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585Y1 -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585Y1
KR200144585Y1 KR2019960058763U KR19960058763U KR200144585Y1 KR 200144585 Y1 KR200144585 Y1 KR 200144585Y1 KR 2019960058763 U KR2019960058763 U KR 2019960058763U KR 19960058763 U KR19960058763 U KR 19960058763U KR 200144585 Y1 KR200144585 Y1 KR 200144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egr pip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621U (ko
Inventor
김효경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8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585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6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585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연기관의 배기행정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포트(도시생략)의 일측으로 연통된 플랜지(30)의 관통공(40)에 장착된 EGR파이프(50)에 있어서, 상기 EGR파이프(50)의 일단에 나팔형상의 차단벽(70)을 원주둘레에 형성하고, 상기 차단벽(70)의 상하면에는 열전달의 차단효과가 좋은 세라믹재질의 가스켓(80)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30)의 관통공(40) 하단에는 상기 EGR파이프(5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연장홈(60)을 구성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재순환시 이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흡기다기관의 플랜지부에 발생되는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본 고안은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해 흡기다기관의 재질을 알루미늄재질에서 플라스틱재질로 대체함에 따라 배기가스의 재순환시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하여 흡기다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EGR파이프를 형성하여 주므로써 배기가스의 재순환시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흡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는 배기가스중의 일부를 흡기다기관으로 보내 혼합기와 함께 연소실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이는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NOx)의 저감대책으로서 널리 사용하는 방식이다.
즉, 질소산화물은 엔진의 온도가 높을 때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혼합기와 함께 연소시키면, 재공급된 배기가스가 더이상 연소작용을 할 수 없게 되어 연소온도를 낮추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질소산화물의 저감대책으로는 효과적이나, 혼합기의 착화성이 불량해지고 기관의 출력이 감소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게 되므로 공전시와 농후한 혼합기로 운전되는 전부하시에는 재순환을 시키지 않게 된다.
즉, 부분부하시의 비교적 희박한 혼합기 상태에서 주로 재순환을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첨부도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도시생략)를 통한 공기가 유입되는 서지탱크(20)와, 상기 서지탱크(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혼합기를 연소실로 보내주는 흡기다기관(10)과, 상기 흡기다기관(10)의 일단에 구비된 플랜지(30)와, 상기 플랜지(30)의 일측에 구비되며, 배기포트(도시생략)의 일측으로 연통된 관통공(40)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서지탱크(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장착된 EGR파이프(50)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배기행정시 배기포트(도시생략)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배기포트의 일측에 연통된 플랜지(30)의 관통공(40)을 통해 EGR파이프(50)로 유입되어 서지탱크(20)를 통해 흡기다기관(10)으로 보내져 새로운 혼합기와 함께 연소실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는 공기의 유동을 좋게 하고, 엔진을 경량화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알루미늄재질의 서지탱크와 흡기다기관을 플라스틱재질로 대체하고 있는 바, 배기가스의 재순환시 EGR파이프를 통한 고온의 배기가스가 서지탱크와 흡기다기관으로 유입될 시 이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상기 흡기다기관의 플랜지부위에 열전달이 이루어져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기가스의 재순환시 상기 EGR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흡기다기관의 플랜지부위로 이루어지는 열전달을 차단하여 주므로써 배기가스의 재순환시 흡기다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배기행정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포트의 일측으로 연통된 플랜지의 관통공에 장착된 EGR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EGR파이프의 일단에 나팔형상의 차단벽을 원주둘레에 형성하고, 상기 차단벽의 상하면에는 열전달의 차단효과가 좋은 세라믹재질의 가스켓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의 관통공 하단에는 상기 EGR파이프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연장홈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EGR파이프가 연결되는 흡기다기관의 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EGR파이프와 흡기다기관의 플랜지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흡기다기관 20: 서지탱크
30: 플랜지 40: 관통공
50: EGR파이프 60: 연장홈
70: 차단벽 80: 가스켓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EGR파이프와 흡기다기관의 플랜지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엔진의 배기행정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포트(도시생략)의 일측으로 연통된 플랜지(30)의 관통공(40)에 장착된 EGR파이프(50)에 있어서, 상기 EGR파이프(50)의 일단에 나팔형상의 차단벽(70)을 원주둘레에 형성하고, 상기 차단벽(70)의 상하면에는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가스켓(80)을 형성한다.
상기 가스켓(80)은 열전달의 차단효과가 좋은 세라믹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플랜지(30)의 관통공(40) 하단에는 상기 EGR파이프(5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연장홈(6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는 내연기관의 배기행정시 배기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플랜지(30)의 연장홈(60)에 삽입되어 고정된 EGR파이프(50)로 유입될 시 이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열전달을 EGR파이프(50)에 구비된 세라믹재질의 가스켓(80)과 나팔형상의 차단벽(70)으로 인해 흡기다기관(10)의 플랜지(30) 일측에 발생되는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는 상기 EGR파이프의 일단에 나팔형상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벽의 상하면에 가스켓을 형성하여 주므로써 배기가스의 재순환시 이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흡기다기관의 플랜지부에 발생되는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내연기관의 배기행정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포트(도시생략)의 일측으로 연통된 플랜지(30)의 관통공(40)에 장착된 EGR파이프(50)에 있어서, 상기 EGR파이프(50)의 일단에 나팔형상의 차단벽(70)을 원주둘레에 형성하고, 상기 차단벽(70)의 상하면에는 열전달의 차단효과가 좋은 세라믹재질의 가스켓(80)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30)의 관통공(40) 하단에는 상기 EGR파이프(5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연장홈(6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19960058763U 1996-12-27 1996-12-27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144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763U KR200144585Y1 (ko) 1996-12-27 1996-12-27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763U KR200144585Y1 (ko) 1996-12-27 1996-12-27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621U KR19980045621U (ko) 1998-09-25
KR200144585Y1 true KR200144585Y1 (ko) 1999-06-15

Family

ID=5399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763U KR200144585Y1 (ko) 1996-12-27 1996-12-27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5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42B1 (ko) 2007-10-08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42B1 (ko) 2007-10-08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621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626B1 (ko) 기통내분사형 불꽃점화식 내연기관의 실린더헤드
JPS6060010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5353752A (en)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10112287A (ko) 내연 열 엔진, 제어 시스템, 엔진의 치수 설정 방법, 및 이러한 엔진을 포함하는 자동차
US4050422A (en) Apparatus for supplying rich air/fuel mixtur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29075A (en) Combus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72134A (en) Apparatus for supplying rich air/fuel mixtur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44585Y1 (ko)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재순환 파이프의 연결구조
US4072136A (en) Apparatus for supplying rich air/fuel mixtur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01125804Y (zh) 内燃机废气再循环系统
US4029062A (e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34133U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燃焼室
JPH0335873Y2 (ko)
KR200157990Y1 (ko) 내연기관의 흡기구조
US4072135A (en) Apparatus for supplying a rich air/fuel mixtur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10460912U (zh) 一种配置egr分配管的带中冷器的进气歧管
KR100365113B1 (ko) 직접분사식가솔린기관의피스톤헤드형상구조
JPS60156931A (ja) 過給機付多気筒エンジンのインタ−ク−ラ配置構造
JP2000248940A (ja) 副燃焼室付きエンジン
JPH108970A (ja) 直接筒内噴射式火花点火機関
CA2339429A1 (en) Two-cycle engine head for use with direct fuel injection
KR100365114B1 (ko) 직접분사식가솔린기관의피스톤헤드형상구조
JPH04325723A (ja) 3気筒6サイクル水素エンジン
KR100309443B1 (ko) 내연기관의 흡기다기관 구조
KR100203103B1 (ko) 흡기포트의 역류 가스 배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