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414Y1 -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 Google Patents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414Y1
KR200147414Y1 KR2019970006230U KR19970006230U KR200147414Y1 KR 200147414 Y1 KR200147414 Y1 KR 200147414Y1 KR 2019970006230 U KR2019970006230 U KR 2019970006230U KR 19970006230 U KR19970006230 U KR 19970006230U KR 200147414 Y1 KR200147414 Y1 KR 200147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uspension device
box
cup
primary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940U (ko
Inventor
민영정
오상훈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70006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4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414Y1/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화차의 대차에 사용되는 1차 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높이가 서로 다른 내측스프링(6), 외측스프링(1)을 각각 구성하고, 마찰 댐핑부를 내측스프링부(6)쪽에 설치하였다. 상기의 마찰댐핑부는 프레임의 아래쪽으로 설치하는 스프링컵(2)과, 스프링컵(2)과 스프링박스 사이에 설치하되 스프링컵(2)이 스프링박스에 연결되도록한 현수고리(4)와, 스프링컵(2)의 측단으로 연결 설치한 푸시로드(3) 및 마찰판(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1차 현수 장치는 마찰판(7)쪽에 설치되는 저어널박스와 스프링 박스 사이에 수평방향 및 차량진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본 고안은 고속 주행에 적합한 고속 화차용 1차 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의 (a)는 종래의 1 차 현수장치에 대한 요부를 보여 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b)는 그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1차 현수장치는, 차량 진행방향 및 수평방향으로의 간격이 거의 없어 곡선주행성능이 떨어지며, 레일과 플렌지의 마모 현상이 생기고, 또한, 별도의 댐핑부가 없어 댐핑효과가 없고 비탄성질량(UNSPRING MASS)이 큰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곡선 주행시 원활한 주행 성능유지가 가능하여, 휠플렌지 마모현상을 줄일수 있고, 비탄성질량(언스프링매스)을 감소시키고, 2단계의 스프링 강성 변화 및 그에 따라 하중 변화에 따라 변하는 마찰 댐핑 성능으로 현수 특성을 개선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과 또 다른 장점, 특징 등을 상술한다.
제1도(a)는 종래의 현수 장치를 보여 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b)는 그의 요부 정면도이다.
제2도(a)는 본 고안에 따른 1 차 현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에 대한 평면도이고, (b)는 그의 주요 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스프링 2 : 스프링컵
3 : 푸시로드 4 : 현수고리
6 : 내측스프링 7 : 마찰판
제2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 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평면도이고, (b)는 요부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속화차 대차에 사용되는 1차 현수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높이가 서로 다른 내측스프링(6), 외측스프링(1)을 각각 구성토록 하여 강성이 2 단계로 바뀔수 있게하여 우수한 주행성능을 유지할수 있게 하였다.
즉, 화차의 대차가 공차시에는 제2도에 도시한 프레임 바로 아래쪽의 외측 스프링(1)만이 작용하중을 부담하여 스프링 강성이 작게 되도록 하였고, 한편 대차의 만차시에는 내,외측 스프링(6,1)이 하중을 모두 받게 되어 스프링 강성이 하중에 따라 변화하는 특징을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마찰 댐핑부를 내측스프링부(6)쪽에 설치하였다. 이 마찰댐핑부는 스프링컵(2), 현수고리(4), 푸시로드(3), 마찰판(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스프링부(6)에의 스프링컵(2)은 현수고리(4)에 의해 스프링박스에 연결되어있고, 스프링컵(2)의 측단으로는 푸시로드(3)와 마찰판(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컵(2)이 하중을 받으면 그 하중은 푸시로드(3)를 거쳐 마찰판(7)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 힘이 바로 댐핑력이 된다. 즉, 프레임이 하중을 받아 아래로 내려가면 스프링 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현수고리(4)를 통해, 현수고리(4)의 설치 각도에 따른 수평 분력만큼의 힘이 스프링컵(2)에 전달되고 이 힘은 푸시로드(3)를 통하여 저어널 박스와 스프링 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마찰판(7)에 전달된다. 이 힘은 수직/수평방향의 마찰력을 생성하게 되어 수직/수평방향의 댐핑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1차 현수 장치는 마찰판(7) 쪽에 설치되는 저어널박스와 스프링 박스 사이에 수평방향 및 차량진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어 곡선 통과 주행에 있어 원활한 주행성능을 유지할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곡선 주행시 원활한 주행 성능유지가 가능하여, 휠플렌지 마모현상을 줄일수 있고, 비탄성질량(언스프링매스)을 감소시키고, 2단계의 스프링 강성 변화 및 그에 따라 하중 변화에 따라 변하는 마찰 댐핑 성능으로 현수 특성을 개선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높이가 서로 다른 내측스프링(6), 외측스프링(1)을 각각 구성하고, 마찰 댐핑부를 내측스프링부(6)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차용 대차의 1 차 현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마찰댐핑부는 프레임의 아래쪽으로 설치하는 스프링컵(2)과, 스프링컵(2)과 스프링박스 사이에 설치하되 스프링컵(2)이 스프링박스에 연결되도록한 현수고리(4)와, 스프링컵(2)의 측단으로 연결 설치한 푸시로드(3) 및 마찰판(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1차 현수 장치는 마찰판(7) 쪽에 설치되는 저어널박스와 스프링 박스 사이에 수평방향 및 차량진행 방향으로 소정의 견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차용 대차의 1 차 현수장치.
KR2019970006230U 1997-03-28 1997-03-28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KR200147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230U KR200147414Y1 (ko) 1997-03-28 1997-03-28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230U KR200147414Y1 (ko) 1997-03-28 1997-03-28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940U KR19980061940U (ko) 1998-11-16
KR200147414Y1 true KR200147414Y1 (ko) 1999-06-15

Family

ID=1949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230U KR200147414Y1 (ko) 1997-03-28 1997-03-28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4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940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47676B (zh) 带涡流制动装置的轨道车辆转向架及轨道车辆
CN104228866A (zh) 一种四轴式机车转向架
CN108146461B (zh) 一种低地板有轨电车动力车转向架
GB2549547A (en) High-speed rail vehicle bogie
AU4721300A (en) A bogie of railway wagon
US5540157A (en) Single-axle bogie for trackbound vehicle
CN2920770Y (zh) 宽轨焊接转向架
KR200147414Y1 (ko) 고속화차용 대차의 1차 현수장치
CN113830123B (zh) 一种轨道车辆变轨距转向架用轮对及转向架
CN212473463U (zh) 柔性构架式转向架及轨道车辆
EP0357026B1 (en) Axle box suspension
CN212738090U (zh) 具有柔性轴箱和悬挂减振装置的轨道车辆
US11318965B2 (en) Locomotive bogie having an anti-pitching geometry
JP6932097B2 (ja) 軌条車両用台車
KR0156806B1 (ko) 캐빈과 적어도 두개의 주행기어를 갖는 차량
KR0140530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의 판스프링지지구조
US5438932A (en) Running gear for a railborne vehicle that is radially adjustable through compensating levers
RU1775323C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 колесной пары рельсовой тележки с ее боковой рамой
RU2291801C2 (ru) Двухосная тележк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301466A (zh) 一种轮轨低动力作用转向架横向摆动控制方法
KR200200216Y1 (ko) 철도차량 대차용 볼스터의 사이드 베어링
RU2263038C2 (ru) Тележк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ее варианты)
JPS588604Y2 (ja) 鉄道車両用台車
JPH09301163A (ja) 車両用ボルスタレス台車
KR20010035241A (ko) 철도차량 대차용 볼스터의 사이드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