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801Y1 -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 Google Patents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801Y1
KR200143801Y1 KR2019960022307U KR19960022307U KR200143801Y1 KR 200143801 Y1 KR200143801 Y1 KR 200143801Y1 KR 2019960022307 U KR2019960022307 U KR 2019960022307U KR 19960022307 U KR19960022307 U KR 19960022307U KR 200143801 Y1 KR200143801 Y1 KR 200143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reading stand
reading
glove box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612U (ko
Inventor
강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2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801Y1/ko
Publication of KR980007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6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8Gas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관한 것으로,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부(2), 조수석 전방의 글로브 박스부(3) 및 상기 대시보드부(2)와 글로브 박스부(3) 사이의 중앙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1)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 박스부(3)의 상단 여유공간(10)에 정면 하부에 받침편(11a)이 부착된 독서대(11)를 장착하되, 그 독서대(11)의 하단이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의 표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14)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독서대(11)가 힌지(14) 연결된 인스트러먼트 패널(1)의 측부에는 상기 독서대(1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독서대(1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12)를 설치 고정하며, 상기 독서대의 배면과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 사이에는 상기 고정구(12) 작동시 상기 독서대(1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16)으로 설치된 구성으로, 이러한 인스트러먼트 패널(1)을 사용하면, 자동차의 주행중, 자동차가 심하게 진동하거나 쏠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조수석 승차자가 편안한 상태로 독서를 지속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본 고안은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Instrument Pane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조수석 전방의 글로브 박스(Glove Box) 윗부분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독서대를 장착하여 조수석 승차자의 독서시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석파 조수석의 전방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이 대부분이며 미터류나 스위치가 들어 있는 부분뿐만 아니라 오디오 시스템이나 에어컨 유닛등의 부착 장소도 포함해서 말하며, 패드로 감싸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제1도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러먼트 패널(1)은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부(2), 조수석 전방의 글로브 박스부(3) 및 상기 대시보드부(2)와 글로브 박스부(3) 사이의 중앙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시보드부(2)에는 자동차의 속도를 지시하는 스피드 미터, 엔진의 분당 회전수를 지시하는 타코미터,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의 잔존량을 지시하는 연료계 등의 각종 미터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글로브 박스부(3)는 자동차 실내 전방의 조수석 앞에 있는 잔 물건을 넣는 곳을 말한다. 운전석 전방에는 각종 미터류가 설치되어 있는 대시보드부(2)가 있지만,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는 작은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그것을 이용하여 글로브 박스부(3)를 형성한다. 상기 글로브 박스부(3)는 대체적으로 자물쇠를 구비하여 걸리게 되어 있고, 내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글로브 박스부(3)의 상단은 여유공간으로 비어 있으므로, 운전자에 따라, 휴지를 올려 놓거나 방향제를 설치하는 등 특별한 의미없이 사용된다.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의 중앙부(4)에는 오디오 시스템, 에어컨 유닛, 애시트레이, 시가 라이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수석 승차자는 자동차의 주행중 특히 할 일이 없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신문, 잡지 또는 각종 서적을 읽을 수도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중행중에는 자동차의 속도가 가속되는 경우도 있고, 급제동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자동차가 비포장 도로를 통과하거나 급코너 지역을 코너링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자동차가 심하게 진동하거나 쏠림현상이 발생하여 조수석 승차자는 편안한 상태로 독서를 지속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조수석 전방의 글로브 박스 윗부분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독서대를 장착하여 조수석 승차자의 독서중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스트러먼트 패널 3 : 글로브 박스부
11 : 독서대 11a : 받침편
12 : 고정구 13 : 하단
14 : 힌지 16 : 지지수단
이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되는 바, 본 고안에 따르면,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부, 조수석 전방의 글로브 박스부 및 상기 대시보드부와 글로브 박스부 사이의 중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 박스부의 상단 여유공간에 정면 하부에 받침편이 부착된 독서대를 장착하되, 그 독서대의 하단이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표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독서대가 힌지 연결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측부에는 상기 독서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독서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설치 고정하며, 상기 독서대의 배면과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 사이에는 상기 고정구 작동시 상기 독서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으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힌지는 가스 스프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제3도에는 제2도의 선 III-III 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은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부(2), 조수석 전방의 글로브 박스부(3) 및 상기 대시보드부(2)와 글로브 박스부(3) 사이의 중앙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1)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 박스부(3)의 상단 여유공간(10)에 정면 하부에 받침편(11a)이 부착된 독서대(11)를 장착하되, 그 독서대(11)의 하단(13)이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의 표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14)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독서대(11)가 힌지(14) 연결된 인스트러먼트 패널(1)의 측부 상단부에는 상기 독서대(1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독서대(1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12)를 설치 고정하며, 상기 독서대의 배면과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 사이에는 상기 고정구(12) 작동시 상기 독서대(1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16)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수단(16)은 가스 스프링이고, 상기 고정구(12)는 푸시 래치(Push latch)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독서대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독서대(11)의 하단(13)을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에 힌지(14) 고정시킨 다음, 상기 고정구(12)를 인스트러먼트 패널(1)에 고정하되, 독서대(11)의 측부에 설치한다.
이어, 상기 독서대(11)의 배면에 지지수단(16)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지지수단(16)의 타단은 인스트러먼트 패널(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면 본 고안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운행중, 조수석에 승차한 승차자가 독서를 하고 싶은 경우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1)에 설치된 고정구(12)를 손으로 눌렀다 떼면 상기 고정구(12)의 선단이 일측으로 후퇴하게 되고, 동시에 지지수단(16)이 작동되어 독서대(11)가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사용 위치로 튀어 올라오게 된다. 여기서 지지수단(16)에 의해 독서대(11)가 튀어올라을 수 있는 것은 상기 지지수단(16)의 타단이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가능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조수석 승차자는 상기 독서대(11)의 받침편(11a)에 책등을 고정시키고 독서를 하면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독서대(1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 위치로 튀어오른 독서대(11)의 상부를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의 여유공간(10)까지 밀어준 다음, 고정구(12)를 눌러주면 일측으로 후퇴하고 있던 고정구(12)의 선단이 다시 전진하게 되면서 독서대(11)의 정면 측부에 위치하게되어 독서대(11)가 고정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을 사용하면, 자동차의 주행중, 자동차가 심하게 진동하거나 쏠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조수석 승차자가 편안한 상태로 독서를 지속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부(2), 조수석 전방의 글로브 박스부(3) 및 상기 대시보드부(2)와 글로브 박스부(3) 사이의 중앙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1)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 박스부(3)의 상단 여유공간(10)에 정면 하단부에 받침편(11a)이 부착된 독서대(11)를 장착하되, 그 독서대(11)의 하단(13)이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의 표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14)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독서대(11)가 힌지(14) 연결된 인스트러먼트 패널(1)의 측부에는 상기 독서대(1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독서대(11)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12)를 설치 고정하며, 상기 독서대의 배면과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 사이에는 상기 고정구(12) 작동시 상기 독서대(1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16)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6)은 가스 스프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KR2019960022307U 1996-07-26 1996-07-26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KR200143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307U KR200143801Y1 (ko) 1996-07-26 1996-07-26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307U KR200143801Y1 (ko) 1996-07-26 1996-07-26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12U KR980007612U (ko) 1998-04-30
KR200143801Y1 true KR200143801Y1 (ko) 1999-06-15

Family

ID=1946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307U KR200143801Y1 (ko) 1996-07-26 1996-07-26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8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12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9392B2 (ja) 車両用シガライター装置
EP0378314A3 (en) Air bag mount structure for vehicle
KR200143801Y1 (ko) 독서대가 장착된 인스트러먼트 패널
KR0128793Y1 (ko) 수직으로 장착되는 자동차용 컵홀더
CN209795285U (zh) 一种简单可靠的副仪表板后杯托机构
KR0132044Y1 (ko) 자동차용 계기판
KR0132529Y1 (ko) 차량용 컵홀더
JPS606349Y2 (ja) 自動車用灰皿の支持構造
JPS6146033Y2 (ko)
KR19980045477U (ko) 승용차의 리어 시트 장착형 보조 시트
KR200149536Y1 (ko) 시트에 액정 티브이 및 램프 고정장치
KR19980038666U (ko) 차량의 에이필러 트림에 장착되는 메모지함 구조
KR19980048513U (ko) 자동차에 설치되는 다용도 받침대
JP4621056B2 (ja) 車体情報表示部の取付け構造
KR19990041000A (ko) 자동차의 접이형 아암레스트
JP4080855B2 (ja) メーター取付構造
KR19980076302A (ko) 센터 콘솔 패널의 받침대 장착구조
KR20030041492A (ko)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JPH0263918A (ja) デフロスタノズルの取付構造
KR19980065293U (ko) 자동차용 컵 받침대
KR970040500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케이블 가이드구조
KR970039686A (ko) 자동차 에어백의 설치구조
KR970037781A (ko) 차량용 실내등
KR970046867A (ko) 자동차의 기관 장착 구조
KR970065119A (ko) 거울이 부착된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