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996Y1 - 숭차권발매기용 지폐 투입구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숭차권발매기용 지폐 투입구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996Y1
KR200148996Y1 KR2019960027334U KR19960027334U KR200148996Y1 KR 200148996 Y1 KR200148996 Y1 KR 200148996Y1 KR 2019960027334 U KR2019960027334 U KR 2019960027334U KR 19960027334 U KR19960027334 U KR 19960027334U KR 200148996 Y1 KR200148996 Y1 KR 200148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inlet
slot
vending machin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3731U (ko
Inventor
한응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27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99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37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7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철 승차권 발매시 투입된 지폐에 이상이 있는 경우 투입구로 반환시키는 장치에서 투입구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면서 방출되는 지폐를 홀드하도록 셔터 기능을 부여하는 승차전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투입구(1)의 식별부벨트(11)에 의해 이송된 지폐가 가짜일 경 우 다시 투입구(1)로 보내는 지폐방출 장치를 지니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륵 장착되고, 일지점에 개구(21a)가 형성되는 셔터홈판(21); 회전점(22a)을 중심으로 회전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셔터홈판(21)과 접촉되어 투입구(1)를 폐쇄하는 전방셔터(22); 하단에 차단부(23a) 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셔터(22)에 작동력을 전달하도륵 회전 왕복운동하는 후방셔터(23); 상기 후방셔터(23)의 일지점과 스프링(25)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스프링(25)을 통해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링크(24); 그리고 상기 작동링크(24)의 일단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장치는 필요한 때에만 투입구를 개방하는 셔터장치를 추가함으로써, 먼지·이물질이나 해충 등의 유입을 막아 기기의 청결성이 유지하고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
제1도는 승차권 발매기의 지폐처리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
제3도 (a) 및 (b)는 제2도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입구 2 : 반환구
3 : 금고 4 : 반송모터
5 : 수납모터 6 : 드럼
11 : 식별부벨트 12 : 반환부벨트
13 : 보류부벨트 20 : 솔레노이드
21 : 셔터판 21a : 개구
22 : 전방셔터 22a : 회전점
23 : 후방셔터 23a : 차단부
24 : 작동링크 25 : 스프링
P : 지폐
본 고안은 지하철 등의 승차권 발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승차권 발매시 투입된 지폐에 이상이 있는 경우 투입구로 반환시키는 장치에서 투입구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면서 방출되는 지폐를 홀드하도록 셔터 기능을 부여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차권 발매기는 지하철 승차권의 매표 또는 기타 용도의 매표를 자동화 하여 많은 이용자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장치로서, 이용자에게 주는 편리성과 매표관리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는 경제성에 기인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1도는 승차권 발매기의 지폐처리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된다.
지폐처리부는 반송모터(4)·수납모터(5) 등을 동력원으로 하고 식별부벨트 (11)·반환부벨트(12)·보류부벨트(13)를 운송 매개체로 하여 투입구(1)로 들어온 지폐를 반환구(2)로 보내거나 금고(3)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투입구(1)에 넣어진 지폐는 식별부벨트(11)를 통과하며 진위여부가 확인되고 투입금액이 합산된다. 이용자가 투입한 금액이 확인되면 승차권의 표면에는 그 승 차권의 구입장소, 구입년월일, 구간정보, 장애자 할인정보, 대인 및 소인의 구별 등이 인쇄되며, 자기기록부에도 상기의 정보가 기록된 후 제산된 거스름돈과 함께 이용자에게 보내진다.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을 투입한 후 상기와 같이 승차권과 거스름돈을 받는 정상적인 작동만 이루어지는 경우 투입된 지폐는 보류부벨트(13)를 통해 드럼(6)의 원주면 상에 부착된 후 금고(3)에 보내지지만,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을 투입한 후 정상적인 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취소를 입력하면 드럼(6)이 역회전하며 그 외주면에 있던 지폐를 반환부벨트(l2)에 실려보내 반환구(2)로 반환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정상적인 발매 작동은 식별부벨트(11)를 통과할 때 가짜 지폐로 인식되는 경우에는 발생되지 않고, 투입된 지폐를 다시 투입구(1)로 반송한 다. 식별부벨트(11)로 보내지는 지페는 반송되는 속도에 의해 투입구(l)에서 정지 하지 못하고 투입구(1) 밖으로 이탈되어 바닥으로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투입구(1)가 항시 개방되어 있으면 먼지·이물질 등이 유입될 뿐아니라 해충이나 쥐가 서식할 수도 있으므로, 기기의 청결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공중위생을 해하고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한다.
이에, 본 고안은 투입된 지폐가 가짜일 경우 투입구로 반환시키는 승차권 발매기의 지폐처리부에서 투입구가 평상시 폐쇄되고 지폐 방출시 개방되면서, 방출되는 지폐를 홀드하도록 셔터 기능을 부여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는, 투입구의 식별부벨트에 의해 이송된 지폐가 가짜일 경우 다시 투입구로 보내는 지폐방출 장치를 지니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일지점에 개구가 형성되는 셔터홈판;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셔터출판과 접촉되어 투입구를 폐쇄하는 전방셔터; 하단에 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셔터에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회전 왕복운동하는 후방셔터; 상기 후방셔터의 일지점과 스프링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스프링을 통해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링크; 그리고 상기 작동링크의 일단에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후방셔터는 그 회전 왕복운동의 상사점에서 전방셔터의 상단을 밀어올려 투입구를 개방하고, 하사점에서 차단부가 셔터홈판의 개구에 삽입되며 전방셔터를 끌어내려 투입구를 차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의 구성을 보면, 투입구(1)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셔터홈판(21) 및 작동링크(24)의 회동 구동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20)를 고정부로 하고, 그 중간에 연결되는 전방셔터(22)·후방셔터(23)·작동링크(24)를 가동부로 한다.
상기 투입구(1)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셔터홈판(21)은 일지점에 개구(21a)가 형성되고 지폐를 외부로 유도한다. 회전점(22a)을 중심으로 회전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셔터(22)는 상기 셔터홈판(21)과 접촉되어 투입구(1)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하단에 차단부(23a)가 형성되는 후방셔터(23)는 상기 전방셔터(22)에 작동력을 전달하도륵 회전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솔레노이드(20)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후방셔터(23)의 일지점 에는 스프링(25)을 개재하여 작동링크(24)를 연결하고, 작동링크(24)의 일단에는 솔레노이드(20)를 연결한다. 후방셔터(23) 및 작동링크(24)를 연결하는 스프링(25)은 솔레노이드(20)의 작동충격을 완화한다.
제3도 (a) 및 (b)는 제2도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에는 없으나 식별부벨트(11)(제1도) 상에는 수광부 및 발광부로 구성되는 광센서가 배치되어 지폐(P)의 통과여부를 검출하고 발생되는 신호를 승차권 발매기의 컨트롤러에 보내준다. 이러한 컨트롤러의 출력만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20)가 연결되어 온·오프 제어된다.
제3도 (a)는 지폐가 반송되어 오는 것을 검출한 컨트롤러가 솔레노이드 (20)에 출력을 보내는 경우인 바, 후방셔터(23)는 그 회전 왕복운동의 상사점에서 전방셔터(22)의 상단을 밀어올려 투입구(1)를 개방한다.
제3도 (b)는 지폐(P)의 반송이 완료된 것을 검출한 컨트롤러가 솔레노이드(20)로의 출력을 중단한 경우인 바, 후방셔터(23)는 그 회전 왕복운동의 하사점에서 차단부(23a)가 셔터홈판(21)의 개구(21a) 근처에 이르러 지폐(P)를 누르면서 홀드하고 있다. 이후 이용자가 거절된 지폐(P)를 빼내면 차단부(23a)가 조금 더 하강하여 셔터홈판(21)의 개구(21a)에 삽입되면서 전방셔터(22)를 끌어내려 투입구(1)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작동순서는 제2도 → 제3도 (a) → 제3도 (b)를 반복하는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투입구(1)는 전방셔터(22) 또는 후방셔터(23)에 의해 차단되거나 순간적으로만 개방되는 상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는 필요한 때에만 투입구를 개방하는 셔터장치를 추가함으로써, 먼지·이물질이나 해충 등의 유입을 막아 기기의 청결성이 유지하고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투입구(1)의 식별부벨트(11)에 의해 이송된 지폐가 가짜일 경우 다시 투입구(1)로 보내는 지폐방출 장치를 지니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의 외부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일지점에 개구(21a)가 형성되는 셔터홈판(2l); 회전점(22a)을 중심으로 회전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셔터홈판 (21)과 접촉되어 투입구(1)를 폐쇄하는 전방셔터(22); 하단에 차단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셔터(22)에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회전 왕복운동하는 후방셔터(23); 상기 후방셔터(23)의 일지점과 스프링(25)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스프링(25)을 통해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링크(24); 그리고 상기 작동링크(24)의 일단에 연결되고, 작동링크(24)의 회동 구동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셔터(23)는 그 회전 왕복운동의 상사점에서 전방셔터(22)의 상단을 밀어올려 투입구(1)를 개방하고, 하사점에서 차단부(23a)가 셔터홈판(21)의 개구 (21a)에 삽입되며 전방셔터(22)를 끌어내려 투입구(1)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투입구 셔터 장치.
KR2019960027334U 1996-08-31 1996-08-31 숭차권발매기용 지폐 투입구 셔터장치 KR200148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334U KR200148996Y1 (ko) 1996-08-31 1996-08-31 숭차권발매기용 지폐 투입구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334U KR200148996Y1 (ko) 1996-08-31 1996-08-31 숭차권발매기용 지폐 투입구 셔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731U KR19980013731U (ko) 1998-06-05
KR200148996Y1 true KR200148996Y1 (ko) 1999-06-15

Family

ID=1946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334U KR200148996Y1 (ko) 1996-08-31 1996-08-31 숭차권발매기용 지폐 투입구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9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731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8622C (en) Device for validating and accumulating bills and coins
MXPA04005498A (es) Maquina identificadora y contadora de hojas de papel y metodo para identificar y contar hojas de papel.
JPH06131531A (ja) 紙幣識別装置
KR200148996Y1 (ko) 숭차권발매기용 지폐 투입구 셔터장치
JP2007102471A (ja) 紙幣識別装置
KR0170993B1 (ko)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반환구 셔터 장치
KR20060042403A (ko) 지폐 처리장치
JPH0443486A (ja) 紙幣識別機のセンサクリーニング装置
JP3556854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および硬貨入出金機
JP2003223665A (ja) 紙幣識別装置
JP2605216Y2 (ja) 紙幣識別機
JPS5847490Y2 (ja) 紙幣検定器付バス用運賃箱
JP2005004375A (ja) 紙幣識別装置
JPH0644439A (ja) 紙幣装置
JPS61188338A (ja) 紙幣取扱装置
JP3866916B2 (ja) 紙幣識別装置
JPH1021441A (ja) 紙幣識別機
JPH0546134Y2 (ko)
KR19980014229A (ko) 승차권 발매기용 지폐일시 보류장치
JP2558983Y2 (ja) 紙幣取扱装置
WO1993007591A1 (en) Sensor cleaner of discrimination apparatus for bank notes, etc.
JPS6336445Y2 (ko)
KR200148998Y1 (ko) 승차권발매기용 지폐 수납장치
JPH01273193A (ja) 自動カード発行機
JPH09223254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