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832Y1 - 자동차의 도어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832Y1
KR200146832Y1 KR2019960049726U KR19960049726U KR200146832Y1 KR 200146832 Y1 KR200146832 Y1 KR 200146832Y1 KR 2019960049726 U KR2019960049726 U KR 2019960049726U KR 19960049726 U KR19960049726 U KR 19960049726U KR 200146832 Y1 KR200146832 Y1 KR 200146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ey
driver
lock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715U (ko
Inventor
오재근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49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83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키실린더에 열쇠를 삽입한 상태에서 도어를 잠그고 자리를 이탈할 경우 경보하는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록스위치(10)에 의해 도어를 잠글경우 제어부(20)에서 이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록어셈블리(40)를 고정시켜 도어를 잠그는 자동차의 도어장금장치에 있어서; 운전석에 운전자가 있는지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50)와, 키실린더에 열쇠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키스위치(60)와, 키스위치(60) 값과 물체감지센서(50)의 값과 도어록스위치(10) 값을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20)의 판단에 따라 경고하는 경고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운전자가 열쇠가 꼽혀있는 것을 잊고 도어를 잠글경우 경고하도록 작동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잠금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키실린더에 열쇠를 삽입한 상태에서 도어를 잠그고 자리를 이탈할 경우 경보하는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는 차량을 도난으로 부터 방지하거나 차량의 주행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1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파워 도어잠금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써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의 도어에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록어셈블리(40)와, 록어셈블리(4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30)와, 운전자가 열쇠나 노브를 통해 록(Lock)이나 언록(Unlock) 시키기 위한 도어록스위치(10)와, 도어록스위치(10)의 작동에 따라 뒷좌석의 도어와 조수석의 도어를 잠그기 위해 각각의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파워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열쇠를 통해 운전석의 도어를 잠글 경우나 노브를 눌러 도어를 잠그게 되면 이 신호를 제어부(20)에서 입력받아 각각에 설치된 구동부(30)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구동부(30)의 모터가 작동되어 록어셈블리(40)를 고정시켜 도어를 열지못하도록 한다.
그런데, 운전자가 열쇠를 키실린더에 삽입한 채로 도어를 잠그는 경우가 있어 나중에 차량을 운행하려면 도어를 열 수 없어 강제적인 수단으로 도어를 열여야함으로써 시간적이나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열쇠를 키실린더에 키를 삽입한 채로 자리를 이탈하여 도어를 잠글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3은 물체감지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차의 측면사시도이다.
도4는 물체감지센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해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록스위치 20 : 제어부
50 : 물체감지센서 60 : 키스위치
70 : 경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록스위치에 의해 도어를 잠글경우 제어부에서 이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록어셈블리를 고정시켜 도어를 잠그는 자동차의 도어장금장치에 있어서; 운전석에 운전자가 있는지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와, 키실린더에 열쇠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키스위치와, 키스위치 값과 물체감지센서의 값과 도어록스위치 값을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경고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도어의 잠김기능은 도어록스위치를 록의 위치나 언록의 위치로 함에 따라서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를 시킬 수 있다. 그러나 키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운전석 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도어록스위치를 록의 위치로 하면 경고를 하며 도어는 잠기지 않도록 작동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해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를 구성한 실시예로서 블록구성도로 나타내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어떠한 물체가 있는가 즉,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가 확인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50)와,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도어록스위치(10)와, 열쇠가 키실린더에 삽입되면 온되는 키스위치(60)와, 상기 물체감지센서(50)와 도어록스위치(10)와 키스위치(60)의 값을 입력받아 도어의 잠금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제어부(20)의 출력에 따라 작동되는 록어셈블리(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동부(30)와, 제어부(20)에서 경고신호를 출력할 경우 경고하는 경고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3은 상기 물체감지센서(50)를 핸들과 운전석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자리에 착석하고 있는지 판단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측면사시도이다.
도4는 상기 물체감지센서(50)의 구체적인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빛을 발하는 발광부(502)와,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504)와, 수광부(504)에서 빛의 차단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50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이루어진 물체감지센서(50)는 발광부(502)에서 발신되는 빛이 수광부(504)에 전달될 경우에는 수광부(504)의 출력이 0V으로 출력됨으로써 증폭기(506)를 통해 제어부(20)로 입력되는 신호는 0V이되고 발광부(502)에서 발신된 빛이 어떤 물체에 의해 수광부(504)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력이 수광부(504)에 입력되는 5V가 출력되어 증폭기(506)를 통해 제어부(20)로 입력되도록 작동되어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체감지센서(50)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를 잠그기 위해 도어록스위치(10)를 록 위치로 하였는가 판단한다(S10). 판단한 값이 록일 경우에는 물체감지센서(50)에 의해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판단한다(S20). 운전자가 탑승하였을 경우에는 구동부(30)를 작동시켜 도어록어셈블리(40)를 고정시켜 도어를 잠근다(S40). 그러나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키실린더에 열쇠가 삽입되었는가 판단하여 열쇠가 삽입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구동부(30)를 작동시켜 도어를 잠그게 된다(S30)(S40). 그런데 열쇠가 삽입되어 키스위치(60)가 온된 상태면 경고를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알린다 그런다음 도어록스위치(10)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0)로 리턴된다(S30)(S50). 그리고 도어록스위치(10) 상태가 언록일 경우에는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S60)(S7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자가 열쇠를 삽입한 채로 도어를 잠글경우 자동으로 경보하기 때문에 열쇠를 차안에 두고 내리는 경우가 없어 도어가 잠겨 강제적으로 열기 위한 시간적이나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잠금장치의 자동화로 인한 자동차의 상품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도어록스위치(10)에 의해 도어를 잠글경우 제어부(20)에서 이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록어셈블리(40)를 고정시켜 도어를 잠그는 자동차의 도어장금장치에 있어서;
    운전석에 운전자가 있는지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센서(50)와;
    키실린더에 열쇠가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키스위치(60)와;
    상기 키스위치(60) 값과 상기 물체감지센서(50)의 값과 상기 도어록스위치(10) 값을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20)의 판단에 따라 경고하는 경고부(7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50)은
    빛을 발하는 발광부(502)와,
    상기 발광부(502)에서 발한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504)와,
    상기 수광부(504)의 값을 증폭하는 증폭기(50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KR2019960049726U 1996-12-16 1996-12-16 자동차의 도어잠금 장치 KR200146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726U KR200146832Y1 (ko) 1996-12-16 1996-12-16 자동차의 도어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726U KR200146832Y1 (ko) 1996-12-16 1996-12-16 자동차의 도어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715U KR19980036715U (ko) 1998-09-15
KR200146832Y1 true KR200146832Y1 (ko) 1999-06-15

Family

ID=1947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726U KR200146832Y1 (ko) 1996-12-16 1996-12-16 자동차의 도어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8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15B1 (ko) * 2001-07-12 2003-12-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ic 카드를 차량내부에 두고 내렸을시 도어언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715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7922A (en)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remote systems control
US6857496B2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with anti-steer security device
EP1542888B1 (en) Motor vehicle immobilizer with key-in warning responsive to ignition state
KR200146832Y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 장치
EP0901112B1 (en) Display system for burglary-preventing device
KR200146831Y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KR200151523Y1 (ko) 도어 오픈시 주행 금지장치
KR19980047757U (ko) 자동차 파워도어로크장치의 동작제어장치
KR19980045029U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KR100368326B1 (ko) 차량의 도어 언록킹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85188A (ko) 차량의 도어잠금장치
JPH051572Y2 (ko)
KR19980076336A (ko) 도어 자동 잠금장치의 작동방법
KR20010111763A (ko) 차량의 도어 록킹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732974A (ja) 自動車盗難防止装置
KR20060008406A (ko) 차량의 도어 락 시스템
KR19980054977A (ko) 도어 잠금 방지 장치
KR20010009294A (ko) 차량의 도어 록킹 해제 장치
KR100195039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20000039350A (ko) 도어로크 어셈블리의 손상 방지 장치
KR20000014295A (ko) 차량의 도어 로크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35173A (ko) 차량의 도어 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29454U (ko) 자동차의 도어록 장치
KR19980069333A (ko) 핸들 로킹 금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256574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