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472Y1 -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472Y1
KR200149472Y1 KR2019930023625U KR930023625U KR200149472Y1 KR 200149472 Y1 KR200149472 Y1 KR 200149472Y1 KR 2019930023625 U KR2019930023625 U KR 2019930023625U KR 930023625 U KR930023625 U KR 930023625U KR 200149472 Y1 KR200149472 Y1 KR 200149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eel
release
video tape
releas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409U (ko
Inventor
신상만
강오식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안시환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시환,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시환
Priority to KR2019930023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472Y1/ko
Publication of KR950015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472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릴 록킹구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해제레버(21)와 고정레버(22)를 일체로 형성하고, 해제레버(21)의 양하단부에는 탄성다리(23)를 일체로 형성한 레버(20)를 구비하였으며, 카세트의 상,하부케이스에는 미끄럼 마찰부(24)와 슬라이드가이드(25) 및 가이드리브(26)와 레버누름판(31)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20)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한 고안으로, 원가의 절감 및 조립공정에서 시간 단축을 할 수 있게 한 고안임.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제1a도는 종래 릴 록킹구조의 개략도.
b도는 제1도의 요부의 평면 구성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힐 고정장치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b도는 제2a도의 조립후 상,하케이스 개방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 록킹구조의 작동 상태도.
제4도는 제3a, b도의 A-A선 및 B-B선 위치에서 본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케이스 11 : 해제핀 삽입공
12 : 고정레버 13 : 해제레버
14 : 릴 15 : 릴 하부판
16 : 톱니부 20 : 레버
21 : 해제레버 22 : 고정레버
23 : 탄성다리 24 : 미끄럼 마찰부
25 : 슬라이드 가이드 26 : 가이드 리브
27 : 가이드 리브 28 : 미끄럼 마찰부
30 : 상부케이스 31 : 누름판
40 : 해제핀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릴 록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 릴 고정레버와 해제레버를 단일체로 형성시켜서 작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변구조를 개선시킨 테이프릴 록킹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릴 록커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이하 '카세트'라 한다)가 레코더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테이프릴이 임의로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비디오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테이프릴(이하, 릴과 혼용함)의 임의 회전을 제어하는 장치로써,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릴(정확히는 공급릴과 감기릴로 구분되지만 구성이 동일하므로 하나로 설명함) 하부판(15)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16)와 직접 접촉하면서 릴(14)의 회전을 제어하는 한쌍의 릴 고정레버(12)와, 카세트가 레코더에 장착될때 레코더의 데크상에 돌설된 해제핀(40)이 카세트의 하부케이스(10) 저면에 형성된 해제핀 삽입공(11)에 삽탈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하로 일정각도 만큼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레버(12)의 릴 고정 및 해제동작을 제어하는 해제레버(1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릴 고정장치는 릴의 회전을 제어하는 작동을 위해서는 한쌍의 고정레버와 하나의 해제레버가 요구됨에 따라 세개의 부품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였고, 조립공정 또한 복잡해지기 때문에 생산성의 저하 및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어 왔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레버와 해제레버 및 탄성다리를 일체형으로 성형시키고, 해제레버의 해제핀 접촉부는 해제핀의 삽입에 의해 고정장치가 밀려 내려갈 수 있도록 경사진 단면을 형성시키며, 탄성 다리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원호형상의 미끄럼 마찰부를 형성시켜서, 다른 탄성수단(스프링)의 도움이 없이 고정장치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해제핀의 삽탈에 따른 릴의 해제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단일체형의 레버(20)를 도시한 것으로, 해제레버(21)와 고정레버(22)가 W자 형상으로 결합 형성되고, 해제레버(21)의 양 하단부에는 탄성다리(23)가 상기의 레버(21,22)와 단일체로 성형 형성되며, 하부케이스(10)의 측면 중앙에는 해제각을 얻기 위한 원호형상의 미끄럼 마찰부(24)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10)에는 슬라이드 가이드(25) 및 가이드 리브(26)를 형성시키며, 상부케이스(30)에는 직선형의 누름판(31)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a도는 레버(20)를 케이스와 분리시킨 상태도로, 고정레버(22)와 해제레버(21)가 일체로 성형된 레버(20)는 평탄면 구조가 W자형을 이루며, 고정레버(22) 후단의 외접 위치에 탄성다리(23)가 형성되고, 특히 해제레버(21)의 전면은 탄성다리(23)쪽으로 경사진 선박의 선수 형상을 보여주며, 하부케이스(10)의 가이드 리브(26) 내측으로 슬라이드 가이드(25)가 형성되고, 벽면으로 탄성다리(23)의 해제각을 얻기 위한 미끄럼 마찰부(24)를 갖는다.
제2b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상부케이스(30)를 개방시킨 상태도이며, 상부케이스(30)에도 하부케이스(10)의 가이드 리브(26)와 겹치는 위치에 가이드 리브(27)와 미끄럼 마찰부(28)가 형성되며, 양 가이드 리브(26)(27) 사이로 레버누름판(31)이 형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들을 조립한 상태의 작동예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20)는 그 고정레버(22)가 가이드 리브(26) 및 슬라이드 가이드(25) 사이로 돌출되어져 그 선단이 릴의 톱니부(16)를 탄지하게 되며, 탄성다리(23)는 미끄럼 마찰부(24)에 접촉되어서 탄력을 받으며 벌어질 수 있도록 'V'자형 평단면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때 해제레버(21)의 경사진 선수부분은 해제핀 삽입공(11) 상부에 위치되므로 레코더에서 로딩되는 경우에는 하부케이스(10) 해제핀 삽입공(11)으로 해제핀(40)이 상승되게 되면 그 경사면 때문에 해제레버(21)가 뒤로 밀리게 되면서 양탄성다리(23)는 미끄럼 마찰부(24)의 경사면을 따라 벌어지고, 양 탄성다리(23) 사이의 각도가 벌어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양 고정레버(22) 사이의 각은 좁혀지게 되므로 릴 하부판(15)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16)에 끼여 있던 고정레버(22)가 이탈되게 되어 릴(14)은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곧, 록킹 해제상태가 되는 것이다.
레코더에서 카세트를 뺄때는 해제핀(40)이 해제핀 삽입공(11)에서 하강하게 되며, 고정장치의 탄성다리(23)는 축적되어 있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벌어져 있던 양 탄성다리(23) 사이의 각도가 원래의 각도로 복귀하면서 양 탄성다리(23)는 미끄럼 마찰부(24)를 따라 원상회복되면서 이 탄성다리(23)와 일체로 형성된 레버(20)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좁혀져 있던 양 릴 고정레버(22) 사이에 각도가 다시 원래의 각도로 벌어지게 되어 양 릴 고정레버(22)는 릴 하부판(15)의 톱니부(16)에 다시 끼이게 되서 릴(14)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릴 록킹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다른 탄성수단(스프링)의 도움이 없이 고정장치 자체만으로도 릴을 해제 및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조립공정에서도 부품수를 줄이게 되어 작업이 간단하며 생산원가의 절감을 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레버의 형태도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성형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이중의 원가절감 효과를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Claims (1)

  1. 레버(20)가 해제레버(21)와 고정레버(22)로 W자형 단면 형상으로 결합 제작되면서 경사진 해제레버(21)가 형성되고 해제레버(21) 외측으로 탄성다리(23)가 단일체로 성형 형성되며, 상기 레버(20)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스(10)에는 양 가이드 리브(26) 사이에 슬라이드 가이드(25)가 형성되고, 측벽에는 원호형상의 미끄럼 마찰부(24)가 형성되며, 상부케이스(10)에도 가이드 리브(27)와 미끄럼 마찰부(28) 및 레버(20)의 상부측으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판(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릴 록킹구조.
KR2019930023625U 1993-11-11 1993-11-1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KR200149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625U KR200149472Y1 (ko) 1993-11-11 1993-11-1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625U KR200149472Y1 (ko) 1993-11-11 1993-11-1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09U KR950015409U (ko) 1995-06-19
KR200149472Y1 true KR200149472Y1 (ko) 1999-06-15

Family

ID=1936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625U KR200149472Y1 (ko) 1993-11-11 1993-11-1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4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09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8543Y2 (ja) カセツトケ−ス
US20020139908A1 (en) Equipment adjusting leg
JP2000135103A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KR20014947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JPH0548693A (ja) 電池収納装置
KR960007237B1 (ko) 비디오 카세트 더스트 도어 래치
KR200203088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해제레버
KR930006216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101149407B1 (ko) 캠코더
JP2560458Y2 (ja) 机用クリップ
KR200149473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릴 록킹구조
JPS6037782Y2 (ja) 同時ロツク防止機構
KR0130269Y1 (ko) 잠금장치가 부가된 캠코더의 모드전환 노브
KR0136629Y1 (ko) 캠코더의 카세트하우징 록킹장치
KR93000230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JP2530206Y2 (ja) クリップ
US5713230A (en) Gearshift-stick locking assembly with fluorescent shackle-positioning rubber frame
JPS6032292B2 (ja) 操作スイツチの操作機構
KR95000694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5000776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Reel) 록킹(Locking)장치
KR950002436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고정장치
KR920004427Y1 (ko) 브이티알의 카세플레이트 로크장치
JPH0648758B2 (ja) 収納ケ−ス
KR950003080B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
JPS5838499Y2 (ja) 連動電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