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030Y1 - 자동차의 견인고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견인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030Y1
KR200147030Y1 KR2019970016393U KR19970016393U KR200147030Y1 KR 200147030 Y1 KR200147030 Y1 KR 200147030Y1 KR 2019970016393 U KR2019970016393 U KR 2019970016393U KR 19970016393 U KR19970016393 U KR 19970016393U KR 200147030 Y1 KR200147030 Y1 KR 200147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bar
hook portion
vehic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807U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03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8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0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resilient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걸이부에 록킹수단을 만들어 견인시 견인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몸통부(1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1)과, 가이드홈(111)에 설치되며 후단이 스프링(140)으로 탄지되어 선단이 걸이부(120)의 선단쪽으로 돌출된 록킹바(130)와, 록킹바(130)의 선단이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있도록 걸이부(120)의 선단부 안쪽면에 형성된 고정홈(121)으로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견인고리
본 고안은 자동차의 견인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차량을 견인시킬때 체인이나 밧줄을 걸 수 있도록 차체의 앞부분에 설치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에 관한 것이다.
견인고리는 자동차의 고장 등으로 운행이 불가하여 견인차에 의하여 견인시킬 때 견인줄을 걸 수 있도록 차체의 앞부분에 설치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견인고리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견인고리(10)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체(A)에 고정되는 부분인 몸통부(11)와 견인줄을 걸기 위한 걸이부(12)로 구분할 수 있다.
몸통부(11)는 일반적으로 차체(A)나 프레임에 용접으로 고정시키며, 이때 걸이부 (12) 는 차체 (A)의 외부로 약간 돌출되도륵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견인고리 (10)의 걸이부(12)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있어 견인줄이 이탈될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하여 견인 대상물인 피견인차가 도로를 벗어나서 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걸이부에 록킹수단을 만들어 견인시 견인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견인고리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고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고리의 수평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고리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차체 100 : 견인고리
110 : 몸통부 111 : 가이드홈
120 : 걸이부 121 : 고정홈
130 : 록킹바 140 : 스프링
150 : 록킹편 160 : 록해제버튼
본 고안은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체(A)에 고정되는 부분인 몸통부(110)와 견인줄을 걸기 위한 걸이부(12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견인고리(100)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1)과, 상기 가이드홈(111)에 설치되며 후단이 스프링(140)으로 탄지되어 선단이 상기 걸이부(127)의 선단쪽으로 돌출된 록킹바(130)와, 상기 록킹바(130)의 선단이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있도록 상기 걸이부(120)의 선단부 안쪽면에 형성된 고정홈(121)으로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록킹바(130)의 양측면에 탄설된 록킹편(150)을 탄설하고, 상기 록킹편(150)을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110)의 양측면에 록해제버튼(160)을 탄설하여, 상기 록킹바(130)를 후퇴시켰을 때 록킹되고 상기 록해제버튼(160)을 누르면 상기 록킹바(130)의 록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고리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고리의 수평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고리의 측단면도이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홈(111)은 몸통부(110)에 적당한 깊이로 형성하여 스프링(140)으로 탄지되는 록킹바(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록킹바(130)는 사각기둥형으로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홈(111)에 내장시킬 때 압축 코일형 스프링 (140)으로 그 후단을 탄지시켜 그 선단이 스프링(140)의 탄성력으로 걸이부(120)쪽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고정홈(121)은 록킹바(130)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당한 깊이로 형성하여 항시 록킹바(130)의 선단이 삽입되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록킹편(150)은 록킹바(130)의 양측면에 홈가공하고 스프링으로 탄지시켜 록킹바(130)를 후퇴시켰을 때 록해제버튼(160)의 설치위치에서 록킹되도록 한다. 그리고 록해제버튼(160)은 몸통부(110)의 양측면에 구멍가공을 하여 스프링으로 탄지시켜 록킹바(130)의 록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을 사용할 때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록킹바(130)를 가이드홈(111)쪽으로 밀면 록킹편(150)에 의하여 록킹됨과 동시에 걸이부(120)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견인줄을 걸이부(120)에 걸고, 록해제버튼(160)을 손으로 누르면 록킹편(150)의 록킹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140)의 탄발력에 의하여 록킹바(130)가 돌출된다. 이때, 록킹바(130)의 선단부가 걸이부(120)의 고정홈(121)에 삽입되어 견인고리(100)의 걸이부(120)가 폐쇄되는 구조로 된다. 따라서, 자동차를 견인시킬 때 견인줄이 견인고리(100)로 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견인고리(100)는 견인줄을 록킹시키는 수단을 마련한 것으로, 자동차를 견인시킬 때 견인줄이 이탈될 우려가 없으므로 견인 대상물인 피견인차가 안전하게 견인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작이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도 있다.

Claims (2)

  1.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체(A)에 고정되는 부분인 몸통부(110)와 견인줄을 걸기 위한 걸이부(12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견인고리(100)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1)과, 상기 가이드홈(111)에 설치되며 후단이 스프링(140)으로 탄지되어 선단이 상기 걸이부(120)의 선단쪽으로 돌출된 록킹바(130)와, 상기 록킹바(130)의 선단이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있도록 상기 걸이부(120)의 선단부 안쪽면에 형성된 고정홈(12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130)의 양측면에 탄설된 록킹편(150)을 탄설하고, 상기 록킹편(150)을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110)의 양측면에 록해제버튼(160)을 탄설하여, 상기 록킹바(130)를 후퇴시켰을 때 록킹되고 상기 록해제버튼(160)을 누르면 상기 록킹바(130)의 록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KR2019970016393U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견인고리 KR200147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393U KR200147030Y1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견인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393U KR200147030Y1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견인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807U KR19990002807U (ko) 1999-01-25
KR200147030Y1 true KR200147030Y1 (ko) 1999-06-15

Family

ID=1950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393U KR200147030Y1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의 견인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0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4175B2 (en) * 2019-11-01 2023-02-21 Nitrosew Llc Remotely releasable tow line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807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8342A (en) Carrier attachment for automobiles
CN205553968U (zh) 一种安全带束缚感应装置及一种儿童汽车安全座椅
KR200147030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CN111478117A (zh) 充电枪
KR19980031610U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JP6029863B2 (ja) 自動車用牽引フック
KR200147029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KR19980031607U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CN204078630U (zh) 一种多功能伸缩夹具
US9399423B2 (en) Anchor for detachably connecting a wheelchair securement apparatus to a support surface within a motor vehicle
US2474231A (en) Sliding ball hitch for automobiles
CN102518631B (zh) 可拆分式坐垫锁止卡扣
CN212033358U (zh) 充电枪
KR19980031527U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CN219487386U (zh) 一种汽车安全带锁组件
CN109131202B (zh) 一种汽车安全带锁扣手动滑移装置
CN205547629U (zh) 一种安全带锁舌
KR930006868Y1 (ko) 대형버스용 화물이동 방지장치
KR200147031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KR200152931Y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스트랩의 결합구조
KR200146868Y1 (ko) 시트벨트 웨빙 길이 구속장치
KR0117359Y1 (ko) 도난방지용 세이프티 노브
KR19980028512U (ko) 자동차의 수납형 견인고리
KR200169507Y1 (ko) 차량의 앞좌석 안전벨트 유동 방지장치
KR19980061009U (ko) 자동차 도어의 강제 해정열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