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82Y1 - 휴즈박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즈박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82Y1
KR200146782Y1 KR2019960026499U KR19960026499U KR200146782Y1 KR 200146782 Y1 KR200146782 Y1 KR 200146782Y1 KR 2019960026499 U KR2019960026499 U KR 2019960026499U KR 19960026499 U KR19960026499 U KR 19960026499U KR 200146782 Y1 KR200146782 Y1 KR 200146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case
opening
fus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2910U (ko
Inventor
주길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26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82Y1/ko
Publication of KR19980012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즈박스 개폐장치(10)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폐장치(10)는, 케이스(14); 상기 케이스(14)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케이스(14)의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일단부에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는 케이스(14)의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아암(16); 및 상기 걸림돌기(24)가 차체의 소정부위에 체결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상기 아암(16)을 압압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즈박스 개폐장치
본 고안은 휴즈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휴즈박스를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을 개선하게 되는 휴즈박스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fuse box)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즈는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제조되어 전기회로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면 녹아 끊어져 회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휴즈는 회로중에 직렬로 설치되어 전선이 타거나 부하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휴즈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두개의 터미널이 제공되며, 각각의 터미널은 융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휴즈집게는 180°회전된 U자의 형상을 취하게 되고, 휴즈집게의 양단부 내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휴즈박스에 꽂혀진 휴즈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즈집게의 걸림돌기를 휴즈의 걸림턱에 계합시킨 후 휴즈집게를 잡아당김으로써 휴즈는 휴즈박스로 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휴즈박스는 카울 사이드 트림에 설치되는데, 선행기술에 있어서 휴즈박스를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전체 커버를 들어내어야만 하였거나 또는 커버와 박스의 체결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휴즈박스의 개폐구조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즈박스가가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을 개선하게 되는 휴즈박스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카울 사이드 트림에 설치된 휴즈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휴즈박스 개폐장치를 독립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휴즈박스 개폐장치의 세부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 1 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즈박스 개폐장치, 12 : 카울 사이드 트림, 14 : 케이스, 16 : 아암, 18 : 축, 20 : 스프링, 22 : 핀부분, 24 : 걸림돌기, 26 : 너브
본 고안에 따라, 휴즈박스 개폐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개폐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케이스의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일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는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아암; 및 상기 걸림돌기가 차체의 소정부위에 체결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상기 아암을 압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아암 부위를 잡고 일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차체의 소정부위로 부터 걸림돌기가 이탈되어 휴즈박스를 열 수 있게 되고, 상기 아암 부위를 놓고 케이스를 밀어넣으면 휴즈박스가 닫혀질 수 있게 되므로, 휴즈박스가가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개선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를 참조하면, 카울 사이드 트림에 설치된 휴즈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휴즈박스 개폐장치를 독립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휴즈박스 개폐장치의 세부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 1 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즈박스 개폐장치(10)는 카울 사이드 트림(12)에 형성되는 휴즈박스를 개폐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개폐장치(10)는 켸이스(14)를 포함한다. 케이스(14)의 내부에는 아암(16)이 축(18)에 의해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아암(16)은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그 양단부가 수직상하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형상을 취하게 된다. 상기 축(18)의 둘레에는 스프링(20)이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20)의 일단부는 상기 아암(16)에 대해 안착되고, 다른 일단부는 케이스(14)에 돌출적으로 형성되는 핀부분(22)에 대해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20)은 상기 아암(16)을 시계방향으로 압압하게 된다.
상기 아암(16)의 하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은 상기 케이스(14)의 하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그 하단부에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4)가 카울 사이드 트림(12)의 부분에 대해 체결되므로써 휴즈박스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아암(16)의 상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은 상기 케이스(14)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그 상단부에는 너브(26)가 끼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너브(26)를 일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카울 사이드 트림(12)으로 부터 걸림돌기(24)가 이탈되어 휴즈박스를 열 수 있게 되며, 너브(26)를 놓고 케이스(14)를 밀어넣으면 휴즈박스가 닫혀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휴즈박스가가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개선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휴즈박스 개폐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케이스의 하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일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는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아암; 및 상기 걸림돌기가 차체의 소정부위에 체결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상기 아암을 압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박스 개폐장치.
KR2019960026499U 1996-08-29 1996-08-29 휴즈박스 개폐장치 KR200146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499U KR200146782Y1 (ko) 1996-08-29 1996-08-29 휴즈박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499U KR200146782Y1 (ko) 1996-08-29 1996-08-29 휴즈박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910U KR19980012910U (ko) 1998-06-05
KR200146782Y1 true KR200146782Y1 (ko) 1999-06-15

Family

ID=1946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499U KR200146782Y1 (ko) 1996-08-29 1996-08-29 휴즈박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692B1 (ko) * 2004-11-12 2011-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퓨즈 박스 리드 잠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910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413A (en) Fuse box
KR0137664B1 (ko) 축전지 전극포스트용 클램프
US6013885A (en) Rocker switch with lamp module
US4679884A (en) Fused electrical plug
JPH01286270A (ja) 導体接続装置
KR850004874A (ko) 전기 회로 차단기
KR200146782Y1 (ko) 휴즈박스 개폐장치
KR860009457A (ko) 전기회로 차단기
BE1000325A6 (fr) Cache de protection pour bornes de raccordement d'appareils d'installation.
JP4110437B2 (ja) 開閉器の端子装置
KR920010695A (ko) 반발형 회로차단기의 제어장치
JP3262979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用カバーの保持構造
JP4023238B2 (ja) ヒューズボックス
KR200247037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터미널 유동방지구조
KR920002550Y1 (ko) 휴즈자동개폐로기
JPH0741948U (ja) ヒューズホルダー
JPH0644034Y2 (ja) 端子装置
KR0136803Y1 (ko) 안전용 콘센트
JPH019091Y2 (ko)
JPH0715088Y2 (ja) 回路しや断器
KR100372454B1 (ko) 트렁크 룸 램프 스위치의 구조
KR200173819Y1 (ko) 커넥터의 퓨즈설치구조
KR200325605Y1 (ko) 전선 접속단자용 보호구
JP3659610B2 (ja) 引出型回路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KR200323572Y1 (ko) 진공 청소기용 도어의 배선 커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