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425Y1 - 주름관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주름관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425Y1
KR200142425Y1 KR2019960003348U KR19960003348U KR200142425Y1 KR 200142425 Y1 KR200142425 Y1 KR 200142425Y1 KR 2019960003348 U KR2019960003348 U KR 2019960003348U KR 19960003348 U KR19960003348 U KR 19960003348U KR 200142425 Y1 KR200142425 Y1 KR 200142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packing
nut
fastener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294U (ko
Inventor
오승일
Original Assignee
오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일 filed Critical 오승일
Priority to KR2019960003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425Y1/ko
Publication of KR970052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킹(20)의 외측에 체결구(10)의 입구에 걸리는 단턱(21)을 형성하여 주름관(50)을 연결장치에 삽입시 패킹(20)이 주름관(50)에 걸려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주름관(50)을 오조립시에는 너트(30)를 약간 풀고 주름관(50)을 당겨주는 것만으로 연결장치로 부터 주름관(50)를 빼내 재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관 연결 구조
제1도(a)(b)는 종래의 주름관 연결 장치에 주름관을 끼울대 패킹이 눌려지게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름관 연결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a)(b)(c)는 본 고안의 주름관 연결 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결구 11 : 나사부
20 : 패킹 21 : 단턱
30 : 너트 31 : 경사면
40 : 압착링 41 : 걸림편
50 : 주름관 51 : 주름요구
본 고안은 주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름관을 끼워넣고 너트를 조이게 되면 주름요구에 압착링의 걸림편이 끼워져 주름관에 유통되는 가스압이나 유압, 수압이 증대되어도 연결구에서 주름관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은 물론 유통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주름관의 연결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 주름관은 절곡이 자유롭기 때문에 배관작업이 용이하여 온수배관시설이나 가스배관시설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재 주름관과 다른 관체를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금속재 주름관과 체결구 사이에 패킹과 평면형 압착링을 끼우고 너트로서 결속하였기 때문에 주름관에 유통되는 가스압이나 유압, 수압이 큰 경우에는 주름관이 연결장치로 부터 이탈될 염려되거나 기밀 상태가 손상되어 유통물이 누출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다수의 걸림편(b)이 내향으로 경사지게 돌설된 압착링(a)을 패킹(c)의 내경에 상기 걸림편(b)이 삽입되어 너트(d)를 조여주는데 따라 내향으로 오므려지게 한 것이 있으나 이것은 제1도(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c)의 외경이 체결구(e)에 압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관(f)을 끼워넣을때 주름관(f)의 끝에 상기 패킹(c)이 걸리게 되면 패킹(c)이 체결구(e) 내로 밀려들어간 상태로 오조립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압착링(a)의 걸림편(b)이 탄성력이 양호한 패킹(c)의 내경에 눌려지도록 체결되어있기 때문에 주름관(f)이 오조립 된 경우나 수리시 너트(d)를 어느정도 풀어도 걸림편(b)이 주름요구(e)에서 빠지지 않으며 주름관(f)을 무리해서 잡아당기게 되면 압착링(a)의 걸림편(b)이 손상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주름요구에 압착링의 걸림편이 끼워져 주름관에 유통되는 가스압이나 유압, 수압이 증대되어도 연결구에서 주름관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은 물론 유통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주름관을 오조립시에는 너트를 약간 풀고 주름관을 당겨주는 것만으로 연결장치로 부터 주름관을 빼내 재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의 내경에 끼워지는 패킹과, 상기 패킹과 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공지의 압착링으로 된 주름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내측에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압착링의 내향경사 걸림편이 상기 경사면에 대향되게 설치하여서 된 주름관 연결장치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11)가 형성된 체결구(10)와, 상기 체결구(10)의 내경에 일부분이 끼워지는 패킹(20)과, 상기 패킹(20)과 너트(30)사이에 설치되는 공지의 압착링(40)으로 된 주름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0)의 입구에 걸리는 단턱(21)을 패킹(20)의 외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너트(30)의 내측에는 경사면(31)을 형성하여 압착링(40)의 내향경사 걸림편(41)이 상기 경사면(31)에 대향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패킹(20)은 일부분이 체결부(10)의 내경에 끼워지게 되며 나머지 부분은 체결부(10)에서 돌출되게 되는데 돌출된 부분은 단척(21)이 체결구(10)의 입구에 걸려있기 때문에 더 이상 체결구(10) 내로 들어가지 않으며, 압착링(40)은 안착면(42)이 패킹(20)에 맞닿게 되고 내향경사 걸림편(41)은 너트(30)의 경사면(31)을 향하게 된 상태에서 제3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0)가 체결구(10)의 나사부(11)에 체결된다.
이렇게 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주름관(50)과는 별도의 독립된 제품으로 유통,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은 연결장치를 각 부분품으로 취급하는 과정에서 처럼 패킹(20)이나 압착링(40) 등이 손상되거나 분실될 염려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연결장치에 주름관(50)을 끼워넣게 될때 압착링(40)의 내향경사 걸림편(41)은 주름관(50)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벌어져 있으며, 패킹(20)은 단턱(21)이 체결구(10)의 입구에 걸려있기 때문에 주름관(50)의 압입력에 의해 종래처럼 안쪽으로 밀려들어갈 염려가 없다.
주름관(50)을 연결장치에 삽입하고 너트(30)를 조여주게 되면 너트(30)의 경사면(31)에 의해 압착링(40)의 내향경사 걸림편(41)이 내향으로 오므라지게 됨으로써 제3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50)의 주름요구(51)에 내향경사 걸림편(41)이 걸리게 되어 연결장치로 부터 주름관(50)이 빠지지 않게 결합된다.
내향경사 걸림편(41)은 너트(30)의 경사면(31)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주름관(50)에 대한 체결력이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되며, 이것은 주름관(50)에 작용하는 유출압력이 증대되어도 기밀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주름관(50)이 오조립되었거나 정비하기 위하여 연결장치로 부터 주름관(50)을 분해 해야 할 경우에는 너트(30)를 약간 풀어 내향경사 걸림편(41)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외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주름관(50)을 잡아당기게 되면 내향경사 걸림편(41)이 끼워 넣을때와 마찬가지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패킹(20)의 외측에 체결구(10)의 입구에 걸리는 단턱(21)을 형성하여 주름관(50)을 연결장치에 삽입시 패킹(20)이 주름관(50)에 걸려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주름관(50)을 오조립시에는 너트(30)를 약간 풀고 주름관(50)을 당겨주는 것만으로 연결장치로 부터 주름관(50)을 빼내 재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1)

  1. 나사부(11)가 형성된 체결구(10)와, 상기 체결구(10)의 내경에 일부분이 끼워지는 패킹(20)과, 상기 패킹(20)과 너트(30)사이에 설치되는 공지의 압착링(40)으로 된 주름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너트(30)의 내측에는 경사면(31)을 형성하고 상기 압착링(40)의 내향경사 걸림편(41)이 상기 경사면(31)에 대향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구조.
KR2019960003348U 1996-02-24 1996-02-24 주름관 연결 구조 KR200142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348U KR200142425Y1 (ko) 1996-02-24 1996-02-24 주름관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348U KR200142425Y1 (ko) 1996-02-24 1996-02-24 주름관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294U KR970052294U (ko) 1997-09-08
KR200142425Y1 true KR200142425Y1 (ko) 1999-06-01

Family

ID=1945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348U KR200142425Y1 (ko) 1996-02-24 1996-02-24 주름관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4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294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074B1 (ko) 잠금클램프가 부착된 튜브커플링 조립체 및 유체시스템장치
US6533332B2 (en) Coupling for connecting a tubular fitting to a pipe
CA2035501A1 (en) Fluid-tight connectors for fluid-carrying pipe-lines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US3030129A (en) High pressure fitting for flexible conduits
KR200142425Y1 (ko) 주름관 연결 구조
KR100242821B1 (ko)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US3549179A (en) Split flange connection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CA2733285A1 (en) Pipe joint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JPH0640576U (ja) 管継手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19990039439U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80006508U (ko) 배관 연결구
JPS60544Y2 (ja) 水道管接合部における管の逸脱防止装置
KR10200067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KR980008810U (ko) 복합형 파이프 연결밸브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10067996A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JPH11336965A (ja) 流体管の接続装置
KR200325929Y1 (ko) 관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