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761Y1 -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761Y1
KR200143761Y1 KR2019960028395U KR19960028395U KR200143761Y1 KR 200143761 Y1 KR200143761 Y1 KR 200143761Y1 KR 2019960028395 U KR2019960028395 U KR 2019960028395U KR 19960028395 U KR19960028395 U KR 19960028395U KR 200143761 Y1 KR200143761 Y1 KR 200143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utter
drip
trough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186U (ko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김성근
주식회사금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근, 주식회사금동 filed Critical 김성근
Priority to KR2019960028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7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5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8Means for fastening gutter parts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붕과 연결되는 처마밑에 설치되는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를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으로 서로 연결되는 물받이 홈통을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상태에서 물받이 홈통과 동일한 형태로 굴곡지며 중앙에 만곡진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상부연결구와 평면으로 굴곡진 하부연결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연결구와 하부연결구 사이에 물받이 홈통을 위치시킨후 상부연결구와 하부연결구를 볼트, 너트 등의 가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고정시킨후 상부연결구의 만곡진 중앙부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물받이 홈통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홈통의 연결구.

Description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제1도는 종래 물받이 홈통연결부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물받이 홈통연결구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물받이 홈통연결구의 사시도로써
a도는 상부 홈통연결구의 사시도.
b도는 하부 홈통연결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물받이 홈통연결부의 설치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 물받이 홈통연결부의 요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연결구 3 : 상부연결구의 만곡부
5 : 상부연결구의 공간부 7 : 상부연결구의 플랜지
9 : 볼트구멍 10 : 물받이 홈통
15 : 하부연결구
본 고안은 지붕과 연결되는 처마밑에 설치되는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물받이 홈통은 지붕위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관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것으로써 처마밑에 길게 시공되는 것으로 여러개의 홈통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시공방법으로 이와 같이 시공할 경우 물받이 홈통의 연결부위를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물받이홈통(31)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를 일측의 물받이 홈통(31a)의 일단을 타측물받이 홈통(31b)에 서로 겹쳐지게 위치시킨후 겹쳐진 부위를 땜납(33)을 이용하여 납땜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연결방법은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로울뿐 아니라 납땜 작업시 고온의 인두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신체부위를 데일염려가 있어 낙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되며, 또한 땜납과 용제가 용융될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인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받이홈통이 서로 겹쳐지게 되어 연결부를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맞추어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될 뿐 아니라 물받이홈통 자체가금속재로 구성되어 외부기온변화에 따라 수축변형되는데 이때 물받이 홈통의 재질과 땜납의 재질이 서로 달라 열변형율이 다르므로 납땜부위에 균열이 발생하여 물이 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물받이 홈통의 연결작업시 납땜작업을 배제하여 조립작업을 간편히하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물받이 홈통의 연결부위를 신축성있는 재질로 연결하여 외부온도의 변화에도 연결부위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물받이 홈통의 조립작업을 보다 간편히 하여 조립능률을 향상시키며,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연결구가 물받이 홈통의 내외측에 가로질러 밀착되므로 물받이 홈통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홈통의 수명을 연장하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연결되는 물받이 홈통을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상태에서 물받이 홈통과 동일한 형태로 굴곡지며 중앙에 만곡진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상부연결구와 평면으로 굴곡진 하부연결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연결구와 하부연결구 사이에 물받이 홈통을 위치시킨후 상부연결구와 하부연결구를 볼트, 너트 등의 가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고정시킨후 상부연결구의 만곡진 공간부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물받이 홈통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물받이 홈통(10)과 동일한 굴곡면을 갖는 상부연결구(1)는 중앙부에 만곡면(3)을 형성하여 공간부(5)를 가지며 상기 만곡면(3)의 양측에는 만곡면(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7)를 구비하며, 상기 만곡면의 중앙에는 다수개의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받이 홈통(10)과 동일한 굴곡면을 갖는 하부연결구(15)는 평편하며 중간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비드부(19)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구(1)의 구멍(9)과 대응되는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처마밑에 설치되는 물받이홈통(10)을 서로 연결하고자할 때 서로 연결되는 물받이 홈통(10)을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상태에서 물받이 홈통(10)의 상측에 상부연결구(1)를 위치시키고 물받이홈통의 하부에는 하부연결구(15)를 위치시킨후 상.하부 연결구를 볼트(21)와 너트(23)등의 가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볼트(21)의 나사부(22)는 물받이홈통(10) 사이의 공간(25)을 관통하게 되며, 상부연결구(1)의 플랜지(7)와 하부연결구(15)가 홈통에 밀착된다. 이후 상부연결구의 만곡진 공간부(5)에 충진재(35)를 충진하여 물받이 홈통(1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충진재(35)는 상부연결구(1)의 공간부(5)로 충진되어 2개의 홈통(10) 사이를 지나 하부연결구(15)의 비드부(19)로 충진되어 홈통(1)의 상.하면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충진재는 실리콘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실리콘 접착제가 충진시 유동성이 좋으며 경화시 변형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위와같이 물받이 홈통이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는 실리콘접착제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외부 기온의 변화에 따라 물받이 홈통과 연결구가 수축작용을 받복하더라도 내부의 실리콘 접착제가 탄력성있게 작용하므로 균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홈통 내.외측에 연결구가 설치되어 홈통의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물받이 홈통의 연결작업시 납땜작업을 배제하여 조립작업을 간편히 할 수 있게되는 것이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받이 홈통의 조립작업을 보다 간편히하여 조립능률을 향상시켜 설비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지붕처마밑에 설치되는 물받이홈통(10)을 서로 연결하는 장치의 물받이 홈통(10)과 동일한 굴곡면을 갖는 상.하부연결구로 구성되는 물받이 홈통연결구에 있어서, 상부연결구(1)는 중앙부에 만곡면(3)을 형성하여 공간부(5)를 가지며, 상기 만곡면(3)의 양측에는 만곡면(3)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7)를 구비하며, 상기 만곡면의 중앙에는 다수개의 구멍(9)이 형성되고, 물받이 홈통(10)과 동일한 굴곡면을 갖는 하부연결구(15)는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결구(1)의 구멍(9)과 대응되는 구멍(17)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연결구 사이에 물받이 홈통의 단부를 연결하여 볼트(21)와 너트(23)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연결구 중앙의 공간부(5)에는 충진재(35)가 충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KR2019960028395U 1996-09-06 1996-09-06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KR200143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395U KR200143761Y1 (ko) 1996-09-06 1996-09-06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395U KR200143761Y1 (ko) 1996-09-06 1996-09-06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186U KR19980015186U (ko) 1998-06-25
KR200143761Y1 true KR200143761Y1 (ko) 1999-06-15

Family

ID=1946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395U KR200143761Y1 (ko) 1996-09-06 1996-09-06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7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538B1 (ko) * 2009-02-11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어방법
KR200458040Y1 (ko) * 2011-06-03 2012-01-18 박수구 친환경 한옥형 물받이
KR200471616Y1 (ko) * 2013-03-13 2014-03-06 주식회사 신도시스템 빗물받이용 브라켓 및 그 금형
CN107965503A (zh) * 2017-12-15 2018-04-27 南京万帆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建筑排水支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186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3761Y1 (ko)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US5423157A (en) Longitudinally assembled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584155A (en) Roof plate for longitudinal roofing
JPS5932654Y2 (ja) 面構造材の連結構造
KR200247950Y1 (ko) 건축용 판넬의 연결구조
JPH0257622B2 (ko)
KR880004208Y1 (ko) 조립식 판넬
JPS6350335Y2 (ko)
KR200264306Y1 (ko) 금속기와
EP0791116B1 (en) Attachment device
KR100337019B1 (ko) 신축이음쇠
JP2533512Y2 (ja) 半切妻屋根の妻側端部の雨仕舞い構造
JPH044421Y2 (ko)
JPS6195155A (ja) 太陽エネルギ収集装置の側部接続部材
JPH0874387A (ja) 建築用板材およびその固定構造
JPH067135Y2 (ja) 屋根の化粧カバー取付装置
JPS6041376Y2 (ja) 温室における屋根構造物
JP2627174B2 (ja) 屋根の施工方法
JPS6350334Y2 (ko)
JPH0649712Y2 (ja) 笠木用端部閉塞部材
JPS5919057Y2 (ja) 横樋の連結装置
JPH0120425Y2 (ko)
KR200244537Y1 (ko) 금속평판기와
JP3007251U (ja) 笠木の取付構造
JP2639938B2 (ja) 勾配屋根における避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