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903B1 -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903B1
KR100565903B1 KR1020040037120A KR20040037120A KR100565903B1 KR 100565903 B1 KR100565903 B1 KR 100565903B1 KR 1020040037120 A KR1020040037120 A KR 1020040037120A KR 20040037120 A KR20040037120 A KR 20040037120A KR 100565903 B1 KR100565903 B1 KR 10056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lug
plugs
connection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2202A (ko
Inventor
김재학
Original Assignee
김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학 filed Critical 김재학
Priority to KR102004003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90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4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ight sources co-operating with movable members, e.g. with shutters to cover or uncover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구를 구비한 다수의 단위 발광체를 소정배열로 접속하여 문자, 그래픽이거나 입체 도형을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는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된 발광튜브(10)와; 상기 발광튜브(10) 내에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20)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20)의 좌우측에서 접속되는 좌·우측 접속구 (30a, 30b)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를 지지하는 지지체(40, 40)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에 연결되는 코드플러그(60)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에 연결되어 또 다른 접속구에 연결되는 접속플러그(50)로 구성되어 단위 발광체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장치로 다수개 연결하여 여러가지 모양의 형상을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접속구, 플러그, 다양한 모양, 형상

Description

발광장치{illuminat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의 단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기판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도4a 및 4b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구의 윗면과 접속구의 밑면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기판과 접속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B" 부분 확대도,
도6a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의 일실시예이고,
도6b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와 접속구가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접속 플러그의 왼쪽 면을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단위 발광체를 3개의 접속구로 연결하여 발광장치를 조립한 실시예,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단위 발광체를 다수의 코드 플러그로 결합시킨 발광장치를 조립한 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4방향으로 접속이 가능한 4방향 플러그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4방향 플러그로 다수의 단위 발광체를 연결하여 6각형모양으로 표시한 발광장치의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5방향으로 접속이 가능한 5방향 플러그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5방향 플러그로 다수의 단위 발광체를 연결하여 사각격자 모양으로 표시한 발광장치의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6방향으로 접속이 가능한 6방향 플러그의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6방향 플러그로 다수의 단위 발광체를 연결하여 정육면체 모양으로 표시한 발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발광튜브 20 : 발광다이오드 기판
30 : 접속구 40 : 지지체
50 : 접속 플러그 60 : 코드 플러그
70 : 4방향 플러그 80 : 5방향 플러그
90 : 6방향 플러그
본 발명은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구를 구비한 다수의 단위 발광 체를 소정배열로 접속하여 문자, 그래픽이거나 입체 도형을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소정배열로하여 모듈을 구성시키는 기술은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었었다. 즉, 이러한 조명장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길게 형성된 회로기판에 배열한 후에 간판의 테두리나 상점의 윈도우 또는 디스플레이 창 등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소비자 등의 시선을 유도하고 광고를 하는 조명등으로 사용되었다.
종래기술로써 대표적인 것으로 미국특허 제6,158,882호에 라이트장치로 이루어진 LED 반도체 라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 라이트 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진 라이트 튜브와 이 튜브 내의 내부공간 내에 위치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와 저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발광장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엔벨로프(envelope)를 구비하여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분산시켜 빛의 유연한 흐름을 유도한다.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엔벨로프와 결합된 회로기판 채널은 유연성 또는 단단한 회로기판과 결합될 수 있다.
이 회로기판은 회로 트레이스를 구비하여 그위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 전류제한 저항에 대하여 외부 전원이 인가된다.
이 미국특허와 유사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2902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고안은 광고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LED가 적어도 1열 이상 배열 형성된 회로기판; 회로기판 상에 배열된 엘이디(LED)가 외부로 표출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양측하단에는 걸림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프레임; 회로기판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양측에 대향되는 고정후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고정후크의 외측으로는 상부프레임이 결합되도록 걸림편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부착수단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상·하부 프레임의 전·후단에 설치되어 상호 연결 설치하도록 하되, 회로기판의 회로가 연결되도록 대응되는 소켓 및 단자를 갖는 연결수단; 엘이디가 배열된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회로기판에 배열된 다수개의 엘이디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발광장치는 2열 또는 다수의 열로 배열하여 단순히 직선을 형성하여 표시할 뿐 다양한 모양을 형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가지의 모양이나 형상을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장치를 구비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모양이나 형상을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에 의한 발광장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된 발광튜브와; 상기 발광튜브 내에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의 좌우측에서 접속되는 좌·우측 접속구 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에 연결되는 코드플러그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에 연결되어 또 다른 접속구에 연결되는 접속플러그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튜브는 용도와 디자인 등에 따라 그 단면이 임의의 다각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열이 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의 윗면 및 아랫면에 상하 모서리를 따라 접속도선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접속도선은 기판 표면에 부착된 박판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한 단자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플러그는 공간상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각을 이루어 배열되는 다수의 플러그를 구비하여 어떤 모양의 형상도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드플러그는 서로 상대방의 코드와 연결되어 다른 발광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도선의 좌우측 단부는 볼록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탄성을 갖는 볼록단자가 형성되어 좌·우측 접속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의 단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에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의 단위 발광체(10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된 발광튜브(10)와; 상기 발광튜브(10) 내에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20)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20)의 좌우측에서 접속되는 좌·우측 접속구 (30a, 30b)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를 지지하는 지지체(40, 40)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에 연결되는 코드플러그(60)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에 연결되어 또 다른 접속구에 연결되는 접속플러그(50)로 구성된다.
발광튜브(1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유리, 크리스탈, 아크릴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20)에서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발광튜브(1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와 디자인 등에 따라 그 단면이 어떤 다각형으로 된 통이면 가능하고, 그 길이도 용도와 디자인 등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발광다이오드 기판(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열이 되도록 배열된다. 기판(20)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22)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된 발광다이오드 (22, 2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구리 등의 도체로 된 박판(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판(20)의 윗면 및 아랫면에 상하 모서리를 따라 접속도선(23, 24)이 각각 2개 부착되고, 윗면 및 아랫면의 상부 모서리에 부착된 접속도선 (23)은 기판(20)의 표면에 부착된 박판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22)의 한 단자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윗면 및 아랫면의 하부 모서리에 부착된 접속도선(24)은 기판(20)의 표면에 부착된 박판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22)의 다른 단자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접속도선(23, 24)의 좌우측 단부는 도3의 "A"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탄성을 갖는 볼록단자(23a, 23b, 24a, 24b)가 형성되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접속구(30a, 30b)에 접속된다.
도4a, 4b 및 도5에 본 발명에 의한 접속구의 윗면과 접속구의 밑면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된다.
좌측 접속구(30a)와 우측접속구(30b)는 동일한 접속구(30)를 좌측과 우측에 사용한 것이다.
접속구(30)는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통이 위아래로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윗쪽 원통의 직경이 아랫쪽 원통의 직경보다 작다. 윗쪽 원통의 윗면 중심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걸쇠(33, 33)(도5)가 장착되어 있어서, 2쌍의 볼록단자 (23a, 23b, 24a, 24b)와 기판(20)이 2쌍의 접속단자(31, 31, 31, 31)에 끼워진다.
이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진 후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 기 한쌍의 걸쇠(33, 33)가 기판(20)의 우측 단부 가운데 형성된 우측 걸림구멍(25b)에 걸려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한쌍의 걸쇠(33, 33)는 좌측 접속구(30a)에도 장착되어 있으며, 기판(20)의 좌측 단부 가운데 형성된 좌측 걸림구멍(25a)에 걸려서 기판(20)이 좌측 접속구(30a)에서 빠지지 못하도록 한다.
접속구(30)의 아랫쪽 원통은 그 밑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부(35)가 형성된다. 상기 공동부(35)에는 4개의 접속핀 (32a, 32b, 32c, 32d)이 그 윗쪽 원통의 밑면에 일체로 장착된다.
접속구(30)가 발광다이오드 기판(20)의 왼쪽으로 끼워질 때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접속구(30a)가 되고, 그 4개의 접속핀(32a, 32b, 32c, 32d)이 코드플러그(60)의 플러그에 연결되어 코드에 연결된 전원공급장치(도시생략)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마찬가지로, 접속구(30)가 발광다이오드 기판(20)의 오른쪽으로 끼워질 때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접속구(30a)가 되고, 그 4개의 접속핀 (32a, 32b, 32c, 32d)이 접속플러그(50)에 연결되어 또 다른 접속플러그(도7 참조)에 끼워져 연결된다.
도5에 본 발명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기판과 접속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B" 부분 확대도가 도시된다.
우측 접속구(30b)는 "B"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윗면에 접속도선(23,24)의 볼록단자(23a, 23b, 24a, 24b)와 접촉되는 접속단자(31)가 장착되어 있다.
한쌍의 접속단자(31, 31)가 좌우측 접속구(30a, 30b)의 윗면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며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윗면의 맞은편 가장자리에 한쌍의 접속단자 (31, 31)가 장착된다.
이 한쌍의 접속단자(31, 31)들 사이에는 도5의 확대도에 도시와 같이 한쌍의 볼록단자(24a, 24b)와 기판(20)이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맞은편에 장착된 한쌍의 접속단자(31, 31) 사이에 한쌍의 볼록단자(23a, 23b)와 기판(20)이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설명은 좌측 접속구(30a)에 장착되는 접속단자와 볼록단자(23a, 23a, 24a, 24a)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좌우측 접속구(30a, 30b)의 윗면의 중심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걸쇠(33, 33)가 장착되어 있어서, 볼록단자(23b, 24b)와 기판(20)이 접속단자(31)에 끼워진 후 상기 한쌍의 걸쇠(33, 33)가 기판(20)의 우측 단부 가운데 형성된 우측 걸림구멍(25b)에 걸려있게 되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하에 기재와 같이 그리고 접속구(30)의 아랫쪽 원통의 측면에는 원통의 축방향으로 다수의 오목홈(36)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 오목홈(36)에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40)의 원통몸체(41)가 끼워지게 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봉 튜브(10)에 발광다이오드 기판(20)을 삽입 하고, 발광봉 튜브(10)의 양쪽 단부를 한쌍의 접속구(30a, 30b)로 끼워 조립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한쌍의 접속구(30a, 30b)에 지지체(40)를 끼워서 벽면이나 쇼윈도우의 모서리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조립된 발광봉을 고정시키기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의 일실시예가 도6a에 도시되고,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와 접속구가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6b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40)는 그 길이가 짧은 원통몸체(41)와; 상기 원통몸체(41)에 일단부가 일체로 부착되어 벽면 등에 고정되는 지지다리(42)와; 상기 지지다리(42)의 타단부에 일체로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발(43, 43')과; 상기 한쌍의 지지발(43, 43')에 형성되는 고정구멍(4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몸체(41)의 내면에는 다수의 볼록부(44)가 형성되어 접속구(30)에 끼워져 도6b의 "C"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 (44)가 접속구(30)의 오목홈(36)에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렇게 지지체(40)의 원통몸체(41)에 좌·우접속구(30a, 30b)를 결합한 상태에서 한쌍의 지지발(43, 43')에 형성된 고정구멍(45)에 고정나사 등으로 벽면이나 쇼윈도우에 고정하게 된다.
도7에 본 발명에 의한 접속 플러그의 왼쪽 면을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속 플러그(50)는 좌측 원통몸체(51)와; 상기 좌측 원통몸 체(51)의 좌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개구된 공동부(55)를 구비하는 좌측 결합원통(52)과; 상기 좌측 결합원통(52)의 내부에 상기 좌측 원통몸체(51)의 좌측면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4개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과; 우측 원통몸체(51')와; 상기 우측 원통몸체(51')의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개구된 공동부(55')를 구비하는 우측 결합원통(52')과; 상기 우측 결합원통(52')의 내부에 상기 우측 원통몸체(51')의 우측면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4개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결합원통(52)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과 상기 우측 원통몸체(52')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은 좌측 원통몸체(51)와 우측 원통몸체(51')의 내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결합원통(52)에 끼워지는 우측 접속구(30b)의 접속핀(32a, 32b, 32c, 32d)은 좌측 결합원통(52)의 4개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과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4개의 플러그 접속핀 (53a, 53b, 53c, 53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우측 원통몸체(52')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렇게 접속구(30)에 접속 플러그(50)를 결합시킬때 접속구(30b)의 접속핀(32a, 32b, 32c, 32d)은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에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접속구(30)의 아랫쪽 원통의 밑면에는 오목부(37)(도4a 및 도4b)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37)에 끼워지도록 접속 플러그(50)의 좌측 결합원통(52)에 볼록부 (52a)를 형성시킨다.
그리하여, 접속구(30)에 접속 플러그(50)를 결합시킬때 상기 오목부 (37)를 볼록부(52a)에 맞추어 결합시키면, 접속핀(32a)은 플러그 접속핀(53a)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접속핀(32b)은 플러그 접속핀(53b)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접속핀(32c)은 플러그 접속핀(53c)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접속핀(32d)은 플러그 접속핀(53d)에 대응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방법으로 접속구(30)에 접속 플러그(50)를 결합시켜 다수의 단위 발광체 (100)를 원하는 길이의 원하는 모양으로 연결시켜 발광시킴으로써 다양한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8에 본 발명에 의한 단위 발광체를 3개의 접속구로 연결하여 발광장치를 조립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치는 좌측 단부에 코드 플러그(60)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좌측단부는 전원공급장치(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제1단위 발광체(100)는 그 좌측에 결합된 코드 플러그(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고, 제1단위 발광체(100)와 제2단위 발광체(100')는 접속플러그(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제2단위 발광체(100')에도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3단위 발광체(100")는 제2단위 발광체(1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단위 발광체를 다수의 코드 플러그로 결합시킨 발광장치를 조립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치는 좌측 단부뿐만아니라 단위 발광체(100, 100')(100', 100") 사이에도 코드 플러그(60)가 결합되어 있다. 제1코드 플러그(60a)의 좌측단부는 전원공급장치(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제1단위 발광체(100)는 그 좌측에 결합된 제1코드 플러그(60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고, 제1단위 발광체(100)와 제2단위 발광체 (100')는 제2코드 플러그(60b)와 제3코드 플러그(60c)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제2단위 발광체(100')에도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3단위 발광체(100")는 제4코드 플러그(60d)와 제5코드 플러그(60e)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단위 발광체(1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최우측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7코드 플러그(60f)는 다음에 결합되는 단위 발광체(1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상은 좌우 양쪽으로 접속구(30)와 연결되는 접속플러그(50) 또는 코드 플러그(60)에 의해 다수의 단위 발광체(100)를 연결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며, 다음에는 좌우 양쪽 뿐만아니라 상하및 전후 방향으로도 접속구와 연결이 가능한 접속플러그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에 본 발명에 의한 4방향으로 접속이 가능한 4방향 플러그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4방향 플러그(70)는 동일한 평면에 놓이고 서로 120°의 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되는 3개의 플러그(71, 72, 73)와 상기 3개의 플러그(71, 72, 73)에 수직한 플러그(74)로 구성된다.
상기 4개의 플러그(71, 72, 73, 74)는 도7에 도시된 접속 플러그(50)와동일한 구조이지만, 일방향으로만 플러그가 형성되고, 반대쪽은 다른 플러그들과 일체로 된다.
플러그(71)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은 다른 플러그 (72, 73, 74)들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들과 각각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하여, 플러그(71)의 플러그 접속핀(53a)은 다른 플러그 (72, 73, 74)들의 플러그 접속핀(53a)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러그(71)의 플러그 접속핀(53b)은 다른 플러그 (72, 73, 74)들의 플러그 접속핀(53b)과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하 마찬가지로 플러그(71)의 플러그 접속핀(53c, 53d)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11에 본 발명에 의한 4방향 플러그로 다수의 단위 발광체를 연결하여 6각형모양으로 표시한 발광장치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4방향 플러그(70)로 2개의 6각형 모양을 형 성한 것이다.
4방향 플러그(70a)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72a, 73a)로 단위 발광체(100a, 100f)를 연결하고, 4방향 플러그(70b)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72b, 73b)로 단위 발광체(100a, 100b)를 연결하고, 4방향 플러그(70c)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71c, 73c)로 단위 발광체(100b, 100c)를 연결하고, 4방향 플러그(70d)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72d, 73d)로 단위 발광체(100c, 100d)를 연결하고, 4방향 플러그(70e)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72e, 73e)로 단위 발광체(100d, 100e)를 연결하고, 4방향 플러그(70f)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72f, 73f)로 단위 발광체(100e, 100f)를 연결하여 좌측의 6각형을 형성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우측의 6각형 모양을 형성할 수 있고, 나머지 4방향 플러그(70)에 단위 발광체(100)를 연결하여 다수의 연속되는 6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12에 본 발명에 의한 5방향으로 접속이 가능한 5방향 플러그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5방향 플러그(80)는 동일한 평면에 놓이고 서로 90°의 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되는 4개의 플러그(81, 82, 83, 84)와 상기 4개의 플러그(81, 82, 83, 84)에 수직한 플러그(85)로 구성된다.
상기 5개의 플러그(81, 82, 83, 84, 85)는 도7에 도시된 접속 플러그(50)와동일한 구조이지만, 일방향으로만 플러그가 형성되고, 반대쪽은 다른 플러그들과 일체로 된다.
플러그(81)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은 다른 플러그(82, 83, 84, 85)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들과 각각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13에 본 발명에 의한 5방향 플러그로 다수의 단위 발광체를 연결하여 사각격자 모양으로 표시한 발광장치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5방향 플러그(80)로 사각격자 모양을 형성한 것이다.
5방향 플러그(80a)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82a, 83a)로 단위 발광체(100a, 100d)를 연결하고, 5방향 플러그(80b)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83b, 84b)로 단위 발광체(100a, 100b)를 연결하고, 5방향 플러그(80c)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81c, 84c)로 단위 발광체(100b, 100c)를 연결하고, 5방향 플러그(80d)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81d, 82d)로 단위 발광체(100c, 100d)를 연결하여 사각형상을 형성한다.
한편, 5방향 플러그(80b, 80d)의 수직방향 플러그(85b, 85d)에 단위 발광체(100e, 100f)를 연결하고 단위 발광체(100e, 100f)의 다른 단자에 코드 플러그(60e, 60f)를 연결하여 전원에 접속하여 본 사각형상 발광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외에도 5방향 플러그(80a)에는 그의 일평면으로 4개의 플러그(81a, 82a, 83a, 84a)가 설치되고, 5방향 플러그(80b)에는 그의 일측면으로 4개의 플러그(81b, 82b, 83b, 84b)가 고정되며, 5방향 플러그(80c)에는 그의 일측면으로 4개의 플러그(81c, 82c, 83c, 84c)가 설치되며, 5방향 플러그(80d)에는 그의 일측면으로 4개의 플러그(81d, 82d, 83d, 84d)들이 설치된다.
도14에 본 발명에 의한 6방향으로 접속이 가능한 6방향 플러그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6방향 플러그(90)는 동일한 평면에 놓이고 서로 90°의 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되는 4개의 플러그(91, 92, 93, 94)와 상기 4개의 플러그(91, 92, 93, 94)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수직한 플러그(95, 96)로 구성된다.
상기 6개의 플러그(91, 92, 93, 94, 95, 96)는 도7에 도시된 접속 플러그(50)와동일한 구조이지만, 일방향으로만 플러그가 형성되고, 반대쪽은 다른 플러그들과 일체로 된다.
플러그(91)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은 다른 플러그(92, 93, 94, 95, 96)의 플러그 접속핀(53a, 53b, 53c, 53d)들과 각각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15에 본 발명에 의한 6방향 플러그로 다수의 단위 발광체를 연결하여 정육면체 모양으로 표시한 발광장치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6방향 플러그(90)로 정육면체 모양을 형성한 것이다.
6방향 플러그(90a)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93a, 94a)로 단위 발광체(100a, 100d)를 연결하고, 6방향 플러그(90b)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91b, 94b)로 단위 발광체(100a, 100b)를 연결하고, 6방향 플러그(90c)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91c, 92c)로 단위 발광체(100b, 100c)를 연결하 고, 6방향 플러그(90d)의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2개의 플러그(91d, 92d)로 단위 발광체(100c, 100d)를 연결하여 사각형상을 형성한다.
한편, 6방향 플러그(90a, 90b, 90c, 90d)의 수직방향 플러그(95a, 95b, 95c, 95d)에 단위 발광체를 연결하고 다시 앞서의 사각형상을 연결하여 정육면체를 형성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좌·우·상·하 방향으로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사각형상을 형성하여 연결하면 연속적인 직유면체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위 발광체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장치로 다수개 연결하여 여러가지 모양의 형상을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다.

Claims (7)

  1.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된 발광튜브(10)와;
    상기 발광튜브(10) 내에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 기판(20)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기판(20)의 좌우측에서 접속되는 좌·우측 접속구 (30a, 30b)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를 지지하는 지지체(40, 40)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에 연결되는 코드플러그(60)와;
    상기 좌·우측 접속구(30a, 30b)에 연결되어 또 다른 접속구에 연결되는 접속플러그(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튜브(10)는 용도와 디자인 등에 따라 그 단면이 임의의 다각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 기판(20)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고 하나 이상의 열이 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0)의 윗면 및 아랫면에 상하 모서리를 따라 접속도선(23, 24)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접속도선(23, 24)은 기판(20)의 표면에 부착된 박판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22)의 한 단자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접속플러그(50)는 공간상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각을 이루어 배열되는 다수의 플러그를 구비하여 어떤 모양의 형상도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플러그(60)는 서로 상대방의 코드와 연결되어 다른 발광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도선(23, 24)의 좌우측 단부는 볼록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탄성을 갖는 볼록단자(23a, 23b, 24a, 24b)가 형성되어 좌·우측 접속구(30a, 30b)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KR1020040037120A 2004-05-25 2004-05-25 발광장치 KR10056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20A KR100565903B1 (ko) 2004-05-25 2004-05-25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20A KR100565903B1 (ko) 2004-05-25 2004-05-25 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202A KR20050112202A (ko) 2005-11-30
KR100565903B1 true KR100565903B1 (ko) 2006-03-31

Family

ID=3728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120A KR100565903B1 (ko) 2004-05-25 2004-05-25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904A (ko) * 2006-07-28 2008-01-31 주식회사 씨쎄븐 발광 소자 내장형 조명 장치, 브라켓 및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589B1 (ko) * 2014-03-25 2014-08-26 (주)대영전장시스템 견고한 램프 지지 구조를 가진 야외용 조명 장치
KR101434586B1 (ko) * 2014-03-25 2014-08-26 (주)대영전장시스템 수밀 구조와 연결 구조를 가진 야외용 조명 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391Y1 (ko) 1997-10-31 2000-02-01 김천경 이·미용실표시등
KR20000012579A (ko) * 1999-12-13 2000-03-06 박기점 엘이디발광 표시기구
KR200211378Y1 (ko) 2000-07-01 2001-01-15 김종국 램프 어셈블리
KR200285299Y1 (ko) 2002-05-15 2002-08-13 남기창 회전식 티자형 멀티탭
KR20020088289A (ko) * 2001-05-21 2002-11-27 주식회사 필룩스 형광 램프
KR20030014952A (ko) * 2001-08-13 2003-02-20 김부현 형광빛 led 램프를 사용한 형광등 램프
KR200320113Y1 (ko) 2003-04-18 2003-07-22 리드세프티(주) 윙카 튜브용 전원 공급 장치
KR200329026Y1 (ko) 2003-07-08 2003-10-04 서재홍 광고용 조명장치
KR20050054046A (ko) * 2003-12-03 2005-06-10 선길섭 형상변형 고정수단을 구비한 줄네온
KR20190000053U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391Y1 (ko) 1997-10-31 2000-02-01 김천경 이·미용실표시등
KR20000012579A (ko) * 1999-12-13 2000-03-06 박기점 엘이디발광 표시기구
KR200211378Y1 (ko) 2000-07-01 2001-01-15 김종국 램프 어셈블리
KR20020088289A (ko) * 2001-05-21 2002-11-27 주식회사 필룩스 형광 램프
KR20030014952A (ko) * 2001-08-13 2003-02-20 김부현 형광빛 led 램프를 사용한 형광등 램프
KR200285299Y1 (ko) 2002-05-15 2002-08-13 남기창 회전식 티자형 멀티탭
KR200320113Y1 (ko) 2003-04-18 2003-07-22 리드세프티(주) 윙카 튜브용 전원 공급 장치
KR200329026Y1 (ko) 2003-07-08 2003-10-04 서재홍 광고용 조명장치
KR20050054046A (ko) * 2003-12-03 2005-06-10 선길섭 형상변형 고정수단을 구비한 줄네온
KR20190000053U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904A (ko) * 2006-07-28 2008-01-31 주식회사 씨쎄븐 발광 소자 내장형 조명 장치, 브라켓 및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202A (ko)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4708B2 (en) Structured light-emitting module for lighting apparatus
US7408370B2 (en) Lighting device
US7703941B2 (en) Expandable LED module for arbitrarily display assembly
WO2002077519A1 (en) Flexible circuit board with led lighting
JP2005084691A (ja) 構成可能な大画面ディスプレイ用途で使用するためのディスプレイピクセルモジュールと、該ピクセルモジュール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
US9631802B2 (en) Direct-type LED backlight module
US8157409B2 (en) Light emitting means
KR100565903B1 (ko) 발광장치
KR100988118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7445355B2 (en) Matrix display using cassette light units
KR101846789B1 (ko) 발광 블록 및 이를 갖는 발광 시스템
KR20120006859A (ko)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KR101000799B1 (ko) 빛연출장치
CA2872693C (en) Linear led fixture with improved viewing angle
JP2016197512A (ja) Led照明器具
KR200443911Y1 (ko) 다용도 발광장치
KR200448289Y1 (ko) 광고용 판넬의 엘이디 조명장치
WO2011086176A1 (en) Illumination device
KR101196534B1 (ko) Led 모듈 테스트 소켓
US20090310066A1 (en) LED tile Luminance control circuitry and display containing the same
KR102370534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 및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80666B1 (ko) 엘이디 모듈 스트링
KR20060037891A (ko)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 기판
KR200277299Y1 (ko) 케이블 통전 시험용 테스터
US11624485B1 (en) Illumination set and alphabet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