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750Y1 -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 Google Patents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750Y1
KR200143750Y1 KR2019960016169U KR19960016169U KR200143750Y1 KR 200143750 Y1 KR200143750 Y1 KR 200143750Y1 KR 2019960016169 U KR2019960016169 U KR 2019960016169U KR 19960016169 U KR19960016169 U KR 19960016169U KR 200143750 Y1 KR200143750 Y1 KR 200143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fluorescent lamp
socket
discharge tub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6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074U (ko
Inventor
류재욱
Original Assignee
류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재욱 filed Critical 류재욱
Priority to KR2019960016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750Y1/ko
Publication of KR980004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750Y1/ko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쪽 끝부분의 직경이 축소되어 있는 원통형의 기다란 방전관, 상기 축경부에 끼워져 고정캡에 의해 고정되며 방전관의 내부에서 홀더로 고정된 필라멘트의 도입전극이 접속되어있는 접속단자 조립체 및, 방전관에 결합된 접속단자 조립체가 걸어 맞춤되는 걸이식 소켓으로 구성되어있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제1도는 종래의 형광등의 접속단자와 이에 결합되는 소켓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의 접속단자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의 접속단자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의 접속단자와 걸이식 소켓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의 걸이식 소켓의 개략 측면도로서,
(a)는 형광등 결합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형광등 결합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형광등 2 : 접속단자 조립체
3 : 절연체 5 : 내부접속단자
7 : 외부 접속단자 9 : 방전관
11-1,11-2 : 도입전극 13 : 필라멘트
15 : 홀더 17 : 고정캡
19 : 소켓 19-4 : 내부 접점부
19-5 : 외부 접점부
본 고안은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그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질로 된 형광등의 접속단자를 걸이식 소켓에 걸어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착탈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증대되며, 아울러 형광등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재활용 가능한 형광등과 이 형광등이 결합되는 소켓의 장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은 진공으로 밀봉된 유리관 속에 수은과 아르곤 가스를 약간 집어 넣어 만든 방전관의 내벽에 형광 도료를 도포하여 방전된 전류가 형광 물질을 자극함으로써 빛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방전등의 일종으로서, 그 전형적인 예를제1도를 통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형광등(101)은 내부의 공간부에 수은 증기와 아르곤 가스를 봉입하고 내주면에 형광물질이 도포된 긴 원통형의 유리 방전관(103)과, 이 유리 방전관(103)의 양측단에 내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접속단자(105)와, 상기 유리 방전관(103)의 내부로 돌출된 접속단자(105)의 양쪽 끝에 결선된 필라멘트(107)와, 상기 유리 방전관(103)의 양측단에 취약한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씌어지는 밀봉캡(109)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형광등(101)의 양측단을 고정하면서 전원을 형광등(101)의 접속단자(105)에 인가시키는 소켓(111)은 천정과 같은 부착면(112)에 부착되며, 유리 방전관(103)의 양측단으로 돌출된 접속단자(105)가 끼워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소켓(111)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3)에 형광등(101)의 접속단자(105)가 각각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115)을 갖는 밀착판(117)이 전후방으로 유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고, 이 밀착판(117)과 상기 몸체(113)의 공간부 사이에 통전을 겸한 각각의 스프링(119)이 상기 삽입공(115)의 후방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형광등(101)의 접속단자(105)가 밀착판(117)에 삽입되는 동시에 스프링(119)과 접속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형광등(101)은 소켓(111)을 통해 형광등(101)의 접속단자(105)에 인가된 전류가 필라멘트(107)를 통해 유리 방전관(103)내에 봉입된 수은 증기와 아르곤의 가스속에 방전되면서 다량의 자외선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때 방생된 다량의 자외선이 유리관 내주면에 도포된 형광물질에 흡수되어 발광하면서 유리 방전관(103)의 외부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형광등(101)을 소켓(111)에 장착할 경우 형광등(101)의 양측단에 돌출된 접속단자(105)를 소켓(111)의 밀착판(117) 각각의 삽입공(115)에 밀면서 끼우게 되면 삽입공(115) 바로 안쪽의 접속단자(121)와 접속되게 된다. 이때, 압축되었던 스프링(119)이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접속단자(105)가 삽입된 밀착판(117)을 형광등(101)의 양측단으로 밀어 형광등(101)을 탄력적으로 고정 장착하게 된다. 상기 소켓(111)에 장착된 형광등(101)을 교체 등을 위해 분리할 경우 밀착판(117)을 한쪽씩 밀어 접속단자(105)를 삽입공(115)에서 빼내어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리 방전관을 이용한 형광등은 유리로 제작되어 취약하므로 사용시 부주위한 취급에 의해 파손될 경우 취급자나 주위 사람 또는 수거자에게 상처를 입힐 위험성이 있다. 또한, 유리 방전관의 재활용이 전혀 불가능하여 폐기에 따른 자원낭비와 배출 가스에 의한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형광등 접속단자 구조에 따른 소켓의 구조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밀착편의 밀착으로 형광등을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잇점이 있다하나 형광등의 접속단자를 밀착판 가압 상태에서 삽입공에 끼우고 빼는 구조로 되어 있어 형광등 착탈이 번거로우므로 다수의 형광등을 교체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형광등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형광등 방전관의 취약성을 개선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원 재활용과 함께 폐기시의 환경오염이 최소화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걸이식 소켓에 형광등을 걸어 장착하도록 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교체시간을 단축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한쪽 끝부분의 직경이 축소되어 있는 원통형의 기다란 방전관, 상기 축경부에 끼워져 고정캡에 의해 고정되며 방전관의 내부에서 홀더로 고정된 필라멘트의 도입전극이 접속되어 있는 접속단자 조립체 및, 방전관에 결합된 접속단자 조립체가 걸어 맞춤되는 걸이식 소켓으로 구성되어 있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전관이 열가소성 수지로 제작되어 있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으 장착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 조립체는 내부 접속단자, 외부 접속단자 및 내외부 접속단자 사이에 끼워져 있는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걸이식 소켓은 오목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몸체와 오목부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갈고리 형태의 탄성 박판으로 제작된 내부 및 외부 접점부로 구성되어 있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1)의 접속단자 조립체(2)가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접속단자 조립체(2)는 종래의 형광등에서와 같은 침봉 형태의 접속단자를 사용하는 대신 절연체(3)를 사이에 두고 조립되는 원통형의 내외부 접속단자(5,7)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내외부 접속단자(5,7)는 절연체(3)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절연체(3)는 전체가 중공의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헤드(3-1)와 코어(3-2)로 이루어진다. 절연체(3)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삽입홀(3-3)에는 외부 접속단자(7)의 코어(7-1)가 삽입되는데 이때, 코어(7-1) 형광등(14)는 끝단에 커팅가공되어 있는 절결선(7-2)이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홀(3-3) 밖으로 노출될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접속단자(7)의 헤드(7-3)는 삽입홀(3-3)에 끼워진 상태에서 저면이 절연체(3)의 헤드(3-1)의 상면과 맞닿음된다.
또한, 외부 접속단자(7)가 삽입된 절연체(3)는 내부 접속단자(5)에 끼워지는데, 이때 절연체(3)의 코어(3-2)가 내부 접속단자(5)의 삽입홀(5-1)에 삽입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코어(3-2)는 끝단에 커팅가공되어 있는 절결선(3-4)이 삽입홀(5-1)의 삽입되는 반대쪽 개구부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절연체(3) 헤드(3-1)의 저면도 외부 접속단자(5)의 상면과 맞닿음된다.
이와 같이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동심 상태로 조립된 접속단자 조립체(2)는 절연체(3)의 삽입홀(3-3)밖으로 노출된 외부 접속단자(7) 코어(7-1)의 절결선(7-2)부분이 코어(3-2)의 저면과 접하도록 직각으로 굽혀짐에 따라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움직임 없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절연체(3)의 코어(3-2)도 끝부분에 가공된 절결선(3-4)부분이 내부 접속단자(5)의 저면과 접하도록 직각으로 굽혀져 절연체(3)가 삽입홀(5-1)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일 없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일체로 조립된 내외부 접속단자(5,7)와 절연체(3)는 제3도에 단면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등(1)의 방전관(9)과 결합된다. 방전관(9) 축경부(9-1)의 한쪽 끝부분에 형성된 개구부(9-2)에 접속단자 조립체(2)가 삽입되는데, 이때 내부 접속단자(5)의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5-2)와 개구부(9-2)의 주연부(9-3)가 맞닿음될 때까지 접속단자 조립체(2)가 밀어 넣어진다. 그리고 나서 내부 접속단자(5)의 끝단에 커팅가공되어 있는 절결선(5-3)부분을 주연부(9-3)안쪽면과 접하도록 직각으로 굽힘으로써 전체 조립체(2)와 방전관(9)을 고정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나머지 방전관(9) 내부의 구조는 종래의 형광등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도시된 것처럼, 내부 접속단자(5)와 접속되어 방전관(9) 안쪽으로 뻗어있는 도입전극(11-1)과 외부 접속단자(7)와 접속되어 안쪽으로 뻗어 있는 도입전극(11-2)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도입전극(11-1,11-2)의 안쪽 끝단에는 필라멘트(13)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도입전극(11-1,11-2)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깔대기 모양의 홀더(15)가 방전관(9)의 주연부(9-3) 안쪽면 가장자리에 관통삽입되어 끼워져 있으며, 홀더(15) 상면에는 필라멘트(13)가 끼워맞춤된 상태로 통과하는 2개의 장착홀(15-1)이 뚫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접속단자 조립체(2)가 방전관(9)에 끼워진 상태에서 축경부(9-1)에 고정캡(17)이 결합된다. 이때 고정캡(17)은 주연부(17-1)가 방전관(9) 주연부(9-3) 바깥쪽면에 형성된 캡자리(9-4)에 놓여진 상태로 축경부(9-1)에 억지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여기에서, 방전관(9)은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제로 제작되어 종래의 유리관보다 강도 및 재활용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형광등(1)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이 고정되면서 접속단자(2)조립체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도록 천정과 같은 부착면(18)에 부착되어 있는 걸이식 소켓(19)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본 고안의 형광등(1)과 소켓(19)은 종래의 형광등과 같이 복잡한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제5도의 (a),(b)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매우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19)은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19-1) 내부에 형광등(1) 접속단자 조립체(2)를 걸기 위한 ㄱ자 모양의 오목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9-2) 안에는 소켓(19) 몸체(19-1)의 정면에 형성된 개구부(19-3)를 통해 삽입된 조립체(2)가 끼워지는 내외 2개의 접점부(19-4,19-5)가 구비되어 있다.
형광등(1)을 소켓(19)에 결합할 때, 내부 접점부(19-3)에는 내부 접속단자(5)의 외주부분이, 외부 접점부(19-5)에는 외부 접속단자(7)의 헤드(7-3)가 각각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탄성 변형가능한 갈고리 형태의 도전성 금속 박판으로 제작된다. 아울러, 이들 내외부 접점부(19-4,19-5)는 오므라드는 만곡된 몸체부분이 끝단에 가서 변곡되어 반대방향으로 벌어져 있어, 접속단자 조립체(3,5,7)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접점부(19-4,19-5)의 탄성력에 의해 조립체(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에 의하면, 형광등 교체 작업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형광등을 소켓으로부터 분리해낼 수가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박판형 접점부를 사용하므로 형광등의 접점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접점부의 형태가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으므로 어지간한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형광등이 소켓으로부터 낙하하는 일은 거의 없고 따라서, 사용 안정성도 또한 매우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종전과 같이 방전관을 유리로 제작하는 대신 열가소성 수지로 대체함으로써, 수명이 다된 형광등을 폐기처분할 때 분리수거를 통하여 자원을 재활용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방전관의 강도가 향상되므로 형광등 파손시 사용자 등이 파편으로 인해 외상을 입게 되는 사고가 방지되며, 미약하나마 이때 방출되는 수은 증기 또는 형광물질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하여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4)

  1. 한쪽 끝부분(9-1)의 직경이 축소되어 있는 원통형의 기다란 방전관(9), 상기 축경부(9-1)에 끼워져 고정캡(17)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방전관(9)의 내부에서 홀더(15)로 고정된 필라멘트(13)의 도입전극(11-1,11-2)이 접속되어있는 접속단자 조립체(2) 및, 상기 방전관(9)에 결합된 상기 접속단자 조립체(2)가 걸어 맞춤되는 걸이식 소켓(19)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관(9)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접속단자 조립체(2)는 중심부분에 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전관(9) 축경부(9-1)의 주연부(9-3) 상단면과 맞닿음되도록 외주부에 원주방향의 돌기(5-2)가 돌출되어 있고 조립시 상기 주연부(9-3) 안쪽면과 맞닿음되도록 직각으로 굽혀지는 절결선(5-3) 부분이 끝단에 가공되어 있는 내부 접속단자(5), 상기 내부 접속단자(5)의 상면과 맞닿음되는 헤드(3-1)와 상기 내부 접속단자(5)의 삽입홀(5-1)에 삽입되는 원통형 코어(3-2)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부분에 삽입홀(3-3)이 형성되어 있고 조립시 상기 내부 접속단자(5)의 저면과 맞닿음되도록 직각으로 굽혀지는 절결선(3-4) 부분이 끝단에 가공되어 있는 절연체(3) 및, 상기 절연체(3)의 헤드(3-1) 상면과 맞닿음되는 헤드(7-3)와 상기 절연체(3)의 삽입홀(3-3)에 삽입되는 원통형 코어(7-1)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립시 상기 절연체(3)의 저면과 맞닿음되도록 직각으로 굽혀지는 절결선(7-2) 부분이 끝단에 가공되어 있는 외부 접속단자(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식 소켓(19)은 정면의 개구부(19-3)로부터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9-2)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몸체(19-1)와 상기 오목부(19-2)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갈고리 형태의 탄성 박판으로 제작된 내부 및 외부 접점부(19-4)(19-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KR2019960016169U 1996-06-18 1996-06-18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KR200143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169U KR200143750Y1 (ko) 1996-06-18 1996-06-18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169U KR200143750Y1 (ko) 1996-06-18 1996-06-18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074U KR980004074U (ko) 1998-03-30
KR200143750Y1 true KR200143750Y1 (ko) 1999-06-15

Family

ID=1945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6169U KR200143750Y1 (ko) 1996-06-18 1996-06-18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7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074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4901A (en) Electric reflector lamp
EP0817241B1 (en) Coil assembly for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US4906891A (en) Low-pressure discharge lamp and electrical base structure
US6005336A (en) Electric vehicle lamp with inserted insulation plug
KR100904633B1 (ko) 형광램프장치
KR200143750Y1 (ko) 재활용 가능한 걸이식 형광등과 소켓의 장착구조물
EP0023717A1 (en) Socket for capless incandescent lamp
JP4662781B2 (ja) 車両前照灯用の取付補助具、および車両前照灯ランプと取付補助具を有する照明ユニット
EP0044196B1 (en) Compact fluorescent lamp arrangement
KR940004251A (ko)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용의 일체로 된 내열성 짐발 장치
CN211743097U (zh) 卤素灯的玻壳与灯头扣帽配合结构
EP0585447B1 (en) Arc discharge lamp having cementless right-angle base members
US3876896A (en) Subminiature incandescent bulb with lateral contact elements
US20030057813A1 (en) Reflector lamp
US6450660B1 (en) Spare halogen bulb holder
JPH07240104A (ja) 照明装置
CN218632335U (zh) 一种弹片接触式防反装电池仓组件及包含其的电警棍
US5820418A (en) Electric lamp and method for fixing the light source and the base part of the lamp to each other
EP0817242A2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EP0694956B1 (en) Discharge lamp
KR200211378Y1 (ko) 램프 어셈블리
JP5034113B2 (ja) 照明装置
KR200255593Y1 (ko) 형광등의 소켓 결합 구조
CA2225688C (en) Electric vehicle lamp with inserted insulation plug
KR920001985Y1 (ko) 애노우드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