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236Y1 -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236Y1
KR200142236Y1 KR2019940037962U KR19940037962U KR200142236Y1 KR 200142236 Y1 KR200142236 Y1 KR 200142236Y1 KR 2019940037962 U KR2019940037962 U KR 2019940037962U KR 19940037962 U KR19940037962 U KR 19940037962U KR 200142236 Y1 KR200142236 Y1 KR 200142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ate
housing
clutch
clutch device
driven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255U (ko
Inventor
김광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37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236Y1/ko
Publication of KR960021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46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in which two axially-movable members, of which one is attached to the driving side and the other to the driven side,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13/4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in which two axially-movable members, of which one is attached to the driving side and the other to the driven side,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 force between the actuating sleeve or equivalent member and the pressur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엔진과 같은 구동측과, 변속기와 같은 피구동측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 장치가 동력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하여, 구동측과 피구동측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피구동측은 외력(클러치 페달의 답력)에 의해 전후진 하는 하우징(24)과, 이 하우징내에 탄성부재(26)로 탄지되는 가동부재(28)와, 상기한 하우징(24)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압력판(20)과, 이 압력판과 상기한 가동부재(28)를 힌지연결하는 로드부재(30)로 구성되어 클러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구동측(A)과 피구동측(B)의 마찰면이 경사지도록 된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Description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러치 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클러치 장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압력판 24 : 하우징
26,32 : 탄성부재 28 : 가동부재
30 : 로드부재 A : 구동측
B : 피구동측
본 고안은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동력 전달상태로 클러칭이 이루어질때 구동측의 토오크를 흡수하여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 장치는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시 엔진으로 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변속 완료후 다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에 사용되는 클러치는 실질적으로 엔진의 회전 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것이므로 피구동 부분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있거나, 또는 엔진측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에 있는 상태에서는 클러치 접속시 충격이 발생한다.
이러한 충격은 회전수 차이로 인하여 접속시 발생하는 충격이므로 충격을 점감시키기 위해서는 클러칭 작동이 시작될때에는 슬립상태(반클러치 상태)로 이루어지면서 클러칭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차량에 사용되는 클러치 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숙련 운전자는 그러한 조작이 사실상 용이치 않다.
따라서 차량 출발시 차량의 흔들이 발생하며, 또 주행시에도 클러칭이 늦게되거나 너무 빠르게 되어 변속충격을 느끼게 된다.
제2도는 차량에 설치되는 종래의 클러치 장치 측단면도로서, 변속기 입력축(2)에 스플라인 결합된 압력판(4)과, 이 압력판(4)이 마찰접촉하는 클러치 디스크(6)가 부착된 플라이 휘일(8)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압력판(4)은 클러치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된 릴리스 레버(12)와 연결되고 있으며, 또 이 하우징 내측에서 탄성부재(14)에 의해 탄지되어 항시 클러치 디스크와 접촉할 수 있는 힘을 받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구조의 클러치 장치는 클러치 페달(16)이 밟혀지면, 그 힘이 릴리스 포크(18)를 통하여 릴리스 레버(12)로 전달되면서 이 레버를 회동시키게 되므로 압력판(4)을 후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압력판(4)은 클러치 디스크(6)로 부터 분리되어 플라이 휘일((8)의 회전동력을 변속기 입력축(2)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16)을 놓게 되면 릴리스 레버(12)로 전달되는 힘이 소멸되므로 압력판(4)은 탄성부재(14)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6)에 밀착되어 플라이 휘일(8)의 동력을 변속기 입력축(2)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압력판(4)과 클러치 디스크(6)과 평행하게 마주보고 있는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클러칭 작동이 이루어질때 처음부터 디르 마찰면이 전체적으로 접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플라이 휘일(8)의 동력이 순간적으로 전달되므로 그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 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변속감을 향상시키며 안전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구동측과 피구동측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피구동측은 외력(클러치 페달의 답력)에 의해 전후진 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탄성부재로 탄지되는 가동부재와, 상기한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압력판과, 이 압력판과 상기한 가동부재를 힌지연결하는 로드부재로 구성되어 클러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구동측과 피구동측의 마찰면이 경사지도록 된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러치 장치의 측단면도로서, 구동측과 피구동측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측(A)은 차량의 경우 플라이 휘일에 해당하며, 피구동측(B)은 압력판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구동측(B)은 압력판(20)과, 이 압력판의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이 압력판을 구동측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유지시키는 슬립수단(22)을 포함한다.
상기한 슬립수단(22)은 압력판(20)에 힌지결합되는 하우징(24)과, 이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가동부재(28)와, 이 가동부재(28)와 압력판(20)을 힌지결합으로 연결하는 로드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한 압력판(20)과 하우징(24)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2)가 제공되어 피구동측(B)이 구동측(A)에 마찰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24)은 가동부재(28)를 내장시키기 위한 챔버(34)를 갖고 있으며, 이 챔버는 상기한 로드부재(30)를 가동부재와 연결할 수 있도록 슬릿(36)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압력판(20)이 구동측(A)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인데, 이 탄성부재(26)는 탄성부재(32)의 탄성력보다도 커야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클러치 장치는, 제1도와 같이 동력전달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챔버(34)내의 탄성부재(26)에 의해 가동부재(28)가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압력판(20)이 구동측(A)에 대하여 기울어진 자세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을 놓게 되면,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하우징(24)은 우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것은 탄성부재(3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으로 압력판(20)은 구동측(A)의 마찰면에 접촉을 시작하면서 상호간 슬립이 일어나면서 구동측(A)의 동력을 부분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접촉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도면에서 볼때 상부측이 먼저 접촉을 시작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24)이 더욱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챔버(34)내의 가동부재(28)는 로드부재(30)를 통하여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로드부재(30)에 힌지결합된 압력판(20)의 상부는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서서히 바로 세워지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압력판(20)온 구동측(A)의 마찰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상기한 작용은 점차적으로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결국 압력판(20)이 구동측(A) 마찰면과 대향하는 자세로 되면서 이들은 전체면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클러칭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구동측(A)의 회전동력이 피구동측(B)측으로 왼전히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는, 구동측과 피구동측을 경사진 자세로 마주보게 하고 클러칭이 이루어지면서 접촉면이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 초기에는 슬립이 일어나면서 부분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클러칭 완료시에는 마찰면의 증가로 슬립이 일어나지 않아 동력전달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1)

  1. 구동측과 피구동측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피구동측은 외력(클러치 페달의 답력)에 의해 전후진하는 하우징(24)과, 이 하우징내에 탄성부재(26)로 탄지되는 가동부재(28)와, 상기한 하우징(24)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압력판(20)과, 이 압력판과 상기한 가동부재(28)를 힌지연결하는 로드부재(30)로 구성되어 클러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구동측(A)과 피구동측(B)의 마찰면이 경사지도록 된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KR2019940037962U 1994-12-29 1994-12-29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KR200142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962U KR200142236Y1 (ko) 1994-12-29 1994-12-29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962U KR200142236Y1 (ko) 1994-12-29 1994-12-29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255U KR960021255U (ko) 1996-07-18
KR200142236Y1 true KR200142236Y1 (ko) 1999-06-01

Family

ID=1940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962U KR200142236Y1 (ko) 1994-12-29 1994-12-29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2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255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8712B2 (ja) ボールランプ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駆動系クラッチ
CA2147290A1 (en) Clutch with a Centrifugally Applied Ball Ramp Actuator
KR100368658B1 (ko) 차량용 클러치
JPS6053223A (ja) クラツチ装置
SU950200A3 (ru) Привод управлени синхронизатором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и муфтой сцеплени
US2863326A (en) Electrocentrifugal clutches
JP3699303B2 (ja) 摩擦クラッチ
JPS6218771B2 (ko)
US3878926A (en) Clutch and brake with resilient operator
KR200142236Y1 (ko) 충격 흡수식 클러치 장치
JPS629028A (ja) 車両用クラツチ装置
US2017915A (en) Clutch mechanism
US6666313B2 (en) Dual mass clutch system
KR100580845B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KR200191955Y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구조
KR100343956B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KR200191954Y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구조
KR100387516B1 (ko) 듀얼 클러치
KR200297310Y1 (ko) 수동변속기용클러치구조
KR200157004Y1 (ko) 자동차 클러치 디스크의 접시 스프링 구조
JPH09177818A (ja) 車両用クラッチ
JP2576979Y2 (ja) 多板式クラッチ
KR19980031419U (ko) 방진수단이 구비된 자동차 클러치 디스크
KR200191953Y1 (ko)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축 장착구조
KR19980031330U (ko) 진동방지용 판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 클러치 디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