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520Y1 -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 Google Patents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520Y1
KR200150520Y1 KR2019970006210U KR19970006210U KR200150520Y1 KR 200150520 Y1 KR200150520 Y1 KR 200150520Y1 KR 2019970006210 U KR2019970006210 U KR 2019970006210U KR 19970006210 U KR19970006210 U KR 19970006210U KR 200150520 Y1 KR200150520 Y1 KR 200150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late
side door
heavy equipment
attachment groov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921U (ko
Inventor
정규천
Original Assignee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헬샴
Priority to KR2019970006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5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신소재와 금속재료를 혼용하여 측문을 제조함으로써 공정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간단히 제조될 수 있는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 특징은 밀폐용 흡음재가 부착 설치되는 통상의 중장비 측문에 있어서, 측문의 안쪽 가장자리 부에 소정의 폭의 밀폐판 부착홈이 측문과 일체로 성형되고, 밀폐판 부착홈에 일치되는 규격의 두께로 성형된 밀폐판을 밀폐판 부착홈에 끼워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데에 있다. 그 효과는 측문의 부착을 위한 밀폐판의 부착이 쉽고 간단하며, 브릭 또는 기타 일체로 형성되어야 할 부품의 일체성형이 곤란할 때에 적용될 수 있고, 신소재를 적용한 부품들 또는 제품들의 높은 성형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밀폐판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편리하다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본 고안은 밀폐판(密閉板)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側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중장비의 대부분이 금속제품이었으므로 금속재료를 벤딩하여 용접함으로써 사용할 수는 있었으나, 공정수(工程數)가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와서는 공정수를 줄이려고 금속재료 대신에 쓸 수 있는 많은 신소재(新素材)를 개발하였다. 그런데, 개발된 신소재들이 외관과 내부식성 등은 좋았지만 성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중장비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더우기, 근래에 들어 저소음화를 위한 흡음재의 부착이 점차 중요시되어 가고 있으며, 측문은 항시 개폐 가능한 부분이므로 완벽한 부착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금속재료와 신소재를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도 1은 통상적인 중장비의 프레임 상부 구성도이고, 도 2는 통상적인 중장비의 측문의 장착부로서,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A-A'의 단면을 보면,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은데, 이는 중장비의 측문(2)의 장착부이다. 도 2에서 B방향으로 보면, 상부 프레임(1) 위에 덮개 프레임(3)이 있다. 종래의 금속제 문에서는 부착을 위한 밀폐판을 도 2의 부착부분(4)과 갈이 용접하여 사용하거나, 신소재를 사용한 문에서는 밀폐판을 볼팅하여 사용해 왔으나 다른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정수도 다시 많아졌다. 예를 들어, 깊은 성형깊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신소재의 성형이 불가능하여, 깊은 성형깊이가 요구되는 부분은 신소재 대신에 금속 플레이트를 제작하여 이를 신소재로 제작된 부분과 함께 나사로 조이는 등의 방법으로 밀폐판을 부착하였다. 그래서, 신소재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속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신소재와 금속재료를 혼용하여 측문을 제조함으로써 또 다시 공정수(工程數)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를 신소재로 사용하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문을 제작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수가 줄어 들 수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간단히 제조될 수 있는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중장비의 프레임 상부 구성도,
도 2는 통상적인 중장비의 측문의 장착부로서,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측문에 밀폐판이 부착된 상세도,
도 4는 도 3의 C-C'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D-D'선의 단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상부 프레임
2 : 측문
3 : 덮개 프레임
4 : 부착부분
5 : 측문에서 밀폐판의 부착홈을 이루는 결합리브
6 : 밀폐판
7 : 나사를 조인 부분
8 : 밀폐판의 부착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밀폐용 흡음재가 부착 설치되는 통상의 중장비 측문에 있어서, 상기 측문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소정의 폭의 밀폐판 부착홈이 상기 측문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밀폐판 부착홈에 일치되는 규격의 두께로 성형된 밀폐판을 상기 밀폐판 부착홈에 끼워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측문에 밀폐판이 부착된 상세도이다. 도 2의 B부분을 보면 도 3과 같다. 또한, 도 4는 도 3의 C-C'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의 C-C'의 단면을 보면 도 4와 같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D-D'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의 D-D'의 단면의 단면을 보면 도 5와 같다.
본 고안에서는 신소재로 측문(2)을 성형할 때에 도 4의 빗금친 부분과 같은 밀폐판(6)을 같은 금형에서 동시에 성형하여 도 5에서 보이는 밀폐판 부착홈(8)에 끼워 넣는다. 밀폐판 부착홈(8)은 측문(2)의 안쪽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돌출된 결합리브(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동시에 성형한다는 것은 일체형은 아니고 한 개의 금형에서 성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서, 밀폐판(6)의 성형이 측문(2)과 동시에 성형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밀폐판(6)을 밀폐판 부착홈(8)에 끼워 넣기만 해도 되고, 끼운 후에는 나사(7)나 접착제 등과 같은 고정부제 등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하고 편리하다는 본 고안은 측문의 부착을 위한 밀폐판의 부착이 쉽고 간단하며, 브릭 또는 기타 일체로 형성되어야 할 부품의 일체성형이 곤란할 때에 적용될 수 있고, 신소재를 적용한 부품들 또는 제품들의 높은 성형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밀폐판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편리하다는 데에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밀폐용 흡음재가 부착 설치되는 통상의 중장비 측문에 있어서,
    상기 측문의 안쪽 가장자리 부에 소정의 폭의 밀폐판 부착홈이 상기 측문과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밀폐판 부착홈에 일치되는 규격의 두께로 성형된 밀폐판을 상기 밀폐판 부착홈에 끼워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KR2019970006210U 1997-03-28 1997-03-28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KR200150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210U KR200150520Y1 (ko) 1997-03-28 1997-03-28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210U KR200150520Y1 (ko) 1997-03-28 1997-03-28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921U KR19980061921U (ko) 1998-11-16
KR200150520Y1 true KR200150520Y1 (ko) 1999-07-01

Family

ID=1949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210U KR200150520Y1 (ko) 1997-03-28 1997-03-28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5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921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358Y1 (ko) 투명창이 구비된 용기
DE102005053014B4 (de) Drucksensorgehäus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697966B2 (ja) 電子制御機器のケース
KR200150520Y1 (ko) 밀폐판이 결합된 중장비용 측문
CA2128739A1 (en) Gasket Rib Lock for Door Handle Assembly
AU723867B2 (en) Locking fastener for enclosure cover
JPH0613798B2 (ja) 自動車扉のロック用ストライカ
JPH0429779Y2 (ko)
GB2326435A (en) Sealing corner for glass run channel
KR200167140Y1 (ko) 워터 펌프
KR860002213Y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JP2547873Y2 (ja) ランプ用レンズ及びハウジングの固定構造
JPS60620Y2 (ja)
JPH08127241A (ja) 自動車のドアウエストモール端末の取付構造
KR0118737Y1 (ko) 차량의 프론트도어의 스텝 취부구조
KR200235589Y1 (ko) 냉장고도어구조
JP3244839B2 (ja) マンホール蓋用パッキン
JPH06156071A (ja) 合成樹脂製ウインドウ
RU41449U1 (ru) Обтекатель порога автомобиля
JPH0222885Y2 (ko)
JPS6336636Y2 (ko)
JPH0142732Y2 (ko)
KR100483788B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라인 몰딩 장착구조
JPH03157235A (ja)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JPH02227323A (ja) ドアグラスラ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