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901Y1 -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901Y1
KR200150901Y1 KR2019960044950U KR19960044950U KR200150901Y1 KR 200150901 Y1 KR200150901 Y1 KR 200150901Y1 KR 2019960044950 U KR2019960044950 U KR 2019960044950U KR 19960044950 U KR19960044950 U KR 19960044950U KR 200150901 Y1 KR200150901 Y1 KR 200150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portable
player
output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786U (ko
Inventor
강재봉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4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901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9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PORTABE)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의 전용 출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에 공통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개의 공통 출력기인 앰프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거치형 뮤직 시스템으로 청취가 가능한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휴대용 CD 플레이어(2) 및 카세트(3)에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게 한 잭(21,23)이 연결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한 잭(21,23)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전용의 출력기(1)를 구비하되, 이 출력기(1)는 소정형상의 몸체 상측에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스위치(10)와, 상기 잭(21,23)이 접속됨과 함께 전환스위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잭단자(1a ,ab)와, 상기 전환스위치(10)의 전환에 따른 휴대용 CD 플레이어(2) 및 카세트(3) 출력을 각 스피커가 담당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네트워크(11)와, 상기 네트워크(11)로 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가변저항기를 통해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12)과, 상기 네트워크(11)의 출력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20,30)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본 고안은 휴대용(PORTABE)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의 전용 출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에 공통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개의 공통 출력기인 앰프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거치형 뮤직 시스템으로 청취가 가능한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현대인의 다양한 욕구추세에 부응하여 각종의 고기능이 채용된 전자제품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과 관련된 오디오에도 예외일 수 없는 바, 즉 오토 리버스기능,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자도 다기능 및 고기능 부가를 위한 연구 노력중, 종래의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가 주로 전용의 리시버(RECEIVER)만 이용하여 청취하던 단점을 파악하게 되었다.
물론, 전용의 리시버외에 스피커와 잭(JACK)으로써 CD 플레이어 또는 카세트로 연결할 경우 외부에서도 청취가 가능함은 주지한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 각각의 전용 스피커 및 잭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용(PORTABE)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에 공통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개의 공통 출력기인 앰프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거치형 뮤직 시스템으로 청취가 가능케 함으로써, 출력기 하나로 두가지 기능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출력기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출력기,10 - 전환스위치,
11 - 네트워크,12 - 볼륨,
20,30 - 스피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에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게 한 잭이 연결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한 잭과 연결되되어 선택적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전용의 출력기를 구비하되, 이 출력기는 소정형상의 몸체 상측에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스위치와, 상기 잭이 접속됨과 함께 전환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잭단자와, 상기 전환스위치의 전환에 따른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 출력을 각 스피커가 담당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가변저항기를 통해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과, 상기 네트워크의 출력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출력기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CD 디스크의 정보 및 음향신호를 읽고 전용의 리시버로만 출력하는 휴대용 CD 플레이어(2) 및 카세트 테이프의 음향신호를 읽고 전용의 리시버로만 출력하는 카세트(3)에 음향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잭(21,23)을 연결시킨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한 잭(21,23)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용 CD 플레이어(2) 출력 혹은 카세트(3) 출력으로 선택적인 음향 출력이 이루어지는 전용의 출력기(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출력기(1)는 소정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 상측으로 전환스위치(10), 상기한 잭(22,23)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잭단자(1a,1b),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12), 그리고 외부로 음향을 발산하는 스피커(20,30)로 구성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몸체(A) 상측에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스위치(10)와, 상기 잭(21,23)이 접속됨과 함께 전환스위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잭단자(1a,ab)와, 상기 전환스위치(10)의 전환에 따른 휴대용 CD 플레이어(2) 및 카세트(3) 출력을 각 스피커가 담당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네트워크(11)와, 상기 네트워크(11)로 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가변저항기를 통해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12)과, 상기 네트워크(11)의 출력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20,30)가 내부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CD 플레이어(2) 및 카세트(3)는 일반적인 사용 즉, 리시버로써 음향신호를 청취함은 당연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용의 출력기(1)에 구비된 잭단자(1a,1b)에 잭(21,23)을 삽입하고 전환스위치(10)를 원하는 상태로 전환하면 음향신호를 외부에서 청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휴대용 CD 플레이가 A로, 카세트가 B로 설정될 경우 사용자가 A로 전환스위치(10)를 전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단자(1a)가 전기적으로 네트워크(11)와 연결되고, 잭단자(1b)는 차단되며, 반대로 B로 전환스위치(10)를 전환하면 잭단자(1b)가 전기적으로 네트워크(11)와 연결되고, 잭단자(1a)는 차단된다.
이와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휴대용 CD 플레이어(2) 및 카세트(3)에서 발생된 음향신호가 잭단자(1a)(1b)를 통해 네트워크(11)로 유입되면 네트워크(11)는 코일과 콘덴서 특성 즉, 코일은 저음을 통과시키고, 고음을 커트하며 콘덴서는 역으로 고음을 통과시키고 저음을 차단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음향신호를 각 스피커(20,30) 유니트가 담당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며, 각 스피커(20,30)로 보내어 외부로 음향신호를 출력케 한다. 물론, 여기서 네트워크(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변저항기(12)를 이용한 볼륨(12)조정으로 음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별개의 공통 출력기인 앰프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거치형 뮤직 시스템이 가능함으로써, 출력기 하나로 두가지 즉,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 기능을 모두 충족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가 일층 향상된 특징을 지닌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

  1. 휴대용 CD 플레이어(2) 및 카세트(3)에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게 한 잭(21,23)이 연결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한 잭(21,23)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전용의 출력기(1)를 구비하되, 이 출력기(1)는 소정형상의 몸체 상측에 휴대용 CD 플레이어 및 카세트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스위치(10)와, 상기 잭(21,23)이 접속됨과 함께 전환스위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잭단자(1a,ab)와, 상기 전환스위치(10)의 전환에 따른 휴대용 CD 플레이어(2) 및 카세트(3) 출력을 각 스피커가 담당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네트워크(11)와, 상기 네트워크(11)로 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가변저항기를 통해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12)과, 상기 네트워크(11)의 출력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20,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KR2019960044950U 1996-11-30 1996-11-30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KR200150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50U KR200150901Y1 (ko) 1996-11-30 1996-11-30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50U KR200150901Y1 (ko) 1996-11-30 1996-11-30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86U KR19980031786U (ko) 1998-08-17
KR200150901Y1 true KR200150901Y1 (ko) 1999-07-15

Family

ID=1947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950U KR200150901Y1 (ko) 1996-11-30 1996-11-30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9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71B1 (ko) * 2001-10-29 2004-07-30 우민환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41A (ko) * 2001-06-05 2002-12-12 우민환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671B1 (ko) * 2001-10-29 2004-07-30 우민환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86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9571A (en) Headphone
US6985592B1 (en) Multipurpose earphone set
US20020042287A1 (en) Cellular phone
KR200150901Y1 (ko) 휴대용 cd 및 카세트 전용 출력기
JPH09331209A (ja) Fm受信回路を有するオーディオ機器およびヘッドホン
US4395739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selective attenuation of reproduced signals to facilitate comprehension of external speech signals
JPH07298384A (ja) ヘッドホン
KR100366231B1 (ko) 다기능 마이크 겸용 이어폰
KR100360615B1 (ko)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
KR850001782Y1 (ko) 카셋트와 라듸오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스위치 절환회로
JPH0937381A (ja) 出力レベル切り換え回路
JP2502086Y2 (ja) 音響再生装置
KR200220637Y1 (ko) 핸즈프리 이어폰 셋 장치
JPH0516746Y2 (ko)
KR20020064118A (ko) 동시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KR200244659Y1 (ko) 사운드 카드 출력음 확장장치
KR200186229Y1 (ko) 자동 전환 특징을 구비한 이동 전화용 핸즈 프리 장치
KR0133730Y1 (ko) 오디오 신호 절환장치
JPS6312596Y2 (ko)
JPS634250Y2 (ko)
JPH0735518Y2 (ja) サラウンド回路
JP2601211B2 (ja) スピーカ接続用コード付プラグ装置
JPH08126097A (ja) 音量調整装置
JPH07307995A (ja) 信号用接続コード
JPS5923280Y2 (ja) ラジオ付テ−プレ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