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309Y1 - 분묘용 수지석물 세트 - Google Patents

분묘용 수지석물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309Y1
KR200145309Y1 KR2019960067959U KR19960067959U KR200145309Y1 KR 200145309 Y1 KR200145309 Y1 KR 200145309Y1 KR 2019960067959 U KR2019960067959 U KR 2019960067959U KR 19960067959 U KR19960067959 U KR 19960067959U KR 200145309 Y1 KR200145309 Y1 KR 200145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resin
assembled
photograph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762U (ko
Inventor
유인형
Original Assignee
유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형 filed Critical 유인형
Priority to KR2019960067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30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분묘 주변에 설치되는 석물로서 조립식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폐수지재활용 및 환경보호를 도모하게 하는 분묘용 수지석물에 관한 것으로서, 분묘용 석물을 구성하는데 있어 비석본체와, 상기 비석본체가 고정수단으로 조립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로드를 가진 수지비석물과; 상석본체에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실을 형성하고, 상기 상석본체 저면 사방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부를 가진 받침구에 의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수지상석물과; 사진편부와 지면에 매립되는 매립편부를 형성하고, 상기 사진판부의 사진홈부에 삽입되는 코팅된 사진을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외곽체로 형성되는 수지사진석물과; 둘레석물체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조립되고, 상기 둘레석물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테두리석물체로 형성되는 수지둘레석물이 수지제로 구성되도록 한것으로서, 저렴하게 보급하면서도 석재로 된 석물을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서 석재 채취에 따른 산림환경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묘용 수지석물(樹脂石物)세트 (RESINOID STONE SET FOR A GRAVE)
본 고안은 분묘 주변에 설치되는 석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식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폐수지 재활용 및 환경보호를 도모하게 하는 분묘용 수지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묘 주변에는 비석이나 상석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석물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석물들은 이미 알려진바와 같이 석재를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서 상당한 고가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므로 분묘 주변에 석물을 설치하는데는 많은 설치 비용이 들어가므로 하나의 낭비 요소로 지적되고 있으며, 경우에 있어서는 고가품이기 때문에 석물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분묘용석물은 석재로 만드는 것이므로 상기 석재를 채취하기 위하여 산림을 훼손하여야 하기 때문에 환경을 훼손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분묘용석물은 실제로 실생활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아니고 다만 고인에 대한 하나의 장례적 요소에 지나지 아니한데도 불구하고 석재 채취에 따른 환경훼손을 하면서까지도 석재로 만든 석물을 설치하는 것은 상당한 문제점과 낭비를 초래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상당량의 석재가 채취되어 석물로 가공되고 분묘 주변에 설치되고 있으며, 그것은 문화적 장례예식 또는 체면 등에 의해 분묘용 석물을 앞다투어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상당한 손실과 석재 채취에 의한 환경 훼손이 따르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석재 채취에 따른 환경 훼손을 방지하게 하면서도 분묘용 석물을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동시에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수지석물이 제공된다. 상기 수지석물은 수지비석물과 수지상석물, 그리고 수지사진석물 및 수지둘레석물 등을 모두 포함하여 통칭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분묘용석물로서, 비석본체와 상기 비석본체와 조립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조립되고 지면에 매립되는 지지로드를 가진 수지비석물과; 상석판과 받침구가 조립되고 상기 상석판 내부에 제례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실을 가진 수지상석물과; 코팅된 고인사진을 장착 및 교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지사진석물과; 결합수단에 의해 다수가 결합되는 둘레부재물과 상기 테두리부재물 위로 조립되는 테두리부재물로 형성된 수지둘레석물로 구성되는 분묘용 수지석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되는 여러 가지의 분묘용 수지석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석물의 하나인 수지비석물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보인 수지비석물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상석물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보인 수지상석물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지사진석물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보인 수지사진석물의 일측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지둘레석물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의한 수지사진석물의 조립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C - C'선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D - D'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지비석물11 : 비석본체
12 : 받침대13 : 지지로드
14 : 걸림홈부16 : 고정볼트
18 : 커버20 : 수지상석물
21 : 상석본체22 : 받침구
23 : 도어24 : 보관실
28 : 결합돌기29 : 결합홈부
30 : 수지사진석물31 : 사진홈부
32 : 사진판부33 : 매립판부
34 : 경계판부40 : 수지둘레석물
41 : 둘레석물체42 : 테두리석물체
이하, 본고안에 따른 분묘용 수지석물을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지석물을 보인 것으로서, 상기 수지석물은 분묘(1) 앞쪽의 일측에 주로 설치되는 수지비석물(10)과, 상기 수지비석물(10)의 좌측 및 분묘(1)로부터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수지상석물(20), 그리고 상기 수지비석물(10) 옆에 주로 설치되는 수지사진석물(30) 및 상기 분묘(1)의 지반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둘레석물(40)을 포함하여 통칭하는 것이며, 이러한 수지석물은 모두 합성수지제로서 조립될 수 있도록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지물로서 조립될 수 있도록 고안된 본고안에 의한 수지비석물(10)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지비석물(10)은 크게 구분하여 비석본체(11)와, 상기 비석본체(11)를 지지하는 받침대(12)와, 상기 받침대(12) 하부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지지로드(13)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본체(11)는 하부에 걸림홈부(14)를 형성하고, 받침대(12)는 상기 비석본체(11)가 삽입되는 결합공(15)을 형성한다.
또한, 받침대(12)의 사방 외면부에는 고정볼트(16)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17)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17)은 고정볼트(16) 체결후에 커버(18)로 가려지도록 되어 있으며, 받침대(12) 저면부 사방에는 지지로드(13)가 나사부(13a)에 의해 각각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상기한 수지비석물(10)의 조립 및 설치상태를 보여 준다. 즉 받침대(12)의 결합공(15)으로 삽입되는 비석본체(11)는 받침턱부(19)에 걸립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체결공(17)으로 체결되는 고정볼트(16)의 끝단부가 걸림홈부(14)에 걸림되면서 가압하므로 비석본체(11)는 받침대(12)와 견고한 조립이 되고 상기 받침대(12) 하부에 결착되도록 고정된 지지로드(13)는 지면(s)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면서 이때 받침대(12)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비석본체(11)에 새겨지는 글씨는 글씨파는 기계로 별도로 새긴 다음 받침대(12)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며, 고정볼트(16)가 체결되는 체결공(17)은 커버(18)로 가려지므로 수지비석물(10)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로드(13)는 지면(s) 깊숙히 매립되므로 수지비석물(10)의 흔들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견고한 설치를 도모하게 하며, 비석본체(11)가 받침대(12)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가령 나중에 합장하므로서 비석본체(11)의 글씨를 다시 새겨 넣을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 비석본체(11)만을 교체하면 된다.
하나의 수지석물세트를 이루는 수지상석물(20)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수지상석물(20)은 상석본체(21)와 이것을 받치는 수개(4개)의 받침구(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석본체(21)는 내부에 보관실(24)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도어(23)에 의해 개폐되는 입구(24a)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어(23)는 경첩(25)으로 상석본체(21)와 연결되고, 도 7에 상세히 보인바와 같이 도어(23)를 열수 있게 하는 개문용홈부(26)를 형성하고, 상기 개문용홈부(26)에 핀이나 젓가락등과 같은 것을 집어 넣고 당김으로써 도어(23)를 열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23)의 단부에는 약간 돌출되는 열림방지용돌출부(27)를 형성하게하여 도어(23)를 닫을때에 억지적으로 끼워지므로서 임의적으로 도어(23)를 열지 않는한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석본체(21) 하부에는 결합돌기(28)가 사방에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받침구(22)에는 상기 결합돌기(28)가 삽입되는 결합홈부(29)가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구(22) 하부에는 지면(s)으로 파묻히는 이탈방지돌턱부(22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수지상석물(20)의 설치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상석본체(21)의 하부에 있는 결합돌기(28)가 받침구(22)의 결합홈부(29)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구(22)의 이탈방지돌턱부(22a)는 지면(s)에 파묻히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크기 및 부피가 커서 하중이 나가는 상석본체(21)의 무게가 받침구(22)에 실리게 되므로서 제자리 이탈이 없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석본체(21)의 보관실(24)에는 각종 제기용품(p)이나 오프너 등을 보관하므로서 필요시에 인출하여 요긴하게 쓸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8과 도 9는 하나의 수지석물세트를 구성하는 수지사진석물(30)을 나타낸 것이다. 이 수지사진석물(30)은 그다지 설치되지 않는 것이나 본고안이 실현됨에 따라 많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지사진석물(30)은 전면부에 사진홈부(31)를 형성하는 사진판부(32)와, 상기 사진판부(32) 하부에 형성되는 매립판부(33)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사진판부(32)와 매립판부(33) 사이에는 경계편부(3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사진판부(32)의 사진홈부(31)에는 라미네이팅방식으로 코팅된 사진(35)이 삽입되며, 그 외측으로는 상기 사진(3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외곽테(36)가 억지끼움되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상기 수지사진석물(30)의 설치상태를 보인 것이다. 수지사진석물(30)은 매립판부(33)가 지면(s)에 파묻히도록 설치되며, 이때 경계편부(34)는 사진판부(32)가 지면(s) 속으로 파묻히거나 더 깊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사진(35)을 교체할때는 상기 이탈방지용 외곽테(36)를 강제로 분리하고 사진(35)을 교체하면 되고, 아울러서 상기 사진(35)은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 등에 의해 젖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수지석물로서 분묘의 흙이 흘러 내리것을 방지하게 하는 수지둘레석물(40)이 있으며, 도 10 내지 도 13은 본고안에 따른 수지둘레석물을 보인 것이다.
상기 수지둘레석물(40)은, 낱개로 된 둘레석물체(41)와 테두리석물체(42)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둘레석물체(41)는 그 일측부에 결합돌부(43)를 형성하고, 반대측에는 상기 결합돌부(43)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부(44)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결합돌부(43)와 결합홈부(44)는 그 형태가 Ω 형태를 이루므로서 상호 결합된 후에는 옆방향으로는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테두리석물체(42)는 상기 둘레석물체(41)가 끼워지는 끼움홈부(45)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둘레석물체(41)는 도 12와 같이 일측의 결합홈부(44)에 다른 들레석물체(41)의 결합돌부(43)가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계속 연결되는 조립이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조립된 둘레석물체(41)들은 도 13의 도시와 같이 분묘(1)의 둘레에 약 1/3이 지면(s)에 파묻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둘레석물체(41) 위로는 끼움홈부(45)에 둘레석물체(41)가 끼워지도록 테두리석물체(42)가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설치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수지비석물(10), 수지상석물(20) 및 수지사진석물(30)을 비롯한 수지둘레석물(40)들은 그들의 명칭에서도 나타난바와 같이 합성수지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지석물들은 그 모두가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서, 예컨데 분묘를 이장하거나 합장할시에 분리시켜 이동하기가 편리하고 다시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수지제로 형성되어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석물 역할을 충분히 수행함과 더불어서 제례용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 기능도 추가로 가질 수 있는 동시에 이장시 분해하여 이동이 간편한 보다 효율적인 분묘용 수지석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지제의 수지석물세트를 보급하게 되므로 재활용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를 할 수 있게 되며, 그에따라 석물을 만들기 위한 석재 채취를 그만큼하지 않아도 되므로 석재 채취에 따른 산림 환경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분묘용 석물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비석본체와, 상기 비석본체가 고정수단으로 조립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로드를 가진 수지비석물과;
    상석본체에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보관실을 형성하고, 상기 상석본체 저면 사방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부를 가진 받침구에 의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수지상석물과;
    사진편부와 지면에 매립되는 매립편부를 형성하고, 상기 사진판부의 사진홈부에 삽입되는 코팅된 사진을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외곽체로 형성되는 수지사진석물과;
    둘레석물체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조립되고, 상기 둘레석물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테두리석물체로 형성되는 수지둘레석물이 수지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묘용 수지석물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비석물의 고정수단이, 상기 받침대 사방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받침대 결합공으로 결합된 비석본체의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고정이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묘용 수지석물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상석물의 받침구 하부에 이탈방지돌턱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묘용 수지석물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사진석물의 사진판부와 매립판부 사이에 경계편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묘용 수지석물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둘레석물의 둘레석물체 결합수단이, 상기 둘레석물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돌부와 결합홈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테두리석물체에는 끼움홈부를 형성하여 조립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묘용 수지석물세트.
KR2019960067959U 1996-12-31 1996-12-31 분묘용 수지석물 세트 KR200145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959U KR200145309Y1 (ko) 1996-12-31 1996-12-31 분묘용 수지석물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959U KR200145309Y1 (ko) 1996-12-31 1996-12-31 분묘용 수지석물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762U KR19980054762U (ko) 1998-10-07
KR200145309Y1 true KR200145309Y1 (ko) 1999-06-15

Family

ID=1948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959U KR200145309Y1 (ko) 1996-12-31 1996-12-31 분묘용 수지석물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3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482B1 (ko) * 2015-11-16 2016-09-05 윤원중 자연장지용 분골 매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762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220B2 (en) Single piece post cladding element, method of cladding a post and method of forming a cladding element
US6088955A (en) Memorial having built-in receptacle
US6401411B1 (en) Post base
KR200145309Y1 (ko) 분묘용 수지석물 세트
JPH05151804A (ja) ソーラー灯の台座
US7181815B2 (en) Grave site cover
USD342322S (en) Coping member for above-ground swimming pool
KR100292947B1 (ko) 조립식 납골함단
KR100342182B1 (ko) 납골함단의 구조
US12077976B2 (en) Monument cap device comprising a circular lid and an adhering structure
US20020020011A1 (en) Portable, strong and light weight pool/spa element
KR200243313Y1 (ko) 납골묘
KR200234856Y1 (ko) 납골함단
KR200238394Y1 (ko) 납골함 보관구조
JP3128630U (ja) カロートを備えた供養塔
CA1066985A (en) Cold frame
US3383787A (en) Marker construction for use in lawn areas
KR200214924Y1 (ko) 납골탑
KR100260710B1 (ko) 개별 콘크리트 주조 납골함
KR200356530Y1 (ko) 조립식 가족용 다기 납골당
KR200326188Y1 (ko) 복수개의 유골함을 적층하기 용이한 납골묘
JP3449296B2 (ja) 墓前用花立の自動水抜き構造
KR20020039400A (ko)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JP2002115422A (ja) 墓石にカロートを一体化した耐震性カロート墓石及び、無縁化したカロート墓石をピラミッド状に配列した永代供養墓。
KR19990003953U (ko) 금속재질의 평판형 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