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021Y1 - 바닥 청소차 - Google Patents

바닥 청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021Y1
KR200151021Y1 KR2019970007690U KR19970007690U KR200151021Y1 KR 200151021 Y1 KR200151021 Y1 KR 200151021Y1 KR 2019970007690 U KR2019970007690 U KR 2019970007690U KR 19970007690 U KR19970007690 U KR 19970007690U KR 200151021 Y1 KR200151021 Y1 KR 200151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ans
cleaning
floor
main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215U (ko
Inventor
이종무
Original Assignee
윤은수
주식회사라인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은수, 주식회사라인실업 filed Critical 윤은수
Priority to KR2019970007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0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08B1/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Abstract

건물등의 바닥면을 용이하면서도 짧은 시간내에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청소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바닥 청소차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앞쪽으로 배치된 앞 새시와; 상기 본체의 앞쪽 및 뒤쪽 하단에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각각 회전되는 전륜 및 후륜과; 상기 본체의 전방에 전, 후륜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가 주행함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닦아주기 위한 앞 청소수단과; 상기 앞 청소수단을 앞새시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앞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닥 청소차
본 고안은 바닥 청소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들의 바닥면을 용이하면서도 짧은 시간내에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청소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바닥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빌딩이나 공항, 병원과 고속도로 휴게실(이하 '건물')등은 대형화되는 추세이고, 상기한 건물은 일반인들이나 그 직원들이 빈번하게 통행하는 곳으로 다수인의 위생을 위하여 그 바닥면은 청결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의 바닥면은 왁스등의 윤택재를 도포한 상태에서 기름걸레나 마른 걸레등이 부착된 자루걸레를 이용하여 닦아서 반들반들한 상태로 해주게 되는데, 이러한 건물의 바닥면 청소는 주로 청소부들을 고용하여 일일마다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행하거나 아니면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행하게 되는데, 일반 시민들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짧은 시간내에 깨끗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청소에 대한 심한 노동력 소모로 일반인들의 기피로 청소부의 고용이 날로 어려워지게 되고, 고용에 대한 인건비도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건물의 바닥면을 청소하려면 작업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자루걸레와 같은 청소 도구를 이용하여 바닥면으로 힘을 가하면서 일일이 닦아주어야 하므로 작업자의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소모하게 되어 청소에 따른 많은 인건비는 물론 청소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등의 바닥면을 용이하면서도 짧은 시간내에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청소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바닥 청소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의 앞쪽으로 배치된 앞 새시와; 상기 본체의 앞쪽 및 뒤쪽 하단에 동력 전달장치에 의하여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각각 회전되는 전륜 및 후륜과; 상기 본체의 전방에 전, 후륜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가 주행함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닦아주기 위한 앞 청소수단과; 상기 앞 청소수단을 앞새시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앞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을 청소하려면 먼저 작업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본체를 예컨대, 전진시켜 주면 앞 청소수단은 본체의 전진하는 방향의 바닥면을 밀착하면서 닦아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가 핸들을 조향하여 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본체의 회전에 따라 앞 청소수단 및 앞 설치수단은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청소차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청소차의 앞 청소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앞 청소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저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청소차의 뒤 청소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뒤 청소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청소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청소차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부호 1은 바닥 청소차의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본체(1)의 앞쪽으로 배치된 앞 새시(3)가 앞 커버(5)에 의하여 덮여지고, 뒤쪽으로 배치된 뒤 새시가 뒤 커버(7)에 의하여 덮여진다.
또한 상기 앞 커버(5)에는 진행 방향을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핸들(9)이 장착되고, 뒤 커버(7)에는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11)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핸들(9)의 하부에는 핸들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경사 조절판(13)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의 앞쪽 및 뒤쪽 하단에는 전륜(15)과 후륜(17)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 후륜(15)(17)은 동력 전달장치에 의하여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정, 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전방에는 전, 후륜(15)(17)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가 주행함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닦아주기 위한 앞 청소수단과; 상기 앞 청소수단을 앞새시(3)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앞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앞 청소수단은 바닥면을 닦아주기 위한 앞 걸레부재(19)와; 상기 앞 걸레부재(19)에 끼워서 이를 지지하기 위한 앞 고정부재(21)와; 상기 앞 고정부재(21)의 상면 양쪽으로 각각 형성된 고정편(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앞 고정부재(21)는 앞 걸레부재(19)를 고정편(2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5)와; 상기 고정부(25)의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앞 걸레부재(19)의 포켓부(27)에 걸어주기 위한 걸이부(2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앞 설치수단은 앞쪽으로 올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앞 새시(3)와 힌지축(도시않음)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앞 설치부재(33)와; 상기 앞 설치부재(33)의 전방에 형성된 힌지관(35)과; 상기 힌지관에 삽입되는 힌지축(3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ㄷ자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37)와; 상기 결합부재(37)의 전단면에 형성되고 앞 청소수단의 고정편(23)과 볼트(39) 및 너트(4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관(43)과; 상기 결합부재(37)와 앞 설치부재(33)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45)에 탄지되어 앞 청소수단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47)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45)은 앞 설치부재(33)의 상, 하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47)는 결합부재(37)를 견고하게 잡아 주면서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시켜 줄 수 있도록 프레임(45) 및 결합부재(37)의 양쪽에 각각 하나 이상으로 탄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1)에는 앞 청소수단의 앞 걸레부재(19)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앞 청소수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하여 앞 청소수단의 앞 걸레부재(19)를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앞 설치부재(33)를 록킹시켜 주기 위한 록킹수단이 더욱 포함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앞 새시(3)의 소정 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이동레버(49)와; 상기 이동레버(49)를 눌러주기 위한 발판(51)과; 앞 설치부재(33)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버(49)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기 위한 고정축(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수단은 앞 새시(3)의 소정 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록킹레버(55)와; 상기 록킹레버(55)를 눌러 주기 위한 발판(57)과; 상기 록킹레버(55)의 회전에 의하여 앞 설치부재(33)에 고정된 고정축(59)을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턱(61)과; 상기 앞 새시(3)에 록킹레버(55)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하여 탄지된 탄성부재(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의 후방에는 전, 후륜(15)(17)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1)가 주행함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을 닦아서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한 뒤 청소수단과; 상기 뒤 청소수단을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뒤 설치수단이 더욱 포함된다.
상기 뒤 청소수단은 바닥면을 닦아주기 위한 뒤 걸레부재(65)와; 상기 뒤 걸레부재(65)에 끼워서 이를 고정하기 위한 뒤 고정부재(67)와; 상기 뒤 고정부재의 상면 양쪽으로 각각 형성된 고정편(6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뒤 고정부재(21)는 뒤 걸레부재(65)를 고정편(2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1)와; 상기 고정부(71)의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되고 뒤 걸레부재(65)의 포켓부(73)에 걸어주기 위한 걸이부(7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뒤 설치수단은 뒤 청소수단의 고정편(69)과 볼트(77) 및 너트(79)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뒤 결합부재(81)와; 상기 뒤 결합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재(83)와; 상기 힌지부재가 삽입됨과 아울러 뒤 커버(7)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뒤 고정부재(85)와; 상기 뒤 고정부재(85)와 힌지부재(83)를 록킹시켜 주기 위한 록킹핀(87)과; 상기 힌지부재와 뒤 결합부재에 각각 탄지되어 뒤 결합부재(8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89)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을 청소하려면 먼저 작업자가 시트(11)에 착석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탄성부재(63)의 탄성력이 극복되게 록킹수단의 발판(57)을 밟아 주면, 록킹레버(55)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록킹수단의 고정축(59)이 걸림턱(61)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록킹수단은 해제 상태로 된다.
상기 록킹수단이 해제되면 앞 설치수단의 앞 설치부재(33)가 자중에 의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앞 청소수단의 앞 걸레부재(19)가 제7도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에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뒤 청소수단의 뒤 걸레부재(65)는 뒤 설치수단의 뒤 결합부재(81)에 의하여 건물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된다.
이때, 밧데리의 동력을 인가하면 동력 전달장치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 받으면서 전륜(15)과 후륜(17)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전륜과 후륜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1)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본체(1)가 예컨대, 전진하게 되면 앞 청소수단의 앞 걸레부재(19)는 본체(1)의 전진하게 되는 바닥면을 밀착하면서 닦아주게 되고, 뒤 청소수단의 뒤 걸레부재(65)는 본체(1)가 지나간 바닥면을 재차 밀착하면서 닦아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가 핸들(9)을 조향하여 본체(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본체(1)의 회전에 따라 앞 설치부재(33)는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됨과 앞 걸레부재(19)도 볼트(39)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게 된다.
상기 뒤 청소수단의 뒤 걸레부재(65)는 볼트(77)를 중심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뒤 설치수단의 뒤 결합부재(81)와 힌지부재(83)는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가 회전한 후 직진하게 되면 앞 청소수단의 앞 걸레부재(19)는 앞 설치수단의 탄성부재(47)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뒤 청소수단의 뒤 걸레부재(65)는 뒤 설치수단의 탄성부재(89)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앞 청소수단의 앞 걸레부재(19)와 뒤 청소수단의 뒤 걸레부재(65)를 이용하여 건물의 바닥면 청소가 완료되면, 밧데리의 동력을 오프시켜 준 후 운전자의 발을 이용하여 이동수단의 발판(51)을 소정의 힘으로 밟아 준다.
상기 이동수단의 발판(51)은 이동레버(49)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고, 상기 이동레버(49)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레버(49)의 끝단부가 고정축(53)을 상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준다.
그러면 록킹수단의 고정축(59)이 걸림턱(61)에 걸리게 됨과 아울러 앞 설치부재(33)가 자중과 탄성부재(63)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록킹수단에 의하여 앞 설치부재(33)가 록킹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앞 청소수단과 뒤 청소수단에 의하여 건물들의 바닥면을 짧은 시간내에 용이하면서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청소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본체의 앞쪽으로 배치된 앞 새시와; 상기 본체의 앞쪽 및 뒤쪽 하단에 동력 전달장치에 의하여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각각 회전되는 전륜 및 후륜과; 상기 본체의 전방에 전, 후륜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가 주행함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바닥면을 닦아주기 위한 앞 걸레부재와, 상기 앞 걸레부재에 끼워서 이를 고정하기 위한 앞 고정부재와, 상기 앞 고정부재의 상면 양쪽으로 각각 형성된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앞 청소수단과; 앞 새시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앞 설치부재와, 상기 앞 설치부재의 전방에 형성된 힌지판과, 상기 힌지관에 삽입되는 힌지축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전단면에 형성되고 앞 청소수단의 고정편과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앞 청소수단을 앞새시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앞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바닥청소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앞 설치부재에 형성된 프레임에 탄지되어 앞 청소수단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청소차.
  3. 제1항에 있어서, 앞 새시의 소정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이동레버와; 상기 이동레버를 눌러주기 위한 발판과; 앞 설치부재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기 위한 고정축으로 이루어지고 앞 청소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때 앞 청소수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켜주기 위한 이동수단이 더욱 포함되는 바닥청소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앞 새시에 힌지 결합되는 록킹레버와; 상기 록킹레버를 눌러주기 위한 발판과; 상기 록킹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앞 설치부재에 고정된 고정축을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턱과; 상기 앞 새시에 록킹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기 위하여 탄지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수단에 의하여 앞 청소수단을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앞 설치부재를 록킹시켜주기 위한 록킹수단이 더욱 포함되는 바닥청소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전, 후륜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가 주행함에 따라 건물의 바닥면을 닦아주기 위한 뒤 걸레부재와, 상기 뒤 걸레부재에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뒤 고정부재와, 상기 뒤 고정부재의 상면 양쪽으로 각각 형성된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뒤 청소수단과; 상기 뒤 청소수단의 고정편과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뒤 결합부재와; 상기 뒤 결합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가 삽입됨과 아울러 뒤커버와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뒤 고정부재와; 상기 뒤 고정부재와 힌지부재를 록킹시켜 주기 위한 록킹핀으로 이루어져 뒤 청소수단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뒤 설치수단이 더욱 포함되는 바닥청소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와 뒤 결합부재에 각각 탄지되어 뒤 결합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기 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청소차.
KR2019970007690U 1997-04-14 1997-04-14 바닥 청소차 KR200151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90U KR200151021Y1 (ko) 1997-04-14 1997-04-14 바닥 청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90U KR200151021Y1 (ko) 1997-04-14 1997-04-14 바닥 청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15U KR19980063215U (ko) 1998-11-16
KR200151021Y1 true KR200151021Y1 (ko) 1999-07-15

Family

ID=1949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690U KR200151021Y1 (ko) 1997-04-14 1997-04-14 바닥 청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0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19Y1 (ko) 2008-03-12 2010-06-17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전방 걸레판을 원터치로 승하강 토록 하는 청소차
KR200450864Y1 (ko) 2008-03-12 2010-11-05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절첩수단을 갖는 청소차의 후방걸레판
KR200452576Y1 (ko) * 2008-03-12 2011-03-08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소형청소차의 전방 걸레판 장착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682B1 (ko) * 2013-08-05 2015-07-01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걸레를 장착할 수 있는 청소용 이동차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19Y1 (ko) 2008-03-12 2010-06-17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전방 걸레판을 원터치로 승하강 토록 하는 청소차
KR200450864Y1 (ko) 2008-03-12 2010-11-05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절첩수단을 갖는 청소차의 후방걸레판
KR200452576Y1 (ko) * 2008-03-12 2011-03-08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소형청소차의 전방 걸레판 장착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15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138A (en) Squegee mounting for floor scrubber
US3231293A (en) Wheel chair attachments
KR970074603A (ko) 대형청소차와 이것에 장착되는 회전브러시간폭변경기구와 회전브러시들어올림푸트 레버 및 대형쓰레기제거장치 및 살수장치와 음성발생장치
CN1232239C (zh) 步行辅助车
KR200151021Y1 (ko) 바닥 청소차
US4854005A (en) Automatic floor scrubbing machine with squeegee assembly and adjustable wheels
CN214387356U (zh) 清洁机器人及其尘拖总成
EP1197606A1 (fr) Dispositif d'aspiration de l'eau de rinçage résiduelle sur une surface dallée pavée ou bétonnée
JPH055058U (ja) 床面清掃車
CA2196851C (en) Apparatus for cleaning a ground
JPH08165610A (ja) 転圧ローラの付着物除去装置
CN211773209U (zh) 一种可调节清扫面积的清扫保洁车辆用清扫结构
FR2918085A1 (fr) Rampe de lavage a extentions pivotante pour le nettoyage de voirie.
KR102099219B1 (ko) 세그웨이 기반의 탑승형 청소기
JP3709618B2 (ja) 清掃車
JP3039479U (ja) モップにおける柄取付装置
CN219048261U (zh) 吸水扒配件、吸水扒及吸水吸扒一体机和清洁设备
CN219731824U (zh) 一种公路交通用铲雪装置
JPH042177Y2 (ko)
JPH10211146A (ja) 作業台車
JP3086273U (ja) 雪上滑走具
CN216006789U (zh) 一种适用于公路标线的清洗设备
CN210822044U (zh) 一种带有防滑效果的前后门脚踏板
JPH04237710A (ja) 移動路面清掃機
JPH07158012A (ja) 舗装車両における回転式スクレー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