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378Y1 - 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378Y1
KR200211378Y1 KR2020000018886U KR20000018886U KR200211378Y1 KR 200211378 Y1 KR200211378 Y1 KR 200211378Y1 KR 2020000018886 U KR2020000018886 U KR 2020000018886U KR 20000018886 U KR20000018886 U KR 20000018886U KR 200211378 Y1 KR200211378 Y1 KR 200211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mp assembly
cold
opening
cathode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2020000018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378Y1/ko

Links

Abstract

일정길이를 갖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투명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 개구에 삽입되어 일측 개구를 밀봉하는 플러그와,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는 냉음극형광램프와, 냉음극형광램프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냉음극형광램프의 핫전극과 콜드전극에서 각각 인출되는 리드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와, 하우징의 타측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내부에서 각 리드들과 핫전극과 콜드전극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램프 어셈블리{Lamp assembly}
본 고안은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음극형광램프 (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적용한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 등에는 열음극형광램프나 백열전구가 사용되는데, 백열전구는 형광램프에 비하여 그 휘도가 떨어지고, 소비전력이 과다하게 요구되어 사용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열음극형광램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열음극형광램프를 사용할 경우는 램프 어셈블리의 부피가 커지고, 점멸시 예열을 위한 깜박임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순간적인 조명작업의 수행이 적절하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명이 길고 점멸시 예열이 필요없으며 컴팩트한 냉음극형광램프를 적용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왔으나, 냉음극형광램프는 구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파손되기 쉬어 특별한 보호장치가 필요하며, 컴팩트한 구조를 위한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파손되기 어렵고, 컴팩트하게 설계되며 교체가 용이한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 설명하는 본 고안의 특징들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램프 어셈블리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을 스탠드에 적용시킨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2: 플러그
14, 14': 접착제 15, 27: 관통홀
16, 26: 지지부재 20: 램프
22, 24: 리드 23: 보조리드
28: 텐션링 29: 반사판
30: 커넥터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길이를 갖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투명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 개구에 삽입되어 일측 개구를 밀봉하는 플러그와,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는 냉음극형광램프와, 냉음극형광램프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냉음극형광램프의 핫전극과 콜드전극에서 각각 인출되는 리드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와, 하우징의 타측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내부에서 각 리드들과 핫전극과 콜드전극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콜드전극에서 인출되는 리드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리드나 반사판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연장되어 전원공급선에 연결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커넥터는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보조리드나 반사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금속패드와, 몸체의 관통홀에 끼워져 핫전극에서 인출되는 리드가 삽입되는 금속 튜브와, 금속튜브와 금속패드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선을 수용하도록 몸체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변형예로 보조리드와 반사판은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금속 텐션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의 금속패드는 금속 텐션링과 접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보조리드나 반사판의 타측단부는 후방으로 180°접혀져서 하우징의 에지에 끼워지고, 하우징의 타측단부와 보조리드 또는 반사판의 접혀진 부분을 수용하도록 원통형상의 내열성 수지 캡이 끼워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글래스나 아크릴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양단이 개구된다. 직경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의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특징을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냉음극형광램프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하우징(10)의 일측 개구에는 플러그(12)가 삽입되어 개구를 밀봉하는데,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열성 수지나 고무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는 냉음극형광램프(20)가 배치되며, 램프(20)의 양단은 지지부재(16, 26)가 가압하여 고정한다. 냉음극형광램프(20)는 현재 직경 2mm 정도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다양한 길이로 출하되고 있다.
지지부재(16, 26)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램프(20)의 내벽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지지부재(16, 26)의 중앙에는 각각 관통홀(15, 27)이 형성되어 램프(20)의 양전극, 즉 핫전극(hot electrode)과 콜드전극(cold electrode)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22, 24)가 통과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핫전극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24)는 지지부재(26)의 관통홀(27)을 통과하여 하우징(10)의 타측단부까지 직접 연장되는데 반해, 콜드전극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22)는 지지부재(16)의 관통홀(15)을 통과하여 지지부재(16)의 표면에서 반경방향으로 꺽여진 후, 다시 지지부재(16)와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도록 꺽여진다. 이 상태에서 보조리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보조리드(23)는 하우징(10)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지지부재(26)와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하우징의 타측단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핫전극과 콜드전극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는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방전이 발생될 소지가 전혀 없다.
커넥터(30)는 하우징(10)의 타측 개구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램프(10)의 양 전극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커넥터(30)를 살펴보면, 몸체(38)는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관통홀(33)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33)에 금속튜브(34)가 끼워진다.
금속튜브(34)의 입구측에는 내측면이 경사진 가이드(35)가 형성되어 핫전극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24)가 금속튜브(33)로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한다. 금속튜브(34)는 입구측이 오무려진 상태로 텐션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된다.
몸체(38)의 외측면에는 보조리드(23)와 접촉하는 금속패드(32)가 형성되는데, 제조의 편의상 외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보조리드(23)에 대향하는 부분에만 형성할 수 있다.
금속튜브(34)와 금속패드(32)의 출구측 단부에는 각각 인버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전원공급선들(36, 37)이 납땜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다. 금속튜브(34)와 금속패드(32)와 전원공급선들(36, 37)의 접촉부분은 몸체(38)에 일체로 결합된 커버몰드(39) 내부에 의해 수용되고 전원공급선들(36, 37)은 커버몰드(39)에 고정되어 외력이 전원공급선들(36, 37)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금속패드(32)와 보조리드(23)의 전기적인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금속 텐션링(28)이 개재될 수 있다. 금속 텐션링(28)은 원통 형상으로 측벽의 일부가 절단되어 오무렸다 폈다 할 수 있어 하우징(10)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금속 텐션링(28)은 전체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조리드(23)가 금속패드(32)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한편, 바람직하게, 각각의 지지부재(16, 26)의 외측 표면에는 내열성 접착제(14, 14')가 도포되어 플러그(12)와 금속 텐션링(28) 또는 커넥터(30)에 접착되어 지지부재(16, 26)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특히, 콜드전극으로부터 인출되는 리드(22)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바, 도 1의 보조리드(23) 대신에 반사판(29)이 적용된다. 반사판(29)은 금속재질로 하우징(10)의 내부에 일측에 배치되는데, 양 단부가 각각 지지부재(16, 26)와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의 간극에 끼워져 고정된다. 특히, 반사판(29)의 타측단부는 하우징(10)의 타측 개구까지 연장되며, 이 경우에는 반사판(29)이 일정한 넓이를 갖기 때문에 텐션링(28)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커넥터(30)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반사판(29)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하우징(10)의 내부에 반사막의 형태로 직접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통상의 숙련가에게는 자명한 기술이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반사판(29)의 타측단부는 후방으로 180°절곡되어 일정간격의 절곡부(29a)와 지지부(29b)가 형성된다. 절곡부(29a)의 간극은 하우징(10)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여, 하우징(10)에 끼워지면 반사판(29)와 지지부(29b)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29b)가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양단이 개구된 캡(40)을 하우징(10)의 타측단부 외측을 커버하도록 끼울 수 있다. 캡(40)을 끼움으로서 반사판(29)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촉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반사판(29)을 절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1과 같이 보조리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보조리드를 적용할 경우에는 절곡된 부분의 내측은 자연적으로 텐션이 부가되어 삽입되는 커넥터와의 접촉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를 스탠드에 실제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어셈블리 자체를 컴팩트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탠드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타 램프들에 비해 저전류이므로 스탠드를 이루는 본체내에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므로서 평상시에는 일반전원을 이용하고, 정전시에는 충전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조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내에 다수개의 램프를 색상별로 설치하여 각각 선택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는 전류의 소모가 적은 냉음극형광램프를 사용하여 램프 어셈블리의 조명시간을 보다 장시간 확보할 수 있고, 컴팩트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한 램프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높은 안정성을 화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탈 가능한 커넥터를 적용하므로서 램프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일정길이를 갖고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투명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개구를 밀봉하는 플러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는 냉음극형광램프;
    상기 냉음극형광램프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냉음극형광램프의 핫전극과 콜드전극에서 각각 인출되는 리드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의 타측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내부에서 상기 각 리드들과 상기 핫전극과 콜드전극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드전극에서 인출되는 리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연장부재를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금속패드;
    상기 몸체의 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핫전극에서 인출되는 리드가 삽입되는 금속 튜브;
    상기 금속튜브와 금속패드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선을 수용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금속 텐션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금속패드는 상기 금속 텐션링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의 타측단부는 후방으로 180°접혀져서 상기 하우징의 에지에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부와 상기 연장부재의 접혀진 부분을 수용하도록 원통형상의 캡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재질은 내열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보조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블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반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어셈 블리.
KR2020000018886U 2000-07-01 2000-07-01 램프 어셈블리 KR200211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86U KR200211378Y1 (ko) 2000-07-01 2000-07-01 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86U KR200211378Y1 (ko) 2000-07-01 2000-07-01 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378Y1 true KR200211378Y1 (ko) 2001-01-15

Family

ID=7305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886U KR200211378Y1 (ko) 2000-07-01 2000-07-01 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3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903B1 (ko) 2004-05-25 2006-03-31 김재학 발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903B1 (ko) 2004-05-25 2006-03-31 김재학 발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120A (en) Lighting device for a stun gun
JP3180784U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の装着構造。
US20070070631A1 (en) [led lamp tube]
US20050184667A1 (en) CCFL illuminated device and method of use
JP401758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904633B1 (ko) 형광램프장치
KR950012968A (ko) 램프의 대체가 용이한 lcd용 역광 장치
KR200211378Y1 (ko) 램프 어셈블리
KR100988409B1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CN212960985U (zh) 可调功率的灯管
JP2004164907A (ja) 照明装置
CN201437929U (zh) 照明装置
CN211738722U (zh) 灯板防收缩条形灯
KR200392020Y1 (ko) 냉음극형광램프 어셈블리
CN214948534U (zh) 一种条形灯
CN212338945U (zh) 一种led日光灯
CN215259289U (zh) 一种便于安装的led灯管及led灯管组件
CN214790980U (zh) 一种灯具驱动模组安装结构及筒灯
KR200255593Y1 (ko) 형광등의 소켓 결합 구조
KR200172501Y1 (ko) 벌브 분리형 3파장 램프
KR200243209Y1 (ko) 램프 어셈블리
KR200219497Y1 (ko) 개인용 휴대 전등
CN2212705Y (zh) 功率通用荧光灯连接装置
KR200233637Y1 (ko) 스타트 결합구조를 가진 형광등소켓
KR200240207Y1 (ko) 냉음극형광램프를 적용한 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