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461Y1 - 흡기메니폴드용가변밸브장치 - Google Patents

흡기메니폴드용가변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461Y1
KR200147461Y1 KR2019940024662U KR19940024662U KR200147461Y1 KR 200147461 Y1 KR200147461 Y1 KR 200147461Y1 KR 2019940024662 U KR2019940024662 U KR 2019940024662U KR 19940024662 U KR19940024662 U KR 19940024662U KR 200147461 Y1 KR200147461 Y1 KR 200147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valve
drive shaft
intake manifold
valve device
su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4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474U (ko
Inventor
노문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24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461Y1/ko
Publication of KR960011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73Flap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흡기 메니폴드에 형성된 흡입통로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흡입통로상에 가변밸브를 설치하여 저, 중속 또는 고속시 차량의 엔진 효율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기 메니폴드용 가변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기 메니폴드의 흡입통로상에 확장 형성된 공간부와, 이 공간부의 상, 하에 흡입통로를 두고 설치되므로서 저, 중속 또는 고속시 엔진 RPM 감지한 센서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변 밸브제어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변 밸브장치는 흡기 메니폴드의 공간부 상측에 흡입통로를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길이를 달리하여 제1, 2밸브판이 장착되는 제1종, 구동축과, 이 제1구동축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전자제어장치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제1구동축을 장착한 제1스텝모터가 설치된 제1가변밸브장치와, 이 제1가변밸브의 하측에 흡입통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길이를 달리하여 제3, 4밸브판이 장착되는 제2종, 구동축과, 이 제2구동축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전자제어장치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2구동축을 장착한 제2스텝모타가 설치된 제2가변밸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흡기 메니폴드용 가변 밸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밸브장치가 적용되는 부위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밸브장치가 적용 설치됨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밸브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다른 가변 밸브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흡기 메니폴드 3 : 흡입통로
4 : 공간부 5,6 : 제1,2가변 밸브장치
7,8 : 제1,2밸브판 9,10 : 제 1종,구동측
11 : 전자제어장치 12,17 : 제1,2스텝모타
13,14 : 제3,4밸브판 15,16 : 제2종,구동축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상기 메니폴드용 가변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기 메니폴드에 형성된 흡입통로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흡입통로상에 가변밸브를 설치하여 저, 중속 또는 고속시 차량의 엔진 효율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기 메니폴드용 가변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흡기 메니폴드는 기화기에서 만든 혼합기를 될 수 있는 대로 저항을 적게 하여 실린더로 유도하는 관으로, 2실린더 이상의 다 실린더 기관에서는 질과 양이 균일한 혼합기를 각 실린더에 분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흡기 매니폴드는 설계가 잘되고 못됨에 따라 흡입 공기량, 흡합기의 분배 시동성등 기관의 출력에 큰 영향이 있다. 이어 따라 특히 고출력 기관에서는 흡기 메니폴드의 저항을 적게하여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게 할 뿐만 아니라 매니폴드의 관성효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보다 큰 출력을 얻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흡기 메니폴드는 흡입통로가 완전히 구분된 형태로 즉, 독립된 통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엔진룸 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설계상의 범위가 자유스럽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목적은 흡기 메니폴드에 형성된 흡입통로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흡입통로상에 가변밸브를 설치하여 저, 중속 또는 고속시 차량의 엔진 효율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기 메니폴드용 가변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기 메니폴드의 흡입통로상에 확장 형성된 공간부와, 이 공간부의 상, 하에 흡입통로를 두고 설치되므로서 저, 중속 또는 고속시 엔진 RPM을 감지한 센서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변 밸브제어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변 밸브장치는 흡기 메니폴드의 공간부 상측에 흡입통로를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길이를 달리하여 제1, 2벨브판이 장착되는 제1종, 구동축과, 이 제1구동축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도륵 전자제어장치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제1구동축을 장착한 제1스텝모타가 설치된 제1가변밸브장치와, 이 제1가변밸브의 하측에 흡입통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길이를 달리하여 제3,4벨브판이 장착되는 제2종,구동축과, 이 제2구동축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전자제어장치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2구동측을 장착한 제2스텝모타가 설치된 제2가변밸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서어지탱크를 통과한 공기가 흡기 메니폴드의 흡입통로를 통과할 때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한 전자제어장치에 의해서 제1, 2스텝모타가 동시에 작동하여 제1, 2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서 흡입통로가 차단 또는 연통되면서 상, 하통로가 개구되어 흡입통로가 길어지는 효과를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작동하므로서 엔진의 효율을 향상하도록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밸브장치가 적용되는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 밸브장치가 적용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은 가변 밸브장치를 지칭한다.
상기한 가변밸브장치(1)는 흡기 메니폴드(2)의 흡입통로(3)상에 확장 형성된 공간부(4)와, 이 공간부의 흡입통로(3) 상, 하에 설치되므로서 저, 중속 또는 고속시 엔진 RPM을 감지한 센서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도륵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흡기매니폴드(2)가 일측은 실린더 헤드(2C)측에 설치가 되고, 타측은 서어지탱크(2S)측에 연결 설치되어 있어 공기가 실린더헤드의 연소실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가변 밸브장치(1)는 공간부(4) 상측에 제1가변 밸브장치(5)와, 하측에 제2가변 밸브장치(8)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1가변 밸브장치(5)는 흡기 메니폴드(2)의 공간부(4) 상측에 흡입 통로(3)를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길이를 달리하여 제1, 2밸브판(7)(8)이 장착되는 제1종, 구동축(8)(10)과, 이 제1구동측(10)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전자제어장치(11)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1스탭모타(12)가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1가변밸브장치(5)의 하측에 설치된 제2가변 밸브장치(6)는 흡입통로(3)를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길이를 달리하여 제3, 4밸브판(13)(14)이 장작되는 제2종, 구동축과(15)(16), 이 제2구동축은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전자제어장치(11)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2구동축(16)을 장착한 제2스텝 모터(17)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1가변 밸브장치(5)나, 제2가변밸브장치(6)는 흡기 메니폴드(2)에 형성된 공간부(4)의 가)나) 부분에 제2, 4밸브판(8)(14)을 길게 형성하여 단이 닿았을 때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흡입통로(3)가 형성되게 하고 있다.
상기한 제2,4밸브판(8)(14)이 수평으로 고정되었을때 타측의 제1, 3밸브판(7)(13)은 길이를 짧게하여 수평이 이루어져 고정이 될때, 공간부(4)의 다) 라)부분에 닿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흡입시 밀려나오는 역공기가 흡입공기를 간섭하지 않도록 유입구(18)를 형성하고 있다. (제3도 참조)
상기한 제1, 2밸브판(7)(8)과 제3, 4벨브판(13)(14)의 자세가 상기와 같이 수평을 이루고 흡입통로(3)가 형성되도록 함은 전자제어장치(11)가 엔진의 회전수가 고속임을 감지하여 제1, 2스텝모타(12)(17)를 작동하도록 하여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상기한 전자제어장치(11)가 엔진의 회전수가 센서에 의해 저속임을 감지하계 되면 제1, 2스텝모타(12)(17)를 작동시켜 흡입통로(3)측으로 제1가변밸브장치(5)의 제1, 2밸브판(7)(8)이 하향하여 각도를 갖도록 하고, 제2가변밸브장치(6)의 제3, 4밸브판(13)(14)은 상향하여 각도를 갖도록 하므로서 다이몬드형 밸브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1, 2가변밸브장치(5)(6)가 작동하여 엔진의 저속상태에 맞도록 중앙의 흡입통로(3)는 차단하고, 상, 하통로(19)를 형성하게 되어 흡입통로가 길어짐에 따라 흡기의 관성효과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1, 2종, 구동측(9)(10)(15)(16)의 선단에는 기어부(20)가 형성되어 제1, 2구동축(10)(16)의 회전시 제1, 2종동측(9)(15)가 함께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가 흡기 메니폴드(2)의 흡입통로(3)를 통과할 때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한 전자제어장치(11)에 의해서 제1, 2스텝모타(12)(17)가 동시에 작동하게 하여 저, 중속시 또는 고속시의 상태에 맞게 엔진에 공기의 량을 알맞게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엔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2구동축(10)(16)을 제1, 2스텝모타(12)(17)에 전자제어장치(11)가 신호를 주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2밸브판(7)(8)과 제3,4밸브판(13)(14)이 축을 중심으로서 수평을 이루어지거나 맞대응하여 다이아몬드형을 이루어거나 하게 된다.
이때 저속시에는 상, 하통로(19)가 연통되어 흡입통로(3)를 길게 하므로서 관성효과를 극대화시켜 공기의 흡입효율을 향상시켜 엔진효율을 좋게한다.
그리고 엔진의 고속시에는 제1, 2밸브판(7)(8)과 제3, 4밸브판(13)(14)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면서 흡입통로(3)를 개구하여 공기의 흡입을 좋게 하면서 제1, 3밸브판(1)(13)측에 형성된 유입구(18)를 통해 반작용하는 공기가 포집하도록 하므로서 공기의 흡입이 향상되어 엔진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흡입통로가 차단 또는 연통되도록 하고, 상, 하통로도 개구 또는 차단되도록 하여 반작용하는 공기를 포집하면서 흡입되는 공기의 량을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향상되도록 하므로서 엔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고안이다.

Claims (2)

  1. 흡기 메니폴드(2)의 흡입통로(3)상에 확장 형성된 공간부(4)와, 이 공간부의 상, 하에 흡입통로(3)를 두고 설치되므로서 저, 중속 또는 고속시 엔진 RPM을 감지한 센서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도륵 설치된 가변밸브장지(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메니폴드용 가변 밸브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변 밸브장치(1)는 흡기 메니폴드(3)의 공간부(4) 상측에 흡입통로(3)를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길이를 달리하여 제1, 2벨브판(7)(8)이 장착되는 제1종, 구동축(9)(10)과, 이 제1구동축(10)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전자제어장치(11)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제1구동축(10)을 장착한 제1스텝모타(12)가 설치된 제1가변밸브장치(5)와, 이 제1 가변밸브의 하측에 흡입통로(3)를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길이를 달리하여 제3, 4밸브판(13)(14)이 장착되는 제2종, 구동축(15)(16)과, 이 제2구동축(16)을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전자제어장치(11)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2구동축(18)을 장착한 제2스텝모타(17)가 설치된 제2가변밸브장치(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흡기 메니폴드용 가변 밸브제어장치.
KR2019940024662U 1994-09-26 1994-09-26 흡기메니폴드용가변밸브장치 KR200147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662U KR200147461Y1 (ko) 1994-09-26 1994-09-26 흡기메니폴드용가변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662U KR200147461Y1 (ko) 1994-09-26 1994-09-26 흡기메니폴드용가변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74U KR960011474U (ko) 1996-04-15
KR200147461Y1 true KR200147461Y1 (ko) 1999-06-15

Family

ID=1939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4662U KR200147461Y1 (ko) 1994-09-26 1994-09-26 흡기메니폴드용가변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4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372B1 (ko) 2005-11-1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흡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372B1 (ko) 2005-11-1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흡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74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6912B2 (en) Vehicle including a variable intake pipe length device
JPH09222018A (ja) 内燃機関の可変吸気装置
KR200147461Y1 (ko) 흡기메니폴드용가변밸브장치
JPH10339225A (ja) 車載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545962B2 (ja) 船外機の低速エア制御弁配置構造
JPH07224669A (ja) V型多気筒2サイクルエンジン
JP2903726B2 (ja) 内燃機関の可変吸気装置
JP4581314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3815255B2 (ja) 船外機の吸気装置
KR100211356B1 (ko) 엔진의 흡기장치
JP2502036B2 (ja) 防音形高圧洗浄機
JP2000064919A (ja) 吸気装置
KR0151492B1 (ko) 스월효과를 이용한 가변흡기조정장치
KR200155761Y1 (ko) 흡기다기관의 서지탱크
KR100211357B1 (ko) 엔진의 흡기장치
KR20030039476A (ko) 서지탱크의 흡기소음 감쇄를 위한 레조네이터 장치
JPH0318660Y2 (ko)
JPH0515567Y2 (ko)
KR100203875B1 (ko) 내연기관의 신기 추가공급장치
KR100267021B1 (ko) 흡입밸브개폐회로
KR100269791B1 (ko) 자동차의 가변 흡기시스템
KR19990020418U (ko) 내연기관의 가변 인테이크 매니폴드
JPH05125944A (ja) 内燃機関の可変吸気装置
KR100201605B1 (ko) 흡기 효율 향상을 위한 서지탱크 용적가변장치
KR19980053993U (ko) 엔진의 가변흡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