에 의해 막히게 되어 상기 주파수감지부(20)가 이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파수감지부(20)가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면 상기 클럭발생부(30)는 클럭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클럭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카운터(40)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결국 경보부(50) 역시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럭발생기(30)는 상기 주파수감지부(20)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한 개의 클럭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카운터(40)는 소정의 단위 시간당 상기 클럭발생부(30)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수를 카운트하여, 클럭수가 소정치 이상으로 판별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소정의 단위 시간을 5초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클럭발생부(30)로부터 5초 동안에 5개 이상의 클럭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카운터(40)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만약 운전자가 주행중에 졸게 되어 고개를 끄덕이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머리가 앞으로 향하게 되어 상기 주파수감지부(20)는 상기 주파수발생부(1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감지하여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고개를 한 번 끄덕일 때마다 상기 주파수감지부(20)는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파수감지부(20)로부터 소정의 감지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클럭발생부(30)로 입력되면 이 클럭발생부(30)에서는 감지신호가 입력된 횟수와 같은 수의 클럭을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카운터(40)에서는 이 클럭발생부(30)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상기 예에서와 같이, 5초 동안에 5개 이상의 클럭이 카운트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운전자가 5초 동안에 지속적으로 고개를 5번 이상 끄덕이게 되면 이 카우터(40)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카운터(40)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상기 경보부(50)로 입력되면 이 경보부(50)는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졸음 운전을 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운전자가 졸게 되면 상기 주파수감지부(20)가 상기 주파수발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클럭발생부(30)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수가 소정의 단위 시간당 소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경보부(40)에서 경보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졸음 운전을 하고 있음을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되어 적절한 휴식을 취하게 되며, 이로 인해 졸음 운전으로 인해 대형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센터필러쪽에 장착되어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발신부(10)와; 이 주파수발신부(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감지하면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감지부(20); 이 주파수감지부(20)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소정의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발생부(30); 이 클럭발생부(30)로부터 출력된 클럭을 카운트하여 소정의 단위 시간당 클럭수가 소정치 이상이 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40) 및; 이 카운터(40)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KR2019960051595U 1996-12-19 1996-12-19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KR200151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595U KR200151614Y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1595U KR200151614Y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533U KR19980038533U (ko) 1998-09-15
KR200151614Y1 true KR200151614Y1 (ko) 1999-07-15

Family

ID=1948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1595U KR200151614Y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6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533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7163B2 (ja) 運転者の覚醒度を監視及び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940018270A (ko) 챠량용 졸음 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KR20160069302A (ko) 운전자의 졸음상태 판단 시스템 및 그 판단 방법
KR200151614Y1 (ko)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JP2017084071A (ja) 車載機
JP2019133402A (ja) 車両用警報装置
KR100269956B1 (ko) 차량용 졸음 운전 방지 장치
JP3353452B2 (ja) 居眠り警告装置
EP0276462B1 (en) Acoustic sleep inhibiting device
JPH05262161A (ja) 居眠り防止装置
JPH04332100A (ja) 運転監視装置
KR960013874A (ko) 운전자의 졸음 방지 시스템
JP2020166391A (ja) 運転支援システム
KR100283321B1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EP0680728A1 (en) System for the automatic monitoring of the level of the attention of a human operator
KR970036013A (ko) 졸음운전 방지장치와 졸음운전 방지장치 제어방법
JPH07228171A (ja) 居眠り警告装置
JP2005301832A (ja) 運転者異常警報装置
KR0151671B1 (ko) 자동차 위치감지장치
KR970036018A (ko) 차량용 운전자 졸음방지시스템
JP2021018779A (ja) 眠気警告システム
JP3686183B2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KR19990015797A (ko) 졸음 운전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JPH07104419B2 (ja) 自動車用時計
KR970048696A (ko) 졸음 경고 장치를 갖는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