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306Y1 - 금속기와 - Google Patents

금속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306Y1
KR200264306Y1 KR2020010031578U KR20010031578U KR200264306Y1 KR 200264306 Y1 KR200264306 Y1 KR 200264306Y1 KR 2020010031578 U KR2020010031578 U KR 2020010031578U KR 20010031578 U KR20010031578 U KR 20010031578U KR 200264306 Y1 KR200264306 Y1 KR 200264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tal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형
Original Assignee
동림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림건영(주) filed Critical 동림건영(주)
Priority to KR2020010031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306Y1/ko

Links

Landscapes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기와의 시공시 금속기와의 외부로 볼트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판과 그 사이에 단열재가 채워진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지붕을 구성하는 격자형의 트러스의 외측에 부착되는 통상의 금속기와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와의 일 단부에는 상판 보다 상대적으로 하판이 돌출되어 있으며 단열재의 단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상,하판 내면 및 단열재의 함몰 단부면을 감싸는 절곡 보강판이 삽입되어 있는 조립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금속기와의 타 단부에는 상기 조립홈부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판 보다 상대적으로 상판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판의 내면에 삽입장착 되어 상기 조립홈부에 삽입 장착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된 절곡 삽입판이 구비되어 있는 조립돌출부가 형성된 금속기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기와{Metal tiled roof}
본 고안은 금속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기와의 시공시 금속기와의 외부로 볼트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기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기와라 함은, 건축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내구성이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도 9는 종래의 금속기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부에는 단열재(103)가 충진되어 있는 상,하판(101,102)으로 구성된 통상의 일단부에는 홈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홈부(200)와 맞물려 조립되는 돌출부(300)가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금속기와를 시공할 경우에는, 지붕의 뼈대를 구성하는 트러스(400)상에 금속기와를 올려놓은 다음, 금속기와의 일단부에 형성된 홈부(200)에 타 금속기와 돌출부(300)를 삽입한 후, 상기 홈부(200)와 돌출부(300)를 관통하는 볼트(500)를 체결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시공된 금속기와의 상판(101)에 형상을 가진 형상판넬을 추가로 올린 다음, 형상판넬의 상면에 도립자를 도포하는 과정을 통해 시공을 마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금속기와를 사용하여 시공함에 있어서, 볼트머리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서 시공된 지붕의 미관이 전체적으로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금속기와의 양단부에 형성된 홈부와 돌출부가 단일의 홈부와 단일의 돌출부로 구성됨으로서, 연결부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금속기와를 시공한 후에 별도로 상면의 후처리공정을 거쳐야 함으로서, 금속기와의 시공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금속기와의 시공시 금속기와의 외부로 볼트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기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금속기와의 측단부 상판에 별도의 타 금속기와의 상판을 감싸는 외측 절곡턱을 형성함으로서, 외부로부터 빗물등이 지붕의 내부로 유입된 후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금속기와의 측단부 하판에 별도의 타 금속기와의 하판을 깜싸는 보강 절곡턱을 형성함으로서, 연결되는 타 금속기와의 연결 보강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빗물 또는 이물질등이 금속기와들의 연결 부위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금속기와의 상판에 직접적으로 형상 돌출부를 성형하고 그 외측에 도립자를 도포 융착함으로서, 금속기와의 시공 후 별도의 표면처리 공정을 필요없게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금속기와 측단부의 조립홈부를 구성하는 절곡 보강판의 하판 단부 상측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일부 유입된 외부의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로를 형성함으로서, 금속기와 연결부의 방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판과 그 사이에 단열재가 채워진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지붕을 구성하는 격자형의 트러스의 외측에 부착되는 통상의 금속기와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와의 일 단부에는 상판 보다 상대적으로 하판이 돌출되어 있으며 단열재의 단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상,하판 내면 및 단열재의 함몰 단부면을 감싸는 절곡 보강판이 삽입되어 있는 조립홈부가형성되며, 상기 금속기와의 타 단부에는 상기 조립홈부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판 보다 상대적으로 상판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판의 내면에 삽입장착 되어 상기 조립홈부에 삽입 장착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된 절곡 삽입판이 구비되어 있는 조립돌출부가 형성된 금속기와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금속기와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 시공방법의 공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
으로서,
도 5a는 조립홈부 트러스 고정단계를.
도 5b는 타 금속기와 연결단계를,
도 5c는 연결부위 고정단계를,
도 5d는 시공의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금속기와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하판
3 : 단열재
4 : 조립홈부
41 : 절곡 보강판
411 : 단턱, 412 : 배수로
5 : 조립돌출부
51 : 절곡 삽입판
6 : 외측절곡턱
61 : 삽입공간부
7 : 보강절곡턱
71 : 삽입공간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금속기와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판(1,2)과 그 사이에 단열재(3)가 채워진 금속기와의 일 단부에는, 상판(1) 보다 상대적으로 하판(2)이 돌출되어 있으며 단열재(3)의 단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상,하판(1,2) 내면 및 단열재(3)의 함몰 단부면을 감싸는 절곡 보강판(41)이 삽입되어 있는 조립홈부(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일 단부에 조립홈부(4)가 형성된 금속기와의 타 단부에는, 상기 조립홈부(4)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판(2)보다 상대적으로 상판(1)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판(1,2)의 내면에 삽입장착 되어 상기 조립홈부(4)에 삽입 장착되며 내부에 단열재(3)가 충진된 절곡 삽입판(51)이 구비되어 있는 조립돌출부(5)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조립홈부(4)를 구성하는 절곡 보강판(41)의 상,하 외측면과 상기 상,하판(1,2)의 내측면 사이에는 실리콘이 충진 접착되어 실리콘층(42)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출부(5)를 구성하는 절곡 삽입판(51)의 상,하면 외측면과 상기 상,하판(1,2)의 내측면 사이에도 실리콘이 충진 접착되어 실리콘층(5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1)을 티탄아연 합금판(징크) 또는 스테인레스판 또는 동판등으로 제작함으로서, 상판(1)의 외면이 노출되어 변색 코팅층을 형성시키게 하여 상판의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 시공방법의 공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붕의 트러스(T) 사이에 단일의 금속기와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 단부에 형성된 조립홈부(4)의 하부 돌출부분에 상부에서 하부로 볼트(탭핑볼트)(9)를 체결하여 일 단부를 트러스(T)에 고정하는 단계(10;도5a참조)를 진행한다.
다음 다른 금속기와의 타 단부에 형성된 조립돌출부(5)를 상기 일 금속기와 일단부에 형성된 조립홈부(4)에 삽입하여 금속기와를 연결하는 단계(20;도5b참조)를 진행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금속기와의 일 단부와 타 금속기와의 타단이 조립 연결된 상태에서 트러스(T)의 하부에서 상부로 볼트(탭핑볼트)(9)를 관통 체결하여 서로가 조립된 일 금속기와의 일 단부 하부와 타 금속기와의 타 단부 하부를 트러스에 고정하는 단계(30;도5c,d참조)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금속기와를 구성하고 금속기와를 시공함으로서, 금속기와의 시공시 금속기와의 외부로 탭핑나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금속기와의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부(4)와 조립돌출부(5)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로 한다.
이에 상기 타 단부에 형성된 조립 돌출부(5)의 상판(1)에는, 연결되는 타 금속기와의 일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부(4)의 상판 외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외측 절골턱(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외측 절곡턱(6)은 연결되는 타 금속기와의 일측 상판 외면을 막아줌으로서 빗물 또는 이물질등이 금속기와들의 연결 부위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외측 절곡턱(6)과 상기 조립돌출부(5)를 구성하는 절곡 삽입판(51)의 상면 사이에는 삽입공간부(61)를 형성함으로서, 타 금속기와 일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부(4)의 조립을 견고히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절곡턱(6)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 삽입판(51)의 상면 사이에는 실리콘을 충진하여 방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금속기와의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부(4)와 조립돌출부(5)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로 한다.
이에 상기 타 단부에 형성된 조립돌출부(5)의 하판(2)에는, 연결되는 타 금속기와의 일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부(4)의 하판 외면을 커버하며 상기 절곡 삽입판의 하면 사이로 삽입공간부(71)를 형성하는 보강 절곡턱(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 절곡턱(6)은 연결되는 타 금속기와의 연결 보강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타 금속기와의 일측 하판 외면을 막아줌으로서 빗물 또는 이물질등이 금속기와들의 연결 부위로 침투된 후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금속기와의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부(4)와 조립돌출부(5)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로 한다.
이에 상기 금속기와의 상판(1)에 형상 굴곡부(11)를 형성하고 그 외면에 채색 도립자(8)를 도포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금속기와의 제작 시 상면의 마감처리를 완료함으로서, 금속기와의 시공 후 별도의 상면 마무리 공정을 필요없게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기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금속기와의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부(4)와 조립돌출부(5)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로 한다.
이에 상기 조립홈부(4)를 구성하는 절곡 보강판(41)의 하판 단부 상측에는 단턱(411)을 형성하여 일부 유입된 외부의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로(412)를 형성함으로서, 금속기와 연결부의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기와의 시공시 금속기와의 외부로 볼트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시공된 지붕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기와의 측단부 상판에 별도의 타 금속기와의 상판을 감싸는 외측 절곡턱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빗물등이 지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금속기와의 측단부 하판에 별도의 타 금속기와의 하판을 깜싸는 보강 절곡턱을 형성하여 연결되는 타 금속기와의 연결 보강력을 향상시킴으로서 경고한 지붕을 제공함은 물론, 빗물 또는 이물질등이 금속기와들의 연결 부위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금속기와의 시공 후 별도의 표면 후처리 공정을 필요없게 함으로서 지붕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금속기와 측단부의 조립홈부를 구성하는 절곡 보강판의 하판 단부 상측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일부 유입된 외부의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로를 형성함으로서, 금속기와 연결부의 방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8)

  1. 상,하판(1,2)과 그 사이에 단열재(3)가 채워진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지붕을 구성하는 격자형의 트러스(T)의 외측에 부착되는 통상의 금속기와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와의 일 단부에는, 상판(1) 보다 상대적으로 하판(2)이 돌출되어 있으며 단열재(3)의 단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있고 상기 상,하판(1,2) 내면 및 단열재(3)의 함몰 단부면을 감싸는 절곡 보강판(41)이 삽입되어 있는 조립홈부(4)가 형성되며;
    상기 금속기와의 타 단부에는, 상기 조립홈부(4)와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판(2) 보다 상대적으로 상판(1)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판(1,2)의 내면에 삽입장착 되어 상기 조립홈부(4)에 삽입 장착되며 내부에 단열재(3)가 충진된 절곡 삽입판(51)이 구비되어 있는 조립돌출부(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 단부에 형성된 조립 돌출부(5)의 상판(1)에는 일 단부의 상판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절곡 삽입판의 상면 사이로 삽입공간부(61)를 형성한 외측 절골턱(6)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 단부에 형성된 조립돌출부(5)의 하판(2)에는 일 단부의 하판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절곡 삽입판의 하면 사이로 삽입공간부(71)를 형성하는 보강 절곡턱(7)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에 굴곡부(11)를 형성하고 그 외면에 채색 도립자(8)를 도포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부(4)를 구성하는 절곡 보강판(41)의 하판 단부 상측에는 단턱(411)을 형성하여 일부 유입된 외부의 빗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로(41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티탄아연 합금판(징크)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스테인레스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동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KR2020010031578U 2001-10-16 2001-10-16 금속기와 KR200264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78U KR200264306Y1 (ko) 2001-10-16 2001-10-16 금속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78U KR200264306Y1 (ko) 2001-10-16 2001-10-16 금속기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520A Division KR20030031379A (ko) 2001-10-15 2001-10-15 금속기와 및 이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306Y1 true KR200264306Y1 (ko) 2002-02-19

Family

ID=7311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578U KR200264306Y1 (ko) 2001-10-16 2001-10-16 금속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3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566A (zh) * 2021-03-01 2021-06-11 东莞格美智宅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金属板材拼接方法及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566A (zh) * 2021-03-01 2021-06-11 东莞格美智宅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金属板材、金属板材拼接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813B1 (ko) 합성세그먼트
KR20060008263A (ko) 패널 시스템
KR200264306Y1 (ko) 금속기와
AU2013257435B2 (en) A composite insulating panel
KR20100040418A (ko) 건축용 지붕판넬 설치구조
KR20030031379A (ko) 금속기와 및 이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KR100920005B1 (ko) 건축용 무코킹 외장패널과 그 시공방법
KR20040075176A (ko) 내외장패널 조립용 서브프레임과 패널시스템
JP6940360B2 (ja) 屋根材
JP3913073B2 (ja) 壁パネル及び壁パネルの重ね合わせ構造
KR200143761Y1 (ko)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KR200247950Y1 (ko) 건축용 판넬의 연결구조
JP5969737B2 (ja) 屋根葺材
KR200270243Y1 (ko) 건축물의 내외장식용 아트패널
KR200264265Y1 (ko) 조립식 건축용 마감부재
CN217896772U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阻水结构
CN220117559U (zh) 一种金属拱形波纹屋顶的伸缩连接件
CN218758366U (zh) 一种预制女儿墙与天沟一体化构件
KR200227262Y1 (ko) 건축용 샌드위치 판넬
KR101840230B1 (ko) 지붕판넬용 방수마감부재
JPS6240020Y2 (ko)
KR200234526Y1 (ko) 건축용 패널
KR200272732Y1 (ko) 옥상난간 방수구조물
JP4032267B2 (ja) 屋根板及びその屋根
KR200254904Y1 (ko) 건축용 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