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541Y1 -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541Y1
KR200142541Y1 KR2019950033666U KR19950033666U KR200142541Y1 KR 200142541 Y1 KR200142541 Y1 KR 200142541Y1 KR 2019950033666 U KR2019950033666 U KR 2019950033666U KR 19950033666 U KR19950033666 U KR 19950033666U KR 200142541 Y1 KR200142541 Y1 KR 200142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door
bar
present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640U (ko
Inventor
정희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3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41Y1/ko
Publication of KR970021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에 측면충돌이 가해질 때 그 충격에너지를 도어내에서 흡수하도록 하는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충돌에 대한 도어의 강성을 높여 차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동시에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유리한 구조를 취하기 위하여, 임팩트 바(2) 상면의 수평방향으로 가로 놓여지는 단면형상의 충격보강부재(3)를 측면충돌에 대한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휨 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으로 작용가능하게 임팩트 바(2)와 도어내측패널(4) 측면에 용접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예시한 차량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해당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충돌에 따른 변형후의 예시도.
제4도는 제1도의 A-A선에 해당하는 종래의 승용차 도어와 측면충돌에 대한 설명도.
*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도어외측패널 2 : 임팩트 바
3 : 충격보강부재 4 : 도어내측패널
본 고안은 승용차에 측면충돌이 가해질 때 그 충격에너지를 도어내에서 흡수하도록 하는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용차 도어에는 제4도와 같이 도어외측패널(21) 내면과 접히는 임팩트 바(22)를 도어 하부측에 가로질러 설치하고 있었다.
상기 임팩트 바(22)는 대차(23)가 화살표방향으로 측면충돌할 경우에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임팩트 바(22)가 소탄성변형되는 탄성한도를 넘어 항복점 이상의 충격하중을 받게 되면 쉽게 휘어져 들어가기 때문에 가상선 표시와 같이 도어외측패널(21)은 물론 도어내측패널(24)과 사이드 씰(25)까지 변형되면서 실내로 밀려들어와 차체의 큰 손상은 물론 실내의 승객 상해치가 그 만큼 높아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부위에 강성을 높여야 하고, 이러한 강성의 높힘에 있어서도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야 승객 상해치를 극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충돌에 대한 도어의 강성을 높여 차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동시에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유리한 구조를 취하여 승객을 보호코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팩트 바 상면이 수평방향으로 가로 놓여지는 단면형상의 충격보강부재를 측면충돌에 대한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휨 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으로 작용가능하게 임팩트 바와 도어내측패널 측면에 용접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차량의 도어(B) 하부에 도어(B)의 길이방향, 즉 횡방향으로 적용된다.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도어외측패널(1) 내면과 접히는 임팩트 바(2)가 가로질러 설치된 것에 있어서,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충격보강부재(3), 즉 도어외측패널(1)측의 플랜지는 밑을 향하도록 절곡되고, 도어내측패널(4)측의 플랜지는 위를 향하도록 절곡된 충격보강부재(3)를 임팩트 바(2) 상면을 지나가는 수평방향으로 가로 놓여지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하여 일측의 플랜지는 임팩트 바(2)와 도어외측패널(1)의 사이에서 임팩트 바(2)에 용접되게 하고, 타측의 플랜지는 도어내측패널(4) 내측면에 용접되게 한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임팩트 바(2)를 기존의 임팩트 바(22)의 설치위치보다 약간 내려서 설치한 것이다. 그 이유는 대차(23)에 의한 충격하중 작용시에 도어가 꺽이는 부분이 기존의 임팩트 바(2) 설치위치보다 밑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꺽임현상을 억제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충격보강부재(3)가 임팩트 바(2)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임팩트 바(2)를 기존위치에 설치하면 도어 글래스 하단이 충격보강부재(3)에 닿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5는 사이드 씰(side sill)이다.
따라서, 제4도와 같은 조건으로 대차(23)가 측면충돌하게 되면 제3도와 같이 변형하게 되는데, 임팩트 바(2)가 소탄성변형 또는 이 소탄성변형 구간을 지나 밀려 들어가게 되면 충격보강부재(3)가 후속적으로 소탄성변형 또는 항복점 이상의 영구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상기 과정에서 임팩트 바(2)는 충격보강부재(3)에 의하여 강성이 실질적으로 보강되고, 충격보강부재(3)측에서는 넓은 평면을 충격하중의 작용방향과 일치되게 가지면서 임팩트 바(2) 상면에 일단이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임팩트 바(2)가 내부로 밀려 들어올 때 휨 모멘트를 작용받게 되므로 탄성변형되는 량이 증가하여 측면충돌에 대한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충격보강부재(3)를 설치하지 않았을 때보다 도어외측패널(1)과 도어내측패널(4) 및 사이드 씰(5)을 포함하는 차체가 실내로 밀려 들어가는 정도는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충격보강부재를 임팩트 바에 대한 강성보강은 물론 충격에너지를 휨 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 의하여 흡수케 한 것으로서, 차체의 강성을 유지하여 도어가 실내로 밀려 들어가지 않게 하므로써 차체의 변형방지와 실내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임팩트 바 상면의 수평방향으로 가로 놓여지는 단면형상의 충격보강부재를 측면충돌에 대한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휨 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으로 작용가능하게 임팩트 바(2)와 도어내측패널 측면에 용접한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2019950033666U 1995-11-15 1995-11-15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200142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666U KR200142541Y1 (ko) 1995-11-15 1995-11-15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666U KR200142541Y1 (ko) 1995-11-15 1995-11-15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640U KR970021640U (ko) 1997-06-18
KR200142541Y1 true KR200142541Y1 (ko) 1999-06-01

Family

ID=1942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666U KR200142541Y1 (ko) 1995-11-15 1995-11-15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5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640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2541Y1 (ko)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00233500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200142531Y1 (ko) 승용차 도어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00233501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00282275B1 (ko) 자동차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33502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20000018315U (ko) 차량의 충격 흡수장치
KR200179580Y1 (ko) 승용차 사이드 씰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00233503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200179579Y1 (ko) 승용차 사이드 씰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00204510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27074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012053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0127089Y1 (ko) 도어 임팩트 빔 브래킷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0120431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센타플로워 리어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970006759Y1 (ko) 자동차 도아의 로크보강판과 임팩트바의 연결구조
KR200148108Y1 (ko) 차량용 측면도어 구조
KR200161055Y1 (ko) 자동차의 도어 측면 보강장치
KR200152943Y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KR0128305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200158273Y1 (ko) 승용차의 센터 필러부 단면구조
KR100231534B1 (ko) 범퍼 리인포스먼트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