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907Y1 - 강재용클램프 - Google Patents

강재용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907Y1
KR200144907Y1 KR2019950052783U KR19950052783U KR200144907Y1 KR 200144907 Y1 KR200144907 Y1 KR 200144907Y1 KR 2019950052783 U KR2019950052783 U KR 2019950052783U KR 19950052783 U KR19950052783 U KR 19950052783U KR 200144907 Y1 KR200144907 Y1 KR 200144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olt
steel
fixing
steel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2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036U (ko
Inventor
하상기
Original Assignee
하상기
대원통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기, 대원통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상기
Priority to KR2019950052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907Y1/ko
Publication of KR970042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0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907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선소와 건설 현장에서 각종 강재를 물어서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강재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용 클램프의 걸림고리가 구비되어있는 후크부가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강재를 들어 올리기 위해 걸림고리에 연결된 와이어가 꼬지 않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과 안정성을 높인 강재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ㄷ 자형 본체(3) 상하에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볼트(6)와 고정볼트를 회전시켜 조우(65)간격을 조정하는 조임핸들(51)을 갖는 조임볼트(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에는 걸림고리(7)가 장착되는 후크(4)가 360도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이 후크 상하에는 와셔(8, 8')가 삽입 장착되며, 상기 와셔(8) 위에는 고정너트(9)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너트와 고정볼트를 관통시켜 고정시키는 고정핀(91)이 끼워져 된 것이다.

Description

강재용 클램프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용 클램프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용 클램프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용 클램프의 후크부분의 상세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강재용 클램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재용 클램프 3 : 본체
4 : 후크 5 : 조임볼트
6 : 볼트 7 : 걸림고리
8,8' : 와셔 9 : 고정너트
88, 88' : 슬리브
본 고안은 조선소와 건설 현장에서 각종 강재를 물어서 들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강재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되는 후크를 구비하고 있어, 강재를 클램프에 물어서 들어 올릴 때 걸림고리에 연결된 와이어가 강재의 병형 방향에 따라 꼬이지 않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강재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강재용 클램프는 무거운 하중을 지닌 강재를 클램프의 조우에 물어 고정하여 작업이 필요한 장소로 들어 올려 이동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강재용 클램프의 종래의 일예를 도시한 제4도를 보면, 통상의 강재용 클램프(10)에서 리프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40)의 끝이 강재용 클램프(10)의 걸림고리(20)에 묶여 고정되고, 들어 올리고자하는 강재(50)가 조우(31)에 물리게 된다. 상기 강재용 클램프(10)는 강재(50)가 물리는 조우(31)와 이 조우가 본체(30)에 고정되는 핀(60)과 걸림고리(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강재용 클램프(10)에 있어서, 강재(50)가 물린 상태에서 조우(31)가 물체의 중력 방향과 일치하는 수직 방향으로 장시간 있거나,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조우(31)의 무는 힘이 약해 지거나, 조우(31)의 티쓰 부분이 마모되어 클램프에 물려 있던 강재가 낙하되어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또 강재(50)를 물어서 들어 올릴때에는 상기 걸림고리(20)에 와이어(40)를 걸어 들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고리(20) 부분이 본체(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 등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는 강재가 흔들리고, 방향이 뒤틀어질 경우 상기 걸림고리(20)와 리프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가 꼬이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40)가 꼬일 경우에 와이어는 강한 비틀림력을 받아 와이어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강재를 안정되게 고정하여 물어 들어 올릴 수 있고, 또 강재가 물린 상태에서 바람의 영향 등으로 강재가 흔들려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방위로 회전이 가능한 후크수단을 제공하여 클램프에 비틀림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클램프의 수명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ㄷ자형 본체의 상부에는 하단부에 티쓰를 갖고 본체의 상부 중심을 관통하여 구비된 볼트와, 상기 볼트에 장착된 걸림고리를 갖는 후크와, 일단에는 와셔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크에 삽입된 한 쌍의 슬리브와, 상기 와셔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크를 단속하는 고정너트와, 상기 볼트에 형성된 핀홀을 거쳐서 너트를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조우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임핸들을 갖는 조임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강재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용 클램프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용 클램프의 후크부분의 상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부호1은 강재용 클램프이고, 3은 클램프 본체이고, 4는 걸림고리(7)를 갖는 후크이고, 5는 강재를 조이는 조임볼트이고, 6은 본체 상부(3-1)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이다.
본 고안인 강재용 클램프는 본체(3)를 ㄷ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3)의 상부(3-1)에는, 하단부에 티쓰(66)를 갖고 본체(3)의 상부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6)를 구비하고 있다.
일단에 와셔(8, 8')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돌기(61, 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슬리브(88, 88')가 설치된 후크(4)가 볼트(6)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슬리브(88, 88')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61, 61')는 후크(4)의 내홈(41)에 맞물려 있어 후크(4)가 안정되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88, 8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와셔(8)의 상부에는 후크(4)를 단속하는 고정너트(9)가 나삽되고, 상기 볼트(6)에 형성된 핀홀을 거쳐서 상기 고정너트(9)를 고정하는 고정핀(9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의 하부에는 조우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임핸들(51)을 갖는 조임볼트(5)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한 볼트(6)의 티쓰(66)와 조임볼트(5) 사이에 강재를 물어서 들어 올리게 된다.
또 슬리브(88, 8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와셔(8, 8')는 상기한 볼트(6)를 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후크(4)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본체 상부(3-1)와 후크(4) 사이 및 후크(4)와 고정너트(9)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88, 88') 자체는 후크(4)와 볼트(6) 사이의 회동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6)의 단부 고정너트(9)에 나삽되는 강재등이 걸림고리(7)에 걸리 상태에서 후크(4)가 회동할 때 볼트(6)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하면서 상기 볼트(6)에 걸리는 하중을 분담하기 위해서 볼트의 핀홀을 거쳐서 고정핀(91)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강재용 클램프(1)에서는 상기 볼트(6)를 축으로 하여 후크(4)가 어느 방향으로든지 안정되게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강재용 클램프의 조립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미리 성형된 ㄷ자상 본체(3)의 상부(3-1)에 티쓰를 갖는 볼트(6)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 설치한 후, 하부(3-2)에는 조임핸들(51)을 갖는 조임 볼트(5)를 역시 아래에서 위로 나삽한다. 그 다음 와셔(8, 8')가 일체로 형성된 슬리브(88, 88')가 삽입되어 있는 후크(4)를 상기 볼트(6)에 삽입한 후에, 고정너트(9)로 조이고, 볼트(6)에 형성되어 있는 핀홀에 고정핀(91)을 삽입함으로서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후크(4)는 와셔(8 8')가 일체로 형성되고 돌기(61, 61')를 갖는 슬리브(88, 88')를 미리 후크(4) 안쪽에 밀어 넣은후 프레스(도시안함)로 가압 절곡하고, 걸림고리(7)를 끼워 하나의 단위 후크(4)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과 조립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본 고안은 리프터의 와이어가 상기 후크(4)에 장착된 걸림고리(7)에 연결된 상태에서 클램프의 조우(65)에 강재를 끼우고 조임볼트(5) 하단에 구비된 조임 핸들(51)을 돌려 물리고, 리프터의 동력으로 상기 강재용 클램프를 들어 올려 강재를 작업이 필요한 곳으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강재가 들어 올려지면서 강재의 방향이 바람등의 영향으로 바뀔 때에는 그 힘이 걸림고리(7)를 통하여 후크(4)로 전달되면 후크의 방향이 와이어가 꼬임을 해제시키는 쪽으로 볼트(6)를 중심으로 후크(4)가 회전하여 와이어에 걸린 비틀림력이 풀리도록 한다.
즉 상기 슬리브(88, 88')의 돌기(61, 61')가 후크(4)의 내홈(41)에 걸려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어 안정되게 어느 방향으로든지 후크(4)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4)의 상하에 슬리브(88, 88')와 일체로 구비된 상하부 와셔(8, 8')는 후크의 회전되면서 받는 회전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고정 너트(9)와 고정핀(91)은 후크(4)에 과도한 외력이 걸려 볼트(6)에 전달될 경우에, 볼트(6)가 본체(3)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조선소와 건설 현장에서 각종 강재를 물어서 들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강재용 클램프로서 강재를 클램프에 물어 들어 올릴 때 걸림고리에 연결된 와이어가 강재의 방향 변경에 따라 꼬이지 않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제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ㄷ자형 본체(3)의 상부(3-1) 중심을 관통하여 구비된 티쓰(66)를 갖는 볼트(6)와, 상기 볼트(6)에 삽입 설치되어 회동하는 후크(4)와, 일단에는 와셔(8, 8')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돌기(61, 6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크(4)에 미리 삽입되는 한 쌍의 슬리브(88, 88')와, 상기 후크(4)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는 걸림고리(7)와, 상기 와셔(8)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크(4)를 단속하는 고정너트(9)와, 상기볼트(6)에 형성된 핀홀을 거쳐서 고정너트(9)를 고정하는 고정핀(91)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3)의 하부(3-2)에는 조우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임핸들(51)을 갖는 조임볼트(5)를 삽입 구성하여 된 것이 특징인 강재용 클램프.
KR2019950052783U 1995-12-29 1995-12-29 강재용클램프 KR200144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783U KR200144907Y1 (ko) 1995-12-29 1995-12-29 강재용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783U KR200144907Y1 (ko) 1995-12-29 1995-12-29 강재용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36U KR970042036U (ko) 1997-07-29
KR200144907Y1 true KR200144907Y1 (ko) 1999-06-15

Family

ID=6088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2783U KR200144907Y1 (ko) 1995-12-29 1995-12-29 강재용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9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17Y1 (ko) * 2012-03-16 2014-07-11 유종훈 밸브의 화재안전 테스트기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036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5814A (en) Wedge socket
US5427469A (en) Cable restraining device
JPH07217630A (ja) アイボルト
KR200144907Y1 (ko) 강재용클램프
US2450358A (en) Line tightener and fastener
JPH0442318Y2 (ko)
US5228657A (en) Guy wire suspension apparatus
JP2001253679A (ja) 安全装置付きフック
JPH0412725Y2 (ko)
KR890001523Y1 (ko) 전선 바이스
JP2587555Y2 (ja) ステップボルト用フック
JP2600071Y2 (ja) シノ付早廻しラチェットレンチ
JP7186435B2 (ja) 穴吊りクランプ
CN217029816U (zh) 一种端封式索具扣件
US2194679A (en) Self-locking clothesline pulley
KR200269629Y1 (ko) 핸드윈치용 설치와이어의 권취 장치
JPH0515636Y2 (ko)
JPH0347381Y2 (ko)
JPH04289711A (ja) 架線工法
SU1169926A1 (ru) Разъемна скоба дл креплени стропа
JPS6169688A (ja) 荷物つり上げ手段
JP2728788B2 (ja) 延線兼緊線用連結具本体
EP0655412A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Betonfertigteiles mit einem Hebezeug
JPS6026057Y2 (ja) ワイヤ−ロ−プ弛み止め治具
JP2526532Y2 (ja) 鉄骨を挟着する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