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053Y1 -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053Y1
KR200150053Y1 KR2019960033524U KR19960033524U KR200150053Y1 KR 200150053 Y1 KR200150053 Y1 KR 200150053Y1 KR 2019960033524 U KR2019960033524 U KR 2019960033524U KR 19960033524 U KR19960033524 U KR 19960033524U KR 200150053 Y1 KR200150053 Y1 KR 200150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assembling
parts
support plate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307U (ko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박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현 filed Critical 박성현
Priority to KR2019960033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05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Handcar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통과 소음기 및 미숀 등과 같은 자동차 저면의 부품들을 분해 및 조립할 때 부품들을 떨어뜨려 부품을 훼손시키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작업자가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 조립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캐스터가 구비된 다리의 중앙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구함을 구비하고, 그 외측지주에는 조절핀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내측지주를 삽입하며, 상기 내측지주의 상단에는 핸들에 의해 승강되도록 받침판이 구비된 승강나사를 구비하여된 받침장치의 받침판을 자동차 저면의 부품에 받쳐놓고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제2도의 B부 확대 단면도.
제4a도, b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장치 2 : 다리
3 : 캐스터 4 : 외측지주
5 : 공구함 6 : 조절볼트
7 : 내측지주 8 : 홀
9 : 조절핀 10 : 안내볼트
11 : 핸들 12 : 고정볼트
13 : 승강나사 14 : 가이드홈
15 : 받침판 16 : 돌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저면에 설치된 연료통과 소음기 및 미숀 등의 부품을 분해 또는 조립할 때 사용되는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를 작업하기 편리한 높이로 올려놓고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해야 하는 자동차 저면의 구성 부품들을 혼자서도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저면에 구성된 연료통과 소음기 및 미숀 등의 부품은 자동차의 하부로 작업자가 누운 자세로 들어가서 분해 및 조립 작업을 하거나 자동차를 작업에 편리한 높이로 올려놓고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작업의 효율성과 작업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자동차를 작업에 편리한 높이로 올려놓고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자동차의 저면에 구성된 연료통과 소음기 및 미숀 등의 부품을 손으로 잡고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함으로서 분해 및 조립작업시 많은 힘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분해 및 조립작업 도중에 연료통과 소음기 및 미숀 등의 부품을 떨어뜨리면 작업자가 부상을 입거나 부품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제점을 해소하려면 자동차의 저면에 구성된 부품을 분해 및 조립할 때는 두사람 이상이 함께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2중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장치의 상단에는 받침판을 구비하여 받침장치로 자동차 저면의 부품을 받쳐놓은 상태로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받침장치의 중앙부분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구함을 구비함으로서 연료통과 소음기 및 미숀 등과 같은 자동차 저면의 부품들을 분해 및 조립할 때 부품들을 떨어뜨려 부품을 훼손시키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작업자가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스터(3)가 구비된 다리(2)의 중앙에 조절볼트(6)로 공구함(5)을 결합시킨 외측지주(4)를 고정하고, 그 내부에는 다수의 홀(8)이 형성된 내측지주(7)를 삽입하여 조절핀(9)으로 외측지주(4)에 결합하며, 상기 내측지주(7)의 상단에는 고정볼트(12)로 핸들(11)을 결합한 후, 받침판(15)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15)에는 부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6)를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승강나사(13)의 일측에는 내측지주(7)의 상측에 구비된 안내볼트(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4)을 형성하여 받침판(15)이 회전없이 승강되도록 받침장치(1)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를 작업에 편리한 높이로 올려놓고 자동차의저면에 구성된 연료통과 소음기 및 미숀 등과 같은 부품을 분해 및 조립할 때는 먼저 받침장치(1)의 외측지주(4)에 삽입된 내측지주(7)를 적당한 높이로 조절하고 외측지주(4) 상단의 조절핀(9)을 내측지주(7)의 홀(8)에 관통 삽입하여 내외측지주(4)(7)를 결합한다.
이어서, 다리(2)에 구비된 캐스터(3)를 사용하여 받침장치(1)를 분해 및 조립할 부품의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나사(12)를 풀고 핸들(11)을 회전시켜 승강나사(13)를 상승시키면 승강나사(13)의 상단에 구비된 받침판(15)이 분해 및 조립할 부품의 저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승강나사(13)의 일측에는 가이드홈(14)을 형성시켜 내측지주(7) 상측의 안내나사(10)에 승강 안내되도록 함으로서 받침판(15)의 승하강시 핸들(11)의 회전에 영향을 받아서 승강나사(13)와 받침판(15)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판(15)을 분해 및 조립할 부품에 밀착시킨 후 고정볼트(12)로 핸들(11)을 내측지주(7)의 상단에 고정하면 핸들(11)의 자연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받침판(15)의 높이를 조절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받침판(15)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6)에 의해 받침판(15)위의 부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저면의 부품을 받침장치(1)로 받쳐놓은 상태로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함으로서 한 사람의 작업자가 편리하게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받침장치(1)의 외측지주(4)에는 공구함(5)을 구비함으로서 분해 및 조립작업에 필요한 공구를 넣어 놓거나 분해한 볼트 등을 넣어 놓고 사용할 수 있므으로 더욱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구함(5)은 조절볼트(6)를 풀면 그 높낮이를 작업에 편리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외측지주(4)가 중앙에 고정되는 다리(2) 저면에 캐스터(3)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받침장치(1)를 구성하여도 상기에서 언급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돠 같이 본 고안은 캐스터가 구비된 다리의 중앙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구함을 구비하고, 그 외측지구에는 조절핀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내측지주를 삽입하며, 상기 내측지주의 상단에는 핸들에 의해 승강되도록 받침판이 구비된 승강나사를 구비함으로서 연료통과 소음기 및 미숀등과 같은 자동차 저면의 부품들을 분해 및 조립할 때 부품들을 떨어뜨려 부품을 훼손시키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작업자가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캐스터(3)가 구비된 다리(2)의 중앙에 조절볼트(6)로 공구함(5)을 결합시킨 외측지주(4)를 고정하고, 그 내부에는 다수의 홀(8)이 형성된 내측지주(7)를 삽입하여 조절핀(9)으로 외측지주(4)에 결합하며, 상기 내측지주(7)의 상단에는 고정볼트(12)로 핸들(11)을 결합한 후, 받침판(15)이 구비된 승강나사(13)를 핸들(11)에 체결하여 상기 내측지주(7)와 받침판(15)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15)에는 다수의 돌기(16)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나사(13)의 일측에는 내측지주(7)의 상측에 구비된 안내볼트(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4)을 형성하여 받침판(15)이 회전없이 승강되도록 받침장치(1)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 조립용 받침장치.
KR2019960033524U 1996-10-11 1996-10-11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KR200150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24U KR200150053Y1 (ko) 1996-10-11 1996-10-11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24U KR200150053Y1 (ko) 1996-10-11 1996-10-11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307U KR19980020307U (ko) 1998-07-15
KR200150053Y1 true KR200150053Y1 (ko) 1999-07-01

Family

ID=1946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524U KR200150053Y1 (ko) 1996-10-11 1996-10-11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0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45553A1 (en) * 2016-05-30 2017-11-30 Tdk Corporation Multilayer coil c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45553A1 (en) * 2016-05-30 2017-11-30 Tdk Corporation Multilayer coil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307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672A (en) Collapsible jack stand and method therefor
EP0690764B1 (en) Vehicle and vehicle parts transportation system
US7237758B2 (en) Universal stand for vehicle engines and gearboxes
US4659072A (en) Knitting machine head extractor
US7909074B2 (en) Floor engaging device for workbench
KR101198708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조립 작업대
CA2112722A1 (en) Lifting and Shoring Jack Assembly
US3559981A (en) Differential handling tool
GB2324977A (en) Roller support apparatus
US6168138B1 (en) Universal lift system
KR200150053Y1 (ko) 자동차의 저면부품 분해조립용 받침장치
US5234197A (en) Device for lifting and suspending objects
US4583712A (en) Evaporator lift
KR100323803B1 (ko) 이동식작업대
EP1479481B1 (en) Portable work bench
KR200299269Y1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200167392Y1 (ko) 건축용 받침 지지대
KR200236582Y1 (ko) 주상 안전 작업대
JP3849890B2 (ja) 機器取付装置
JPH0650476Y2 (ja) 自動車揚送リフト
KR200233396Y1 (ko) 자동차 엔진수리용 받침장치
KR100277338B1 (ko) 다기능지그의받침부구조
KR19980058261A (ko) 중. 대형 상용차의 변속기 장탈착용 유압 잭
JPH0714100U (ja) 脚立などの補助脚固定装置
JP2504389Y2 (ja) パネルフレ―ム組立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