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124Y1 -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 Google Patents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124Y1
KR200145124Y1 KR2019950028665U KR19950028665U KR200145124Y1 KR 200145124 Y1 KR200145124 Y1 KR 200145124Y1 KR 2019950028665 U KR2019950028665 U KR 2019950028665U KR 19950028665 U KR19950028665 U KR 19950028665U KR 200145124 Y1 KR200145124 Y1 KR 200145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panel
unit
sign
road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341U (ko
Inventor
이주식
Original Assignee
이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식 filed Critical 이주식
Priority to KR2019950028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124Y1/ko
Publication of KR970019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3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124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도로의 안내용 반사표지판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반사체를 보호하고 반사체의 파손시 파손된 단위 반사체만 간단히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경제성을 향상 시키고자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패널(2)자체에 반사체(3)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요홈부(2a)를 형성하여 반사체(3)를 보호할수있도록 하였으며, 반사체(3)를 여러형상의 단위반사체(3a)로 구성하여 이들이 서로 대응결합되어 소정형상의 표시를 형성할 수 있도록하며, 설치사용중 어느일부의 반사체(3)가 파손되었을 경우 단위 반사체(3a)만 교환하므로서 경제성을 갖다록 하였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도로의 차량안전안내용, 토목공사구간, 장애물 혹은 위험장소의 안전용 표시판으로 사용됨

Description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a)내지 (c)는 본 고안의 반사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갈매기형 안내표지판의 예를 보인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반사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화살표형 안내표지판의 예를 보인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패널의 표시부분을 여백으로 두고 나머지 패널의 표면에 단위반사체를 부착시킨 상태의 정면도.
제6도는 종래 반사표지판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지판 2 : 패널
2a : 요홈부 3 : 반사체
3a : 여러형상의 단위반사체 5 : 접합부재
본 고안은 도로상에 있어서 곡선구간, 차선변화구간, 공사구간 장애물 혹은 위험장소등에 설치되어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을 안내하는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패널에 부착 설치되는 반사체를 소정형상의 단위체 예를들어 사각형 혹은 삼각형과 같은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이들을 적절히 조랍구성하여 형(이하 갈매기형이라함)혹은 ←(이하 화살표형이라함)의 안내표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표지판에 있어서, 패널에 요홈부를 형성하고 요홈부내에 단위체로된 반사체들이 부착되도록 하므로서 패널자체의 강성향성과 더불어 패널자체가 반사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 반사표지판(1)은 예로서 제6도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었다.
즉, 소정의 4각형상으로된 패널(2)의 표면에 반사체(3)를 부착시킨 구조로 되어있는데, 이 반사체(3)는 형광물질을 도포시킨 테이프형의 반사체(3)를 패널(2)에 접합시키거나 혹은 소정의 두께로된 경질의 반사체(3)를 접합시킨 것으로 이때 반사체(3)는 필요에따라 갈매기형 혹은 화살표형상으로 일단 절단하거나 성형한후 이들을 패널(2)측에 접합시켜 사용하여 왔던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된 종래에 표지판(1)은 패널(2)의 표면이 평면으로 되고 상기한 패널(2)의 표면위에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예로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반사체(3)의 손상의 쉽고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접착력이 떨어져 반사체가 떨어져나가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패널 자체도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강성이 저하되어 외부충격에 대응하는 힘이 미약하여 경제성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의 결함을 감안하여 반사체를 소정의 적절한 형상, 예로서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형, 평행사변형, 정삼각형, 직삼각형등 여러형상의 단위체로 된 반사체들을 적절히 조합 구성하여 소망하는 갈매기형표시 혹은 화살표형표시가 되도록 한 표지판에 있어서, 패널에 요홈부를 형성하여 이 요홈부내에 반사체들이 끼워넣어져 부착되도록 하므로서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요홈부에 의해 패널 자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종래구조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설명한다.
패널(2)는 반사체(3)가 부착되는 표면부에 표지판(1)의 용도에 적합한 표시의 형상으로 요홈부(2a)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요홈부(2a)의 길이는 반사체(3)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운데 요홈부(2a)는 예로서 패널(2)이 금속철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프레스가공시 미리 요홈부(2a)가 형성되도록 성형하고, 패널(2)이 합성수지재일 경우에는 사출성형시 요홈부(2a)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며, 상기한 요홈부(2a)내에 조각형상의 단위체들로 된 단위반사체(3a)를 소정의 형상으로 서로 맞춰 부착하여서 된다.
이때 패널(2)의 요홈부(2a)내에는 여러형상의 단위반사체(2a)들이 서로 둘레면이 맞닿아 접속 부착되는데 단위반사체(3a)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꼴형, 평행사변형, 정삼각형, 직각삼각형등으로 이루어져 사용할 때 적절히 조합사용되도록 된다. (제3도(a)(b)(c)도 및 제4도 참조)
한편 상기에서는 용도에 적합한 표시부분(예로서 갈매기형표시 혹은 화살표형표시부분을 뜻함)을 요홈부(2a)로 형성하여 그 요홈부(2a)내에 반사체(3)를 부착시킨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부분은 패널(2)자체가 되도록 그대로 남겨두고 그외의 부분(표시부분이외의 패널표면)에 단위반사체(3a)들을 조합부착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경우 반사체(3)의 설치 면적이 크기 때문에 보다 뚜렷하여 통행자의 안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은 표지판(1)이 부착되어 세워지는 지주봉이다.
먼저 본 고안의 표지판(1)을 제작할 때에는 패널(2)의 표면부에 소정의 용도에 적합한 형상 예로서 갈매기형 혹은 화살표형으로 요홈붐(2a)가 형성되도록 성형을 한 후 그 요홈부(2a)내에 적합한 형상으로된 단위반사체(3a)를 선택하여 접합부재(5)를 이용하여 모자이크식으로 부착시키면 된다.
이때는 제3도 (a)-(c),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용도에 적합한 각종형상의 표지판(1)을 적절히 구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3도 (a)내지 (c)도는 갈매기형 표지판(1)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제3도(a)는 정사각형의 단위반사체(3a)들과 정삼각형의 단위반사체(3a)를 조합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3도 (b) 및 (c)는 모양은 다르지만 평행사변형의 단위반사체(3a)를 조합시켜 반사체(3)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는 화살표형표지판(1)을 구성한 예로서 꼬리부분은 사각형의 단위반사체(3a)와 삼각형상의 단위반사체(3a)를 이용하여 화살표형표지판(1)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5도는 패널(2)의 표면부에 있어서 표시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사각 혹은 삼각형의 단위반사체(3a)를 조합시켜 갈매기형 표지판(1)을 구성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본원고안은 이와같이 패널 자체에 적절한 형상의 요홈붐(2a)를 형성하고 이 요홈부(2a)내에 각종 형상의 단위반사체(3a)들을 조합부착시켜 표지판(1)을 구성시킨 것으로 패널(2) 자체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외부충격을 받았을 때 쉽게 훼손되지 아니하며 동시에 요홈부(2a)내에 반사체(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반사체(3)의 파손 우려가 최소화될 뿐만아니라 반사체(3)의 부착력이 더욱 향상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반사체(3)를 조각형상의 단위반사체(3a)로 형성하여 패널(2)의 표면에 부착하여서된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에 있어서, 상기한 패널(2)에는 표지판(1)의 용도에 적합한 형상의 표시를 요홈부(2a)로 구성하고, 상기한 요홈부(2a)내에 반사체(3)를 끼워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록안내용 반사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패널(2)은 용도에 적합한 형상의 표시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요홈부(2a)를 형성하여 상기 요홈부(2a)내에 반사체(3)를 부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KR2019950028665U 1995-10-13 1995-10-13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KR200145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665U KR200145124Y1 (ko) 1995-10-13 1995-10-13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665U KR200145124Y1 (ko) 1995-10-13 1995-10-13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341U KR970019341U (ko) 1997-05-26
KR200145124Y1 true KR200145124Y1 (ko) 1999-06-15

Family

ID=7085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665U KR200145124Y1 (ko) 1995-10-13 1995-10-13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1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341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0882A (en) Contrasting marker panel for highway guardrails and the like
US4428320A (en) Reflective paving marker
US4129397A (en) Road surface marking prefabricated tape material, having retroreflective composite elements associated thereto
DE59803500D1 (de) Kraftfahrzeug mit einem Navigationssystem
US6409368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US5974712A (en) Traffic sign
DE50012294D1 (de) Fahrzeugseitenblech mit aufprallweicher Aussenkante
KR200145124Y1 (ko)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US7040787B2 (en) Signaling device and a motor vehicle bodywork part fitted with such a device
US5419651A (en) Highway pavement marker
US5950992A (en) Guardrail reflector assembly
JP2006299661A (ja) 光再帰性反射標識物
KR0117410Y1 (ko) 도로안내용 반사표지판
JP2581399B2 (ja) 道路標識柱
JP3217556U (ja) 補修用反射部材
KR200346161Y1 (ko) 터널 경계석용 안전표지
KR100236776B1 (ko) 도로표지병
JPH08302626A (ja) 道路用視線誘導装置
US3771851A (en) Display assembly
KR200236504Y1 (ko) 도로의 교통안전표시용 사이드 포스터
KR0127832Y1 (ko) 도로안내용 반사판
JP3122842B2 (ja) 光反射体及び標識構造
JP4442731B1 (ja) 標示具
JPH09302631A (ja) 視線誘導標
JP2974566B2 (ja) 路面標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