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016Y1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016Y1
KR200151016Y1 KR2019930021810U KR930021810U KR200151016Y1 KR 200151016 Y1 KR200151016 Y1 KR 200151016Y1 KR 2019930021810 U KR2019930021810 U KR 2019930021810U KR 930021810 U KR930021810 U KR 930021810U KR 200151016 Y1 KR200151016 Y1 KR 200151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sembly
shadow mask
mask frame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565U (ko
Inventor
홍철수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30021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016Y1/ko
Publication of KR950012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5Spacing members
    • H01J2329/863Spac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structur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훅 스프링과 패널의 내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훅 스프링과 결합되는 스터드 핀을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훅 스프링의 단부에 그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도고 이 관통공의 내주에는 상기 스터드 필과의 결합시 스터드 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패널의 결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입단면도.
제2도는 패널과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가 종래 훅 스프링과 스터드 핀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다른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훅 스프링과 스터드 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패널 21 : 스터드 핀
30 :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31 : 스터드 핀
32 : 탄성부재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설치되어 패널 내측면의 스터드 핀과 결합되는 훅 스프링이 개량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고속 전자선을 형광막에 랜딩시켜 이 형광막을 여기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음극선관은 제1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그 내면에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2)가 설치된 패널(11)과, 이 패널(11)과 봉착되는 것으로 그 네크부(14a)의 내외부에 전자총(15)과 편향요오크(16)가 설치된 펀넬(1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2)의 패널(11)에 대한 설치는 제2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2)의 프레임(12a) 외주면에 훅 스프링(18)이 고정설치되고 이 단부에는 관통공(18a)이 형성되어 상기 패널(11)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된 스터드 핀(11a)과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패널(11)과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2)의 결합은 음극선관의 제조과정 중에 패널(11)과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2)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여야 하여야 하는데, 싱기 훅 스프링(18)의 단부에는 관통공(18a)이 형성되어 스터드 핀(11a)과 결합 및 분리되게 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결합 및 분리 작업시 상기 훅 스프링(18)을 내측으로 변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훅 스프링(13)의 타성 변형시 프레임과 섀도우마스크에 외력이 가하여지게 되어 변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터드 핀과 훅 스프링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여 이에 따른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훅 스프링과 스터드 핀의 결합시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훅 스프링과, 패널의 내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훅 스프링과 결합되는 스터드 핀을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훅 스프링의 단부에 그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스터드 핀과의 결합시 스터드 핀을 탄성지지하는 턴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칼라 음극선관은 제1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패널(20)과 이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패널(20)에 대한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의 결합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의 측면에 고정설치된 복수개의 훅 스프링(31)과 패널(20)의 내주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터드 핀(21)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터드 핀(21)과 결합되는 훅 스프링(31)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제4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의 프레임(30a)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본체(31a)의 단부에 하방에 개구(31c)가 형성된 관통공(31b)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1b)의 내부에는 스터드 핀(21)과 결합시 이 스터드 핀(21)을 탄압하는 탄성부재(3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32)는 그 주면에 상기 관통공(31b)의 내주면이 이 삽입지지되는 지지부(32a)가 마련된 오메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1b)의 내주면이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32a)는 그 깊이가 상기 스터드 핀의 삽입시 탄성변형되는 변형량보다 크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훅 스프링의 본체(31)는 상기 프레임을 외주면을 렌싱가공하여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내부에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가 결합 및 분리되는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를 패널(20)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각 훅 스프링(31)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31b)의 개구(31c)가 상기 패널의 내부에 설치된 스터드 핀(21)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에 수직하방으로 외력을 가한다. 상기와 같이 하면 상기 훅 스프링(31)이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터드 핀(21)은 상기 개구(31c)를 통하여 관통공(31b)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32)에 삽입되게 됨으로써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가 패널(20)의 내면에 설치된다. 이때에 상기 관통공(31b)에 지지된 탄성부재(32)는 그 주면에 관통공(31b)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지지부(3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턴성부재(32)에 스터드 핀(32)이 삽입된다하여도 스터드 핀(21)의 지지력이 약화되지않으며 또한 탄성부재(32)가 오메가 형상으로 형상되어 있으므로 외력이 가하여 지지않는 상태에서 스터드 핀(21)이 관통공(31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30)와 패널(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수직 상방으로 외력을 가하게되면 상기 관통공(31b)의 탄성부재(32)에 지지된 스터드 핀(21)이 그 개구를 통하여 분리되게 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칼라 음극선관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패널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여 이에 따른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종래와 같이 훅 스프링을 탄성변형 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음극선관의 제작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와, 이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훅 스프링과, 패널의 내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훅 스프링과 결합되는 스터드 핀을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훅 스프링의 단부에 그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스터드 핀과의 결합시 스터드 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그 주변에 훅 스프링의 관통공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오메가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2019930021810U 1993-10-22 1993-10-22 칼라 음극선관 KR200151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810U KR200151016Y1 (ko) 1993-10-22 1993-10-22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810U KR200151016Y1 (ko) 1993-10-22 1993-10-22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565U KR950012565U (ko) 1995-05-17
KR200151016Y1 true KR200151016Y1 (ko) 1999-07-15

Family

ID=1936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810U KR200151016Y1 (ko) 1993-10-22 1993-10-22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0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565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843B1 (ko) 컬러 수상관
KR200151016Y1 (ko) 칼라 음극선관
JPH0660822A (ja) 陰極線管
JPH0749723Y2 (ja) シャドーマスクフレーム用弾性支持部材
KR200151015Y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36189B1 (ko) 섀도우 마스크 지지 구조체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100286942B1 (ko) 평면형 음극선관
KR200147267Y1 (ko) 새도우 마스크 프레임용 탄성 지지부재
KR200268550Y1 (ko)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진동흡수와이어 장착구조
JPH07220645A (ja) カラー受像管
KR200160607Y1 (ko) 칼라수상관의 스프링 구조
KR100350622B1 (ko) 컬러 음극선관
KR94000654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0140111Y1 (ko)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용 클립
JPH0896724A (ja) カラー受像管
JPS6255849A (ja) カラ−受像管
US20010043036A1 (en) Frame assembly of shadow mask in flat braun tube
KR0136756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KR200147756Y1 (ko) 음극선관
KR100625963B1 (ko) 텐션형 섀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채용한 음극선관
KR200159886Y1 (ko) 컬러 음극선관
JP2000277026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145741Y1 (ko) 회전 방지용 홀더 프레임 조립구조
KR100427619B1 (ko) 칼라수상관의 새도우마스크 진동흡수 내지 방지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