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026Y1 - 손수레용 카트 - Google Patents

손수레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026Y1
KR200148026Y1 KR2019970011567U KR19970011567U KR200148026Y1 KR 200148026 Y1 KR200148026 Y1 KR 200148026Y1 KR 2019970011567 U KR2019970011567 U KR 2019970011567U KR 19970011567 U KR19970011567 U KR 19970011567U KR 200148026 Y1 KR200148026 Y1 KR 200148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support
handle
attached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054U (ko
Inventor
감경철
Original Assignee
감경철
주식회사익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경철, 주식회사익산 filed Critical 감경철
Priority to KR2019970011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0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0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0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62B5/044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using a handle bar al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를 들어 공항과 같은 대합실에서 승객이 수화물이나 화물을 직접 싣고 끌고 다닐 수 있는 손수레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핸들(1)과, 이 핸들(1)에 연결 설치되는 제동용 주지지봉(2)과 제동패드(3)가 내장된 수직지지대(4), 수화물이나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치대(5) 및 이 적치대(5)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앞뒤 바퀴(6a, 6b)들로 이루어진 손수레용 카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4)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파이프(7)는 지주캡(8)에서 핸들(1)과 힌지축(9)을 매개로 연결되어 지지브라켓트(10)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이 상부지지파이프(7)와 주지지봉(2)은 나선부(11a, 11b)를 매개로 스크류식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지지봉(2)의 스프링 고정대(12)와 지지브라켓트(10)의 걸림턱(13)사이에는 스프링(14)이 탄발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손수레용 카트
본 고안은 화물이나 짐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손수레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수레의 제동장치 부위를 개량시키어 카트 지지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카트를 서로 연결하는 부위와 범퍼부위를 개선시키어 카트의 이용활용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손수레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항 및 부두 대합실에는 승객의 수화물 내지는 화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수레용 카트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카트는 여러대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연결된 카트를 분리하여 한 대씩 끌고 다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이 같은 카트의 제동장치를 실용신안공고 제85-415호로 등록 받은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 카트에서 문제점이 제기되어 이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안정성과 견고성이 향상된 손수레용 카트를 제안하게 된 것으로, 종래 카트를 제7도과 제8도를 참조로 설명하면, 카트(100)의 제동장치가 수직지지대(104)의 상단부 속에 설치되어 있는 바, 즉 카트를 이동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104)의 핸들부(101)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114)이 압축되면서 제동바아(102)를 상방으로 올리게 됨에 따라 제동패드(103)가 손수레의 바퀴(106)에서 분리되어 제동이 풀어지게 되며, 핸들부(101)에서 손을 놓았을 때 핸들부(101)는 상방으로 올라가고 스프링(114)이 이완되면서 제동패드(103)가 손수레의 바퀴(106)를 누르게 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카트(100)는 제동시 제동바아(102)에서 가해지는 작용 하중이 스프링 장착부(127)에 집중적으로 과다하게 작용되어 이 스프링 장착부(127)가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됨에 따라 결국 제동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카트(100)의 전면지지대(119) 부위에 별다른 보호장치가 없어서 카트 이동중 이 카트(100)의 전방부에 타승객이 부딪히게 되어 손상을 입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으며, 특히 상기 카트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게 될 때 아무런 지지대가 없어 이용자는 인력으로 이 카트(100)를 지지하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대의 카트를 연결하여 이동할 때 상기 카트와 카트의 결합상태가 불완전하여 이동중 카트들이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카트의 문제점들을 해소하여 보다 견고하고 이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카트의 이용 안정성도 향상시킨 손수레용 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제동장치부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상태 작동 단면도.
제4도는 카트 범퍼부의 확대 분리사시도.
제5도는 카트 결합브라켓트부의 확대 분리사시도.
제6도(a), (b)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카트를 이동시키는 일예들을 나타낸 설명도들.
제7도는 종래 카트의 사시도이고,
제8도는 제7도의 제동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2 : 주지지봉
3 : 제동패드 4 : 수직지지대
5 : 적치대 6a, 6b : 앞 뒤 바퀴
7 : 상부지지파이프 8 : 지주캡
9 : 힌지축 10 : 지지브라켓트
11a, 11b : 나선부 12 : 스프링 고정대
13 : 걸림턱 14 : 스프링
15 : 수평지지대 16 : 연결브라켓트
17 : 연속연결홈 18 : 걸림홈
19 : 전면지지대 20 : 중공부
21 : 범퍼 22 : 반사시트
23 : 보강용 프레임 24 : 고정핀
25 : 제동호울더 26 : 미끄럼 방지고무
100 : 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끌고 다니는 핸들부와 이 핸들부에 연결 설치된 주지지봉과 제동패드를 갖춘 수직지지대 수화물이나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치대, 및 앞 뒤 바퀴들로 이루어진 손수레용 카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파이프는 지주캡에서 핸들과 힌지축을 매개로 연결되어 지지브라켓트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이 상부지지파이프에는 주지지봉들이 나선식으로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지지봉의 스프링 고정대와 지지브라켓트의 걸림턱 사이에는 스프링이 탄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지지봉의 하단부에는 뒷바퀴에 제동 작용하는 제동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적치대의 수평지지대 양측으로 연결브라켓트가 부착되도, 이 연결브라켓트에는 파형의 연속연결홈과 요철형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치대 전면 지지대에는 그 단면이 중공부를 갖는 연질의 범퍼가 부착되고, 이 범퍼의 전방 쪽으로 반사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끌고 다니는 핸들(1)과, 이 핸들(1)에 연결 설치되는 제동용 주지지봉(2)과 제동패드(3)가 내장된 수직지지대(4), 수화물이나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치대(5) 및 이 적치대(5)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앞 뒤 바퀴(6a, 6b)들로 이루어진 손수레용 카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4)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파이프(7)는 지주캡(8)에서 핸들(1)과 힌지축(9)을 매개로 연결되어 지지브라켓트(10)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이 상부지지파이프(7)와 주지지봉(2)은 나선부(11a, 11b)를 매개로 스크류식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지지봉(2)의 스프링 고정대(12)와 지지브라켓트(10)의 걸림턱(13) 사이에는 스프링(14)이 탄발설치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치대(5)의 수평지지대(15) 양측으로 연결 브라켓트(16)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연결브라켓트(16)에는 파형의 연속연결홈(17)과 요철형의 걸림홈(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치대(5)의 전면지지대(19)에는 단면이 중공부(20)를 갖는 연질의 범퍼(21)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적치대(5)의 보강용 프레임(23)에는 고정핀(24)이 설치되어 상기 카트(100)를 여러대 연결하여 이동 시킬 때 카트(100)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용 카트의 구조적인 특징을 좀 더 설명하면, 상기 주지지봉(2)에 탄발 설치되는 스프링(14)은 이 주지지봉(2)과 제동패드(3)의 압축력을 증대시키어 효과적인 제동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수직지지대(4)와 상부인 지주캡(8) 부분에 하중을 저감시킴에 따라 핸들(1)조작시 이 지주캡(8)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트(10)와 상부지지파이프(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동패드(3)가 설치된 제동호울더(25)에는 미끄럼 방지고무(26)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동패드(3)는 뒷바퀴(6b)의 면접촉을 증대시키기 위해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적치대(5)의 수평지지대(15)의 양쪽 하방쪽으로 부착된 연결브라켓트(16)의 파형 연속연결홈(17)은 카트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동될 때, 특히 경사로에서 이동될 때 카트들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작용을 하게 되며, 상기 연결브라켓트(16)의 요철형 걸림홈(17)들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올 때 이 걸림홈(18)이 계단부의 모서리에 걸쳐지게 되어 효과적으로 지지되며, 미끄럼 방지고무(26)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 갈 때 계단부에 걸치게 되어 카트가 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적치대(5)의 전방쪽으로 연질고무 재질로 된 중공부(20)를 갖는 범퍼(21)가 설치되어 있어서 충돌시 충격완화 작용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동중 대인 접촉시에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범퍼(21)의 전방 쪽이나 수직지지대(4)를 가로 질러 부착되는 반사시트(22)에 의해서 야간에도 카트의 식별이 용이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선전문구 내지는 P.R용 문구 혹은 로고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용 카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이동중 제동을 해야 할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을 점선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주지지봉(2)이 스프링(14)을 압축시키면서 제동패드(3)가 올라가게 되어 뒷바퀴(6b)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제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핸들(1)에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동패드(3)는 실선인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제동이 된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파이프(7)와 주지지봉(2)의 연결이 스크류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주지지봉(2)을 손쉽게 이탈시킬 수 있으며, 수직지지대(4)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카트에 비해 제동장치 부위가 설치된 수직지지대(4)의 상단부에 하중전달을 경감시킴에 따라 이들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며, 범퍼(21)와 반사시트(22)를 설치하여 안전사고 예방과 식별력을 제고시킴과 더불어 카트 이동중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 시킬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잇점등이 있다.

Claims (6)

  1. 끌고 다니는 핸들(1)과, 이 핸들(1)에 연결 설치되는 제동용 주지지봉(2)과 제동패드(3)가 내장된 수직지지대(4), 수화물이나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치대(5) 및 이 적치대(5)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앞 뒤 바퀴(6a, 6b)들로 이루어진 손수레용 카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4)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파이프(7)는 지주캡(8)에서 핸들(1)과 힌지축(9)을 매개로 연결되어 지지브라켓트(10)를 관통해서 설치되고, 이 상부지지파이프(7)와 주지지봉(2)은 나선부(11a, 11b)를 매개로 스크류식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주지지봉(2)의 스프링 고정대(12)와 지지브라켓트(10)의 걸림턱(13) 사이에는 스프링(14)이 탄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5)의 수평지지대(15) 양측으로는 연결브라켓트(16)가 부착되되, 이 연결브라켓트(16)에는 파형의 연속연결홈(17)과 요철형의 걸림홈(18)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5)의 전면지지대(19)에는 단면이 중공부(20)를 갖는 연질의 범퍼(21)가 결합되고, 이 범퍼(21)의 전방쪽으로 빛반사용 반사시트(22)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4) 사이를 가로질러 반사시트(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5)의 보강용 프레임(23)에는 카트 연결용 고정핀(24)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3)가 설치된 제동호울더(25)에는 미끄럼 방지용고무(26)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용 카트.
KR2019970011567U 1997-05-22 1997-05-22 손수레용 카트 KR200148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67U KR200148026Y1 (ko) 1997-05-22 1997-05-22 손수레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67U KR200148026Y1 (ko) 1997-05-22 1997-05-22 손수레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54U KR19980067054U (ko) 1998-12-05
KR200148026Y1 true KR200148026Y1 (ko) 1999-06-15

Family

ID=1950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567U KR200148026Y1 (ko) 1997-05-22 1997-05-22 손수레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0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387B1 (ko) * 2000-05-26 2002-11-30 주식회사 욱일기획 손수레용 제동장치
KR102247524B1 (ko) * 2020-01-08 2021-05-03 박용옥 손수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54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697A (en) Shopping cart automatic dual brake
CN100379608C (zh) 用于运输自行车的承载装置
US6213484B1 (en) Skateboard with a foot brake
US4921270A (en) Convertible hand truck
US5524731A (en) Universally mountable brake assembly for a hand truck
KR200148026Y1 (ko) 손수레용 카트
US6102167A (en) Brake device for a stroller
US5439076A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trucks and the like
CN213882502U (zh) 一种用于产品设计的图纸悬挂设备
CN2220409Y (zh) 方便车
CN212796952U (zh) 一种带有自动刹车功能的手推平板车
CH616854A5 (en) Monoskate
CN210203659U (zh) 一种防霉耐用型拉杆箱
CN108639196B (zh) 一种自行车停车装置
CN214396791U (zh) 一种全地形推车
JP3050213U (ja) 車内販売用ワゴン
EP1890924B1 (en) Sack truck
WO2002074592A1 (en) Brake for a vehicle
CN216763095U (zh) 一种车辆后备厢内置的货物装卸折叠架
CN210761088U (zh) 一种防撞击电动自行车
JP2001315677A (ja) 自動二輪車用補助車輪支持装置
CN216611261U (zh) 一种便于快速安装的小推车
CN112998481B (zh) 一种具有电磁制动系统的婴儿学步车
CN218198628U (zh) 一种摩托车翻转踏板
CN220314964U (zh) 一种简捷式车辆止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