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724Y1 - 식용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식용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724Y1
KR200150724Y1 KR2019960025161U KR19960025161U KR200150724Y1 KR 200150724 Y1 KR200150724 Y1 KR 200150724Y1 KR 2019960025161 U KR2019960025161 U KR 2019960025161U KR 19960025161 U KR19960025161 U KR 19960025161U KR 200150724 Y1 KR200150724 Y1 KR 200150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ood
bread
present
storage chamber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1641U (ko
Inventor
송봉열
Original Assignee
송봉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봉열 filed Critical 송봉열
Priority to KR2019960025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724Y1/ko
Publication of KR19980011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6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2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or to be filled after baking, e.g. sandwiches
    • A21D13/33Edible containers, e.g. cups or c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식용가능한 빵으로 구성하여 별개의 용기없이 먹어 소모할 수 있도록 한 식용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부에 보관실(2)이 형성된 몸체(1)를 빵으로 구성하며 몸체(1)의 외면에 경질의 표피(3)를 형성하고 보관실(2) 측방에 두께가 두꺼운 측부(5a)와 보관실(2) 저면에 두께가 얇은 저부(5b)를 형성한 것으로서, 보관실(2)내에 액상식품을 담고 몸체(1)의 외측으로부터 뜯어먹으면, 액상식품과 함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용이 가능한 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2a, 2b : 보관실
3, 3a : 표피 5a : 측부
5b : 저부
본 고안은 중앙부에 보관실이 형성된 몸체를 빵으로 구성하여서, 상기 보관실에 각종 스프나 죽 등의 액상식품을 넣고 몸체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한 식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백한 맛의 빵과 함께 액상으로된 스프나 죽 등의 식품이 간단한 식사대용으로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식품은 제과점이나 간이음식점등에서 판매할때에 빵과는 별개의 용기에 스프나 죽 등을 담아서 소비자에게 제공하였다.
이러한 용기는 사용후에 제사용하기 위하여 세척하여야 하기 때문에, 물이 공급되는 주방이 구비되어야 하며, 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인력과 시간의 소모가 많았다.
근래에는 일회용 용기를 이용하여서 사용후에 폐기하는 방법이 통용되고 있으나 이는 쓰레기 발생량이 증대되어 환경공해의 원인이 될뿐 아니라 용기를 폐기함에 따른 비경제적인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식사대용으로 이용되고 빵이나 스프, 죽 등의 식품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먹을 수 있어야 그 효과가 있으나 별개의용기에 액상식품을 넣는 방법은 전체적으로 외형이 커지고 식사할때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좁은 장소, 특히 자동차 같은 곳에서 간편하게 식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스프나 죽 등의 액상식품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식용이 가능한 방으로 제조하여 별개의 용기없이 빵과 액상식품을 함께 먹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은 중앙부에 보관실이 형성된 몸체를 빵으로 구성하며, 몸체의 외면에 경질의 표피를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으로된 몸체(1)를 빵으로 구성하며, 상기 몸체(1)의 중앙부에 보관실(2)을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몸체(1)의 외면을 경질의 표피(3)로 구성하고 표피(3)의 내부측에 연질의 빵으로 구성한다.
빵으로 된 몸체(1)를 제조할때에, 몸체(1)의 외면에 고온의 열기를 가하므로서, 내부는 부드럽고 외면은 단단한 재질인 표피(4)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관실(2)의 상부에 개구부(4)를 형성하며 보관실(2) 측방향의 몸체(1)를 두께가 두꺼운 측부(5a)로 형성하고 보관실(2) 측방향의 몸체(1)를 두께가 두꺼운 측부(5a)로 형성하고 보관실(2) 하부방향의 몸체(1)를 두께가 얇은 저부(5b)로 형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6)은 스프나 죽 등과 같은 액상식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4)를 통하여 보관실(2)내에 스프, 죽 등과 같은 액상식품(6)을 적당량 담아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보관실(2)에 담겨진 액상식품(6)은 그 일부가 흡수력이 큰 몸체(1)내로 흡수되나, 몸체(1)의 표피(3)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소비자는 보관실(2)내의 액상식품을 먹으면서 몸체(1)의 측부(5a)부터 일정량씩 손으로 뜯어먹으며, 계속하여 몸체(1) 측부(5a)를 뜯어낸다 하여도 액상식품(6)이 몸체(1)에 흡수되므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액상식품(6)을 모두 먹은후에는 잔류된 몸체(1), 즉 일부 남은 측부(5a)와 저부(5b)를 포함하여 표피(3)을 먹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제과점이나 간이식당 등에서 소비자의 주문이 있을때에 몸체(1)의 보관실(2)에 액상식품을 담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단시간에 모두 소모되므로 액상식품(6)이 몸체(1)에 흡수되어도 경질의 표피(3)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액상식품의 흡수에 의하여 몸체(1)의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없다.
특히, 몸체(1)에 적당량의 액상식품(6)이 흡수되므로 몸체(1)인 빵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여 먹기에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1)의 측부(5a)가 두껍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측부(5a)를 일정량씩 뜯어낸다 하여도 보관실(2)이 파손되는일 없이 액상식품(6)이 안전한 상태로 담겨지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실(2a)내면을 경한 재질의 표피(3a)로 형성하면 액상식품이 몸체(1)내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어 몸체(1)인 빵의 고유한 질감이나 맛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와는 별개의 재질인 합성수지재로서 보관실(2b)을 구성하여, 상기 보관실(2b)을 몸체(1)의 중앙부에 매입하고 보관실(2b)의 개구부(4a)를 포장시(M)로 밀봉시키면 보관실(2b)에 담겨진 액상식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빵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과 실시예들은 액상식품이 담겨진 용기를 빵으로 제조하므로서 액상식품과 함께 빵을 먹을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식사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별개의 용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면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중앙부에 보관실(2)이 형성된 몸체(1)를 빵으로 구성하며, 몸체(1)의 외면에 경질의 표피(3)를 형성하고, 보관실(2) 측방에 두께 두꺼운 측부(5b)와 보관실(2) 저면에 두께가 얇은 저부(5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이 가능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보관실(2a)의 내면에 경질의 표피(3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이 가능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재의 보관실(2b)을 몸체(1)에 매입하고 보관실(2b)에 액상식품을 넣고 개구부(4a)를 밀봉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이 가능한 용기.
KR2019960025161U 1996-08-21 1996-08-21 식용이 가능한 용기 KR200150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161U KR200150724Y1 (ko) 1996-08-21 1996-08-21 식용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161U KR200150724Y1 (ko) 1996-08-21 1996-08-21 식용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641U KR19980011641U (ko) 1998-05-25
KR200150724Y1 true KR200150724Y1 (ko) 1999-07-01

Family

ID=1946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161U KR200150724Y1 (ko) 1996-08-21 1996-08-21 식용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7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484A (ko) * 2001-07-25 2001-09-28 허균 내부에 내용물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식빵 및 그식빵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641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8435B1 (en) A two-part storage container
CA2138712C (en) Warm food isothermal container, particularly for collective catering
JP2005519003A (ja) 変位可能な底、本体又は蓋部分を備えた食品用の容器
US8778429B2 (en) Method for preparing egg products in a microwave oven
MXPA04000848A (es) Empaque de componentes multiples para alimento para mascotas.
RU2362716C2 (ru) Контейнер
AU2005200235B2 (en) A container for food products
KR200150724Y1 (ko) 식용이 가능한 용기
JP5233060B1 (ja) 即席食品容器
JP2006327658A (ja) 調理済み食品包装体
JP2006151395A (ja) 食品用吸水シートおよび食品用包装容器
US20050236292A1 (en) Cooking state and finishing indicator of instant foods
KR200256210Y1 (ko) 일회용 컵용기
KR19980059488U (ko) 일회용 음식용기
KR102190969B1 (ko) 식품 포장용기
GB2301810A (en) A container for infants food
KR940011182B1 (ko) 일회용 식품용기
JPH0133505Y2 (ko)
KR200172180Y1 (ko) 인스턴트식품 용기
KR200155690Y1 (ko) 자판기용 팝콘팩
JPH0615882Y2 (ja) 流動性食材包装用容器
KR200351653Y1 (ko) 전자렌지용 냉동식품 편의용기
KR200289689Y1 (ko) 일회용 용기
KR200208405Y1 (ko) 황토가 내장된 음식물 포장 용기
US1986887A (en) Receptacle for liqui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